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투자/부동산 (3594)
DDOLKONG

https://blog.naver.com/yeaps123/222618071085 이게 진짜 급매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급매 판단 기준! 급매여부 쉽게 판단하는법! 안녕하세요! 행오팅입니다. 이곳저곳 분위기가 안좋다보니 급매물이라는 물건들... blog.naver.com 급매여부 쉽게 판단하는법! 정말 쉽다 ^^ 안녕하세요! 행오팅입니다. 이곳저곳 분위기가 안좋다보니 급매물이라는 물건들이 여기저기에서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단기간 부동산 시세를 쭉 보더라도 상대적으로 싸보이는 단지들이 눈에 종종 들어오긴 하는데요! 오늘은 실제 예시를 들어서 몇몇 단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한창 입주장을 겪고 있는 안양입니다. 안양에 대단지인 비산삼성래미안인데 현재 부동산 열군데에 내놓은 이 물건은 7.2억입..

8년 후 2030년이 되면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상상하지 못했던 상황이 펼쳐지게 됩니다 2020년까지는 경제 및 인구 확장기였다면 이제부터는 본격적인 축소 사회로 진입하게 됩니다 1. 인구감소 2020년에 총인구 3만 감소 시작되었죠. 2021년 5만 감소 올해 9만 정도 감소 예상됩니다. 2030년 경에는 연 20만 정도씩 총인구 줄어듭니다. 당장 춘천 강릉 군산 경주 같은 지방 중소도시 매년 하나씩 사라지는 꼴입니다. 30년후 2050년 정도에는 50만 정도씩 매년 줄어듭니다. 분당 일산 안양 매년 하나씩 사라지는 꼴이죠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2030년까지 360만 감소로 부산인구보다 더 많이 줄어들고 2030년부터 2040년까지 10년 동안에는 무려 580만명이나 감소..
안녕하세요 삼토시입니다. 오늘은 조금 색다른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부동산에서 주기설을 믿는 편은 아니었지만 작금의 상황이 과거 상승장과 비슷한 내용이 많아 한번 알아봤습니다. 제가 2023년 전후를 중장기 고점으로 생각한다는 내용을 여러 매체를 통해 밝힌 바 있어 현 상승장이 2023년에 마무리된다는 가정하에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조금은 가벼운 마음으로 봐주셔도 될거 같습니다 ^^ 서울 부동산의 과거 상승장(1999~2008년)과 현재 상승장(2014~23년)의 흐름을 시계열별로 비교해보았습니다. ① 상승장 6년차에 맞이한 조정 (2004년, 2019년) 1999년부터 상승한 서울 부동산은 상승 6년차인 2004년 조정장을 겪었고 2014년부터 상승한 서울 부동산은 상승 6년..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ealme0603&logNo=222630409614&navType=by [분전] 분전의 2022년 부동산 전망 요약본 글이 워낙 길어서 요약본을 올려봅니다. 읽어보시고 괜찮다 싶으면 풀버전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논리는 ... blog.naver.com 글이 워낙 길어서 요약본을 올려봅니다. 읽어보시고 괜찮다 싶으면 풀버전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논리는 요약본에 디테일하게 있습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ealme0603&logNo=222630330286&navType=by [분전] 2022년 부동산 시장 전망 (Feat. 조정장?, 스압주의) 안녕하세요,..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ihappy0304&logNo=222626695929&proxyReferer=https:%2F%2Fm.blog.naver.com%2Fbibimgugsu%3FcategoryNo%3D0 생존 게임 시작됨 미국 소비자 물가 전년 동월 대비 7% 상승함. 40년 만에 최대 상승임. ㅎㄷ 오일쇼크 이후, 인플레보다 더 ... blog.naver.com 미국 전년 동월 대비 소비자 물가 추이 미국 소비자 물가 전년 동월 대비 7% 상승함. 40년 만에 최대 상승임. ㅎㄷ 오일쇼크 이후, 인플레보다 더 위험한 디플레를 우려할 정도로 지속적으로 물가는 우하향이었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무자비하게 풀린 유동성과 글로벌 공급망 대란으로 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