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 나는 부동산에 대한 관심과 열정은 누구보다 앞선다고 자신한다. 또한 양질 전환의 법칙을 믿는다. 일정 기간 동안 경험을 축적하면 투자나 인생에서 질적 성장이 반드시 온다고 믿는다. 부동산 투자도 마찬가지다. 많이 보면 볼수록 물건을 구별하는 안목이 생긴다. 발품을 많이 팔면 팔수록 내공이 쌓여간다. 중요한 것은 투자 선배들의 경험을 배워 빨리 내 것으로 만들고 초기의 시행착오를 줄여야 한다는 점이다. - 책을 통해 많은 이론을 배울 수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이론이 전부가 아니다. 문제는 책만 들여다보면서 몇 년째 초보투자자로 머물고 있는 경우다. 어디서 장학금을 받는 것도 아닌데 책만 보고 강의만 찾아다니며 공부에 매진한다. 장롱 면허 소지자처럼 장롱 투자자가 되어간다. 그들은 시장..
- '내'의견을 말할 때는 '모두'를 끌어들여라. '모두가 그렇게 생각한다'고 하면 그사람은 그 말을 거스르기 힘들다. - '1만 원'이 필요해도 '1천 원'부터 부탁해라. - 말하기 거북한 부탁은 함께 식사하면서 하라. 사람은 맛있는 음식을 먹고 마시면 심리 상태가 매우 쾌적해진다. '쾌적한 상태'에서는 마음도 개방적이 된다. - 분명한 이유와 목적이 동기를 부여한다. 다른 사람에게서 YES를 이끌어 내려면 '목적'이나 '목표'를 분명하게 알려야 한다. 목적을 알려 주면 상대방이 받아들이는 태도가 순식간에 달라진다. "좋아하는 여성과 식사하기로 했어. 돈 좀 빌려주지 않을래?", "술자리 총무를 부탁받았는데, 내 옆에서 도와주지 않겠어?" - 상대방이 자기 입으로 답을 말하게 하라. '레토릭법' -..
1장 서울 서울 도입부 - 질적 수요의 시대가 시작되다 - 부동산 관련 의사 결정 시 일반인과 전문가 그리고 부자, 이렇게 크게 세 집단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부자 집단의 특성이 뚜렷이 나타납니다. 먼저 일반인들은 과거의 결과물에만 주목합니다. 당연히 현재의 의사결정을 어려워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신의 영역이라 합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현재에 주목합니다. 다만 자신의 논점에 맞는 과거의 특정 사례를 크게 확대시켜 현재를 '재해석'하지요. 마지막으로 부자들의 관심은 늘 미래에 있습니다. 과거의 모습을 통해 현재를 정리하고, 현재의 움직임을 통해 미래의 향방을 그리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 방향성에 주목해야 합니다. 부자들이 그리는 지도를 따라 그려볼 필요가 있는 것이지요. 내가 직접 그려봐야 확신..
- 부동산 시장, 당분간 하락 가능성은 없다 우리나라 부동산 전문가 중 상당수가 언급하고 있는 '공급과잉에 따른 부동산시장 폭락(특히 2017~2018년)우려'는 지극히 지나치다는 점을 말하고자 한다. 당분간 국내 부동산시장 하락을 이끌 만한 요인이 특별히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주식 애널리스트로서 부동산시장의 '통계지표 분석'을 통한 접근법 및 실제 현장 답사를 통한 '지역 탐방'에서 감지된 정량적.정성적 판단의 결과다. 1장 대한민국 주택, '정말'비싸지 않다 - 대한민국 가계 재무구조, 생각보다 건전하다 대한민국 부동산 밸류에이션은 현재의 PBR 1.0배, PIR 6.1배에 불과하다. -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감안해도 부동산가격은 너무 낮은 수준이다 한국 자산은 대부분 글로벌 시장 대비 저..
- 백만장자는 사건이 아니라 과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부자가 되는 모든 사건의 이면에는 과정 즉, 도전과 위험, 노력과 희생의 비하인드 스토리가 존재한다. 과정을 건너뛰려고 하는 사람에게는 절대로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 - 부자가 되는 공식은 국토대장정만큼이나 길고 어렵다. 성공하려면 부를 향한 여정에 집중하고 목적지(사건)가 아닌 여정 자체(과정)를 위한 도구를 준비해야 한다. 그 공식을 풀려면 공식을 구성하는 네 가지 요소를 이해해야 한다. - 당신의 인생이 전개되는 방식은 당시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며, 그 선택들은 당신의 신념체계에 의거해 이루어졌으며, 그 신념체계는 당신이 선택한 지도를 바탕으로 형성되었다. 인생을 바꾸고 싶다면, 다른 선택을 내려라. 다른 선택을 내리고 싶다면 신념체계를 바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