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Z세대의 사회진출이 불러온 일본 새로운 금융상품 트렌드 본문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출하는 Z세대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심비를 중시하는 Z세대 선호 고려 필요
일반적으로 '금융'이라고 하면 딱딱한 이미지가 있어 접근이 어렵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하지만 최근 일본에서는 Z세대의 사회 진출이 많아지면서 약간의 비용을 감수하더라도 편리함을 추구하거나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존중하는 고객 선호 트렌드를 반영한 변화가 금융서비스 부문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아래에서는 과거의 틀을 깨는 최신 금융 상품들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변화하는 일본의 주택금융상품
플랫35는 민간 금융기관과 주택금융기구가 제휴해 최장 35년동안 고정 금리로 제공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주택융자 상품이었다. 그러나 대출기간이 35년이 기본이라는 고정관념도 최근 Z세대의 가치관 등에 의해 변하고 있다.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주택을 대상으로 최장 50년까지 보장하는 대출 상품인 ‘플랫50’이 젊은 층을 대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이다. 30세 미만 이용자의 2024년 플랫50 신청 건수는 719건으로 전년 대비 2.6배 상승했는데, 일본의 대형 부동산 정보 플랫폼을 운영하는 LIFULL HOME'S의 N 치프 애널리스트는 자가를 소유하면서도 월별 상환액을 줄이고 싶은 젊은 층의 수요와 장기간 이자수익을 취하고 싶은 금융기관의 의도가 맞물리면서 플랫50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이타마현 오케가와시에 단독주택을 보유한 29세의 한 남성은 대출 상환 기간을 40년, 월별 상환액을 약 13만 엔으로 설정했는데, 35년 대출에 비해 월 2만 엔 정도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 여행이나 취미인 테니스에도 충분히 돈을 쓸 수 있어 만족스럽다고 밝혔다. 이러한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발맞춰 주택대출상품의 기간을 최장 50년으로 늘리는 금융기관이 늘어나고 있다.
<30세 미만의 플랫50 신청 건수>
(단위: 건, 년도]

MZ세대를 중심으로 유행 중인 일본 럭셔리 신용카드(Luxury Card)
최근 일본에서는 20대를 중심으로 연회비 50만원이 넘는 럭셔리 신용카드(Luxury Card (LC))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다. 도쿄의 블랙카드Ⅰ사는 회원에게 고급 호텔 룸 업그레이드, 회원제 공항 라운지 이용, 회원 간 교류 커뮤니티 활동 지원, 회원 전용 식사회 및 골프대회 개최 등 다양한 이벤트와 특전을 제공한다. 전용 앱의 정기적 푸시 알림을 통해 행사 정보가 공유돼 큰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블랙카드Ⅰ사에 따르면, 당사의 LC 가입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회원의 70% 이상이 20~40대에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2024년엔 별도 맞춤형 마케팅 없이도 20대 신규 가입자가 전년 대비 1.1배 증가하는 등, 성장 가능성이 기대되는 시장이라고 한다.
<럭셔리 카드 회원 수, 카드별 입회자 분포, 입회자 나이 분포>

결제 앱 고를 때도 외형을 따진다! 디자인이 중시되는 결제 앱 시장
최근 금융기관을 선택할 때 서비스의 질 뿐만 아니라 앱 내 UI 디자인과 같은 외형 등을 고려하는 움직임이 생기고 있다. 도쿄의 후불 결제 서비스 앱을 운영 중인 Paidy사는 문자 정보를 줄이고 세련된 그림과 도형 자료 등 간단하고 명료한 디자인을 통해 젊은 고객층 확장에 힘쓰고 있다.
<Paidy의 앱 화면>

한편, 서비스 등록 시 예시로 드는 이름에는 주로 ‘야마다 타로*’가 많이 활용돼 왔는데, Paidy의 경우 ‘아유무 타로’라는 이름을 활용했다. Paidy의 UX라이터 M씨는 다양한 가치관을 존중하기 위해 중립적인 이름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 주: 우리나라에서 비슷한 용례로는 '홍길동'이 있다.
금융경제교육에 등장한 똥 캐릭터? 일본 금융청의 이미지 변신
금융청은 최근 일본의 출판사 ‘문향사’의 인기 캐릭터 「똥 드릴(うんこドリル)*」과 제휴해 초등학생용 금융경제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일상 중 돈의 사용법을 테마로 한 ‘생활편’과 돈이 사회 안에서 어떻게 순환되는지를 설명하는 ‘경제편’으로 나누어 어린이 시선에서도 이해할 수 있는 쉬운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해당 교육 중 일부는 금융청 공식 유튜브에 게재돼 있으며, 일본 대학교에도 금융사기 피해 방지 등을 위해 해당 자료를 전파하고 있다.
금융청이 이러한 제휴를 결정하게 된 배경은 SNS를 활용한 투자 사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경찰청에 따르면, 20대가 금융피해를 입은 SNS형 투자 사기는 2024년 1~8월 기간에 215건 발생했으며, 사기 피해 규모는 약 4억6000만 엔에 달한다고 한다. 전년 동기 대비 건수는 3배, 피해액은 2배로 급증한 것이다. 이에 금융청은 금융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젊은 세대가 거부감 없이 수용할 수 있는 경제교육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 주: 문향사가 2017년 발매한 학습지로 2개월 만에 발행 부수 270만 부, 2023년 기준 누적 1000만 부를 달성하는 등, 현지에서 인기가 높은 교육 컨텐츠
시사점
일본도 Z세대의 사회 진출 비율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시장에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는데, 금융 또한 그 예외가 아닌 상황이다. KOTRA 나고야무역관은 일본 중부지역에서 관광과 금융 관련 앱을 개발하고 있는 E사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E사의 소속 앱 개발총괄팀장은 “Z세대의 특징은 본인만의 라이프스타일 존중, 가격 대비 느낄 수 있는 심리적 만족도(가심비) 중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높은 친화력 등을 꼽을 수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러한 Z세대의 특성은 그동안 오프라인 채널에 집중해 온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라며 최근 동향을 전했다.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를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은 이러한 일본 국민들의 기호 변화를 사전에 파악해 두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8fImEmhTfPgQ.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