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21835)
DDOLKONG
- 왜 하필 48분인가? 우리 평균 수명인 90세의 인생 주기를 하루 24시간에 비유해보자. 90년 중의 3년이란 시간은 하루 중 정확히 48분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인생에서 3년을 독서에 투자한다는 것은 하루 중 48분을 투자한다는 것과 같다. - 3년간 1,000권 독서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3년이란 기간 동안 1,000권의 책을 읽으면 삶의 임계점을 돌파하게 된다. 삶의 임계점이란, 의식과 사고가 비약적으로 팽창하여 인생이 획기적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말한다. 이렇게 획기적인 인생역전에는 3년이란 한정된 시간 동안 1,000권의 책을 읽어야 비로소 가능해진다. - 빌 게이츠는 "오늘의 나를 있게한 것은 우리 마을 도서관이였고, 하버드 졸업장보다 소중한 것이 독서하는 습관이다."라..
- 메시지의 6대 원칙 1. 단순성(simplicity) - 메시지는 반드시 단순하고, 동시에 심오해야 한다. '남에게 대접받고 싶은 데로 대접하라'는 황금률은 단순함의 궁극적 이상향이다. 이 단순한 한 문장이 얼마나 심오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보라. 2. 의외성(Unexpectedness) - 사람들의 예상을 깨뜨리는 것이다. 반드시 사람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해야 한다. 3. 구체성(Concreteness) - 우리의 두뇌는 구체적인 정보를 기억 하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속담은 대게 추상적인 진리를 구체적인 언어로 표현한다. 4. 신뢰성(Credibility) - 사람들은 무엇에 관해 예를 들 때 본능적으로 큰 숫자를 내미는 경향이 있는데 많은 경우 그것은 가장 잘못된 접근법이다. 5. 감성..
* 난독증(dyslexia)은 지능이 정상이거나 뛰어난 아이가 글을 아예 읽지 못하거나 글 읽기를 대단히 어려워하는 경우를 지칭 할 때 사용한다. 난독증의 사전적 의미는 '읽기를 배우는데 따르는 큰 어려움'이라 지칭한다. *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ies)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추론수학 등의 능력을 습득하고 사용하는데 심각한 어려움을 보이는 다양한 형태의 장애를 한데 묶어 일컫는 단어다. * 학습곤란(learning difficulties)이란 전문용어라기보다는 일반인이 사용하는 말에 가깝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 집단에서는 읽기나 산수, 쓰기, 기억과 기타 분야에 나타나는 특이한 장애 모두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 먼저 '시각적 사고'란 머릿속으로 이미지를 만..
- 세상에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 당장은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원인은 반드시 존재한다. - 이유는 간단하다. 그 모든 건 어디까지나 남들 눈에 보이기 위한 노력이었기 때문이다. 진정으로 마음을 다한, 실제 결과를 끌어올리기 위한 진지한 노력은 아니었던 것이다. - 다른 누군가에게 보이기 위한 노력이나 시간을 흘려 보내기만 하는 노력이 아닌, 진짜 노력 말이다. 이런 진짜 노력의 느낌은 꼭 남이 알아주어야만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당신은 어쩌면 세상이 불공평하다고 외치고 싶어질 수도 있다. 자신은 이렇게 노력하는데, 왜 별로 노력하는 것 같지도 않은 사람이 결과가 좋은 거냐고 의문을 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결과의 '배후'에서 그들은 대체 무엇을, 그리고 당신은 정확히 무엇을 했는가? 당신 ..
- 물속에 사는 연어는 땅 위에 사는 인간들을 두려워한다. 인간은 물고기를 옆에서 보려하지 않고 위에서 내려다보니까! 연어를 위에서 내려다본다는 것, 그것은 연어를 위해서 불행한 일이다. 연어를 위에서 내려다보는 사람들의 눈은 틀림없이 물수리나 불곰의 눈을 닮아 있을 것이다. 그들은 연어에 관심을 가지기보다 연어 알을 떠올리며 입맛을 쩝쩝 다실 것이 뻔하다. 그러니까 연어를 완전히 이해하고 사랑하는 방법은, 연어를 옆에서 볼 줄 아는 눈을 갖는 것이다. 거기에다가 약간의 상상력이 필요하다. 알게 쉽게 말한다면, 마음의 눈을 갖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것을 보고 싶어하는 눈. 그리하여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줄 아는 눈. 상상력은 우리를 이 세상 끝까지 가보게 만드는 힘인 것이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첫 입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