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ook (664)
DDOLKONG

'그냥 계속 사라'의 규칙 1. 가난한 사람은 저축을 하고, 부유한 사람은 투자를 한다. 어디에 시간과 에너지의 초점을 맞출지 결정하기 전에 자산을 축적하고 부자가 되기 위한 여정에서 현재 여러분이 있는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한다. 여러분의 예상 저축이 예상 투자 수익보다 크다면 저축에 집중하고, 그렇지 않다면 투자에 집중하라. 양쪽이 비슷하다면 둘 다에 집중하라. 2. 할 수 있는 만큼만 하는 것이 저축이다. 소득과 지출이 고정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따라서 저축률도 고정되기 힘들다. 재테크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그때그때의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만큼만 저축하라. 3. 지출을 줄이는 것이 아닌, 소득을 늘리는 것에 집중하라 지출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소득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없다. 오..

- 나는 가족과 친구들과의 관계가 인생에서 가장 위대한 행복의 원천 중 하나라고 진심으로 믿고 있다. 이 말이 단순해 보일지는 몰라도, 어떤 중요한 투자와 마찬가지로 인간관계들은 지속적인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그런데 계속해서 관계에 관심과 배려를 투자하지 못하게 막는 두 가지 힘이 존재한다. 첫째, 우리는 자원을 더 즉각적인 결과를 안겨다줄 다른 곳에 투자하고 싶은 유혹을 느낀다. 둘째, 가족과 친구들은 우리에게 관심을 달라고 큰 소리로 외치는 법이 좀처럼 없다. 그들은 우리를 사랑하지만 또한 우리의 사회생활을 도와주고 싶어 한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다 보면 결국 우리는 이 세상에서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하는 사람들은 무시하기에 이른다. 좋은 돈과 나쁜 돈 이론은, 행복을 가져다줄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

역사는 반복된다 - 골디락스 경제로 긴 시간 물가는 안정되고 경제는 성장한 미국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는 전 국민이 다 잘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그 방법 중 하나가 주택 구입이었다. 주식이나 주택 등의 자산 가격이 상승하면 실제로 소득이 늘어난 것은 없는데도 부자가 됐다는 착각에 소비를 더 많이 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효과를 '부의 효과(Wealth Effect)'라고 부른다. - 싫어도 좋아도 알아야 할 기본적인 경제 상식이 있다. 인플레이션, 금리, 환율이다. 나에게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도 못할 것 같지만 아니다. 절대적이다. 경제 활동에 막대한 영향을 미쳐 내 자산까지도 움직인다. 인플레이션, 금리, 환율이 결합하면서 작동하는 사이클은 내 생활을 지배한다. 여기에 미국은 강력한 원인..

- 거래 절벽은 쇠퇴기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상입니다. 쇠퇴기에 거래 절벽이 일어나는 이유는 상승기 매매 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한 매도자와 추가적인 가격 하락을 두려워하는 매수자 간의 심리적 틈으로 인해 기대 매도 가격과 기대 매수 가격의 차이를 좁히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 지난 이명박 정부를 보면 11년에 반짝 반등 구간이 있었습니다. 이유는, 거래 절벽과 가격 하락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완화책을 펼쳤기 때문입니다. 쇠퇴기에는 시장의 문법은 바뀌지만, 상승장 관성으로 여전히 사람들은 반등을 기대합니다. 그리고, 유동성도 남아 있어서 이러한 매수를 유인하는 완화책이 나오면 기술적 반등이 일어납니다. PART1. 무주택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하락장에서 내 집 마련 문제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 ..

- 우리는 무언가에 진심이 아니더라도 열심히 흉내를 내면 생각보다 무척 오래 버틸 수 있거든요. 하지만 자제력만으로 더는 해낼 수 없는, 아니 해내고 싶지 않은 날이 옵니다. 한 사람의 일상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은 우리 존재의 더 깊은 부분에 자양분과 활력을 공급해야 합니다. 그런 유형의 자양분은 흔히 성공에서 얻을 수 없습니다. 오히려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 끈끈하게 이어져 있다는 느낌에서, 자신의 업무가 의미 있고 자기 재능이 어떤 식으로든 세상을 바뀌게 한다는 느낌에서 나오지요. - 마음으로 15분 동안 명상을 시도했던 일은 그 당시 제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생각이 온전히 사라지진 않았지만 더는 그 속에 매몰되진 않게 된 것입니다. 마치 한 발짝 물러나 제 마음을 지켜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