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결정을 내리는 방식 대화하는 방식 먹는 방식 자는 방식 노는 방식 인사하는 방식 여행하는 방식 듣는 방식 말하는 방식 시시때때로 습관을 깨보자. 스스로 익숙해져 있는 것을 의심해 보자. 나의 습관이 부디 더 좋은 습관을 만들기를 바라며...
행복은 나를 세상에 증명하는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아니며, '가치있는 삶good life'을 살것인가 '행복한 삶happy life' 인가는 개인의 선택이다. 행복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뇌가 가장 흥분하며 즐거워하는 것이다. 행복과 불행은 음식, 그리고 사람의 장면이 가득한 인생 대 그렇지 않은 인생의 차이다. "The rest are details" 나머지 것들은 주석일 뿐이다. 행복은 '유전' 그리고 '외향적 성향'이라 말한다. 행복해 지려는 성향은 키가 커지려는 노력만큼이나 덧없다. 내게 있는것을 즐기며 작은 기쁨들에 만족하고 마음의 여유를 누리며 행복을 자주 누려보자.
저자는 창업을 결심했다면 1년에서 3년 이후를 목표로 하고 비즈니스 아이디어, 경영 노하우, 행동계획등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입수한 각종 정보를 기록한 노트를 활용 하라고 설명한다. - 창업노트의 효과 1. 생각의 가시화(생각정리)-객관적 검토가능 2. 창업준비의 일원화-취약점 분석가능 3. 창업준비의 시각화-진척상황 확인가능 - 창업자가 직면하는 세 개의 벽 1. 아이디어의 벽-일희일비 하지 말 것(아이디어를 되새겨 사업확장의 기회로 만들어라) 2. 추진력의 벽-과제 스케줄(의욕의 저하-게을러짐, 시간관리가 안됨-마케팅활동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 3. 마인드의 벽-마음이 좌절하는 상태 자신에게 동기부여가 되는 메세지를 남기고 시행착오 또한 한권씩 나누어 테마별로 분류하여 기록으로 남긴다. 창업자..
P23 범위한정성향(narrow framing)- 선택의 범위나 사고의 틀을 양자택일의 상황으로 너무 좁게 정의하는 것. '할까 말까'혹은 '이걸 할까 저걸 할까'의 상황에 곧자 빠지곤 한다. 좁은 생각의 틀에 갇혀 같은 고민을하느라 다른 대안을 모두놓친다. P24 인간은 보통 어떤 상황에 대해 즉각적으로 견해를 굳히고 그 견해를 뒷받침하는 정보를 찾으려는 습성이 있다.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 P32 단기감정(short-term emotion)-힘든 결정에 직면하면 우리의 감정은 소용돌이치기 마련이다. 머릿속에서는 상반된 주장이 맴돌고 고민이 거듭되면서 마음이 수시로 바뀐다. 수없이 반복되는 갈등으로 머릿속이 혼탁해지면서 앞이 보이질 않게 된다. 그런 순간에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관..
지난해 일본에서 인간과 인공지능의 광고 만들기 대결이 벌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실제 광고를 보여주며 어느쪽이 더 잘 만들었는지 현장투표를 참여단에게 실시 했는데 놀랍게도 인공지능의 승리였다. 일본의 하우스텐보스 테마파크에선 헨나라는 레스토랑이 로봇으로만 운영 중인데 실제 예약이 밀릴정도로 인기가 많다고 한다. 중국에선 로봇공학자가 로봇과 결혼을 하여 가정마다 로봇이 보급되길 희망한다고 말했고, 우리나라에도 바텐더로봇이 등장한것을 보았다. 앞으로의 시대 새롭게 등장할 노동 계급은 블루칼라(Blue collar•육체노동직)도 화이트칼라(White collar•전문사무직)도 아닌 New collar(학력 상관없는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에 적응한 노동계급)가 될 것이라고 한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기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