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 효율적 이타주의는 내가 가진 능력으로 세상을 얼마나 바꿀 수 있을까? 를 자문하고 증거와 신중한 추론으로 그 해답을 찾아 나가는 것이다. 착한 일을 할 때도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정직하고 공정한 방법을 사용해 어떤 선행이 세상에 가장 유익할지를 판단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이타주의 - 타인의 삶을 개선 시킨다. 효율 - 주어진 자원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거둔다. 남을 도우면서 안락한 삶을 누리고 나의 선행이 최대한의 효과를 거두게 노력한다. - 효율적 이타주의 핵심 질문 1.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얼마나 큰 혜택이 돌아가는가? 2. 이것이 최선의 방법인가? 3. 방치되고 있는 분야는 없는가? 4.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됐을까? 5. 성공 가능성은 어느 정도이고 성공했을 때..
1. MOTIVATION 동기부여 성공과 실패가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외적 요인에 달려 있다고 믿는 외적통제소재와 결과에 대한 책임이 내 노력부족 이라고 생각하는 내적통제소재로 나뉜다. 외부환경탓을 하는 사람보다는 내 노력부족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 성과 및 동기부여 정도가 높다고 한다. 또 힘들고 따분한 일도 의미있는 결정으로 바꿔 놓으면 자연스럽게 자발적 동기부여가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2. TEAM 팀 구글은 훌륭한 관리자가 남들보다 효과적으로 일하는 이유를 산소 프로젝트 통해 밝히고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를 통해 보완했다. 미국 최장수 코미디 프로그램인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제작진이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팀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를 팀원들이 끊임없이 새로운 농담과 아이디어를 툭툭 던질 ..
읽기에 관한 10가지 1. 독아(나를읽다), 인간의 뇌는 고정되지 않고 변한다. 이것을 뇌의 가소성(Plasticity)이라 하고, 이 가소성은 무언가를 열심히 하면 뇌가 그 방향대로 해부학적으로 변한다고 한다. 두뇌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연습으로 힘을 키울 수 있는 근육과 같기 때문에 열심히 노력하면 더 똑똑해질 수 있고 능력을 익히는데 연습이 중요함과 동시에 절대 포기하지 말라고 말한다. 2. 다독(많이 읽다), 습관을 말할때 전문가들은 어떤 행동을 약66일 정도 반복하면 습관으로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양보다 질을 추구하는독서가 훌륭해 보이지만 이해가 되지 않더라도 자꾸자꾸 읽으라 말하며 자신에게 맞는 책을 꼭 찾기 보단 적당히 있어 보이는 책도 좋다고 한다.계독(한 분야의 책을 계속 읽다)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