목록Book/주식 (118)
DDOLKONG

- 사람은 늘 돈을 원한다. 우리는 일시적으로 수익이 나는 돈과 영원히 수익이 나는 돈을 구분해야 한다. 일시적인 돈은 시대가 만들어준다. 운이 좋아서 비트코인을 초기에 샀던 사람 타이밍이 좋아서 좋은 시기에 주식을 샀던 사람 생각지도 못한 호재로 집값이 오른 사람 그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돈을 벌었지만 그 돈은 일시적인 수익만을 가져다줄 뿐이다. 시간이 흘러 비트코인이 폭락하거나, 주식이 폭락장을 맞이하거나 집값이 더 오르지 않으면 돈을 벌지 못하는 것이다. 그 돈은 그들의 능력으로 시작된 결과가 아니기 때문이다. - 영원한 돈은 시대가 아닌 스스로가 만드는 돈이다. - 돈은 형태를 바꾸지만, 시간은 의미를 바꾼다. 시간이 삶에 의미를 부여한다면 시간을 잘 써야만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다. - 자..

https://m.blog.naver.com/tae1020/222404121888 [도서] 부자들은 이런 주식을 삽니다 - 김현준 규모가 큰 자산운용사는 아니지만, 대표가 철학이 있는 회사라는게 대표의 인터뷰나, 책, 그리고 종목 운용... blog.naver.com 규모가 큰 자산운용사는 아니지만, 대표가 철학이 있는 회사라는게 대표의 인터뷰나, 책, 그리고 종목 운용에서 드러난다. 꼭 철학이 확고한 투자자가 더 주식을 잘하는건 아니지만, 이런 사람들에게 배울게 많은 건 사실.. 그만큼 자신의 철학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한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아주 맘에 쏙 드는 책은 아니지만 몇몇 부분은 생각을 정리하는데 큰 도움이 된 책. 재무제표 설명에 너무 많은 비중을 할애하지 않았으면 더 좋은 이야기를 할 수 ..

- 기본적 이해로부터 풍부한 상상력을 펼쳐라. 그래야 온전한 가치를 찾는다. - 상상력의 발동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상상력을 발동하여 연상을 하면서 추정을 계속 이어간다. 둘째, 사건을 해석하고 의심하면서 연상을 한다. 정과 반을 충돌시켜 합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 지금은 오히려 정보가 너무 많다는 게 문제다. 유튜브만 해도 주식 관련 정보가 넘쳐난다. 이 많은 정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우선 바른 정보를 선택해서 많이 듣고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내 것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할까. 첫째, 맨 먼저 의심해보라. 상식의 잣대로 저 사람 말이 맞는지 틀린지를 판단하라. 둘째, 맞는 말을 한다고 생각되는 사람 중에 자신과 가장 잘 맞는 인물을 찾아 열심히 들으며 공부하라. ..

- 습관이란 반복을 통해 자동화되고 학습된 반응이다. 습관은 마음속에 한번 각인되면 잠재의식 속에서 거의 자동으로 일어난다. - 투자자들이 빠지기 쉬운 일곱 가지 잘못된 생각 1. 큰 수익을 올리기 위해서는 시장의 동향을 정확히 예측해야 한다. 시장 예측은 투자 뉴스레터나 뮤추얼 펀드 상품을 시장에서 판매하는 데는 좋은 구실이 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성공적인 투자와는 별 상관이 없다. 2. '대가'에 대한 절대적 신뢰. 만약 내가 시장을 제대로 예측할 수 없다면 분명 나보다 더 잘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 것이고 나는 그 사람을 찾기만 하면 된다. 엘라인은 주식 투자의 대가라는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서 큰 돈을 벌었다. 하지만 그녀의 투자 기법을 따른 수많은 투자자들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3. '내..

- 구조적 성장주 : 내러티브 & 넘버스 다모다란 교수는 '스토리(Narrative)'와 '숫자(Numbers)'를 기준으로 '성장주는 아직 숫자로 검증할 수 없거나 현시점의 이익 창출 능력으로는 적정한 밸류에이션이 어렵고, 숫자보다는 앞으로의 성장 스토리가 더 중요한 주식'으로 정의했다. 스타트업처럼 숫자보다 스토리가 중요한 주식은 기업 라이프 사이클의 초기에 위치한 경우가 많으므로, 높은 성장 잠재력에 적정한 가치를 선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반대로 가치를 숫자로 명확하게 매길 수 있는 기업은 주로 기업 라이프 사이클의 후반부에 위치하며, 가치주로 분류되는 기업이 주를 이룬다. 결론적으로 다모다란 교수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때 스토리와 숫자가 모두 중요하며 이 둘을 연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