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ook/주식 (118)
DDOLKONG

- 심리 vs 원칙 시장은 심리이고 투자는 원칙입니다. 심리는 현상의 영향을 받고 원칙은 현상 너머를 향합니다. 이쪽과 저쪽 모두에 발을 담고 투자를 말할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므로 결실의 길 또한 걸을 수 없습니다. 심리에 따른 원칙은 원칙일 수 없고 현상에 흔들리는 원칙은 원칙일 수 없습니다. 심리와 현상을 뛰어넘는 힘이 원칙의 힘인 까닭입니다. - 결실의 나무 결실의 나무는 자라고 자란 뒤에 결실을 맺고 그 결실을 익히고 그 결실이 다시 결실의 씨앗으로 숲을 이룹니다. 버크셔의 성장은 투자한 기업의 수익으로 다시 더 큰 이익의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 순환과 복리에 있습니다. 결실의 나무를 땔감나무로 베어 하루를 덥히는 일은 10년 자란 나무의 성장을 하루아침에 날리고는 내년에 뗄 나무를 염려하려는 일..

- 시스템1과 시스템2의 특징 · 시스템1: 거의 혹은 전혀 힘들이지 않고 자발적인 통제에 대한 감각 없이 자동적으로 빠르게 작동한다. · 시스템2: 복잡한 계산을 포함해서 주의 · 노력이 요구되는 정신활동에 작동한다. - 복리의 개념에 취약 "주식시장에서 부자가 되는 것은 적절한 유전자, 적절한 환경, 그리고 복리의 마법 때문이다." "누구든지 부자가 될 수 있다." - 변동폭이 클수록 수익률은 낮아진다. 즉, 수익의 변동폭이 큰 상품이 당장은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수익률이 안정적인 상품이 보다 큰 이익을 안겨 준다 - 확증편향 "사람들은 자신의 이론을 확고하게 입증해 주는 블로그를 방문하고, 자신의 생각 또한 그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에 맞춰 전달한다. 그러면서 점점 더 같..

- 농작물은 하루 이틀에 자라지 않는다. 농업에서는 '농작물이 익을 때까지 일정한 시간이 걸린다' 는 사실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다. 꽃을 키우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씨를 뿌려도 결코 하루나 이틀 만에 꽃이 피지는 않는다. 역시 느긋하게 키우지 않으면 꽃은 피지 않는다. '투자가 결실을 맺어 수익을 얻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각오하는 데에서 장기투자는 시작된다. - 장기투자의 핵심 : '시간의 무게'를 내 편으로 삼는다 단기투자자는 인간의 이해타산과 심리 때문에 시시각각 변하는 힘의 관계만을 뒤쫓아 순간순간 승부를 한다. 장기투자에서는 시장에서의 힘의 관계 변화 따위는 제쳐두고 상관하지 않는다. 그보다 시간의 경과가 가져오는 힘을 내 편으로 만드는 것을 우선한다. - 계절을 파악하여 씨를 뿌리는 타..

- 실력과 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분야에서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10가지 방법 1. 운-실력 스펙트럼에서 활동 분야의 위치를 파악하라 실력의 영향이 100%에 가까운 활동이라면 합리적으로 잘 예측할 수 있다. 이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은 실력이 변화할 때 각 결과간에 일관성이 높아야 한다는 점이다. 실력이 낮을 때 나오는 결과와 실력이 높을 때 나오는 결과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어야 한다. 운의 영향이 100%에 가까운 활동은 합리적인 예측이 매우 어렵다. 운의 영향이 절대적이고 실력의 영향이 극히 미미할 때 실력의 영향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아주 큰 표본이 필요하다. 활동이 운-실력 스펙트럼에서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면, 예측을 할 때 평균 회귀를 어느 정도 고려해야 하는지도 알 수 있..

- 우리를 둘러싼 환경에서 어떤 패턴이나 사건은 행동과 삶에 영향을 미치며 규칙적으로 반복된다. 겨울은 여름보다 춥고 눈이 내리며, 낮은 밤보다 밝다. 그래서 겨울에는 스키 여행을, 여름에는 요트 여행을 계획하며, 낮에는 일과 취미 생활을 하고 밤에는 잠을 잔다. 저녁이 가까워지면 불을 켜고 잠자리에 들 때는 끈다. 겨울이 다가오면 따뜻한 코트를 꺼내고 여름이 오면 수영복을 꺼낸다. 물론 기운을 돋우기 위해 겨울 바다에서 수영을 하는 사람도 있고, 낮 시간을 자유롭게 쓰기 위해 야간 근무를 선택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다수는 보통의 생물학적 주기를 따르며 일상생활을 영위한다. 인간은 패턴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이용해 더 쉽게 의사를 결정하고, 이익을 높이며, 고통을 피한다. 중요한 점은 반복되는 패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