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21814)
DDOLKONG
- 행복같은 건 애초부터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어. 우리가 사랑하는 것만큼 우리는 사랑받지 못했고 별자리는 내가 손 닿을 수 없는 곳에서만 아름다웠으니까. 우리는 생활 앞에서 언제나 난처했고 우리가 잘 살고 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었으니까. 뜨겁던 청춘은 지나가버렸고 버스는 손을 흔들어도 다시 돌아오지 않았지. 더 슬픈 건 청춘에 대해 미련이 없다는 것. 떠나간 버스를 아쉬워하지 않는다는 것이었지. 하지만 어떡해? 다시 길을 나서는 수밖에. 마치 그것만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의 전부라는 듯 배낭을 꾸리고 신발끈을 동여맸지. 여행은 그렇게 시작되는 거야. 당신은 언젠가 나를 사랑하게 될 것이고 별빛은 나의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고 생활은 언제가 나를 안아줄 것이고 청춘..... 그래, 청춘은 지나갔기 때문..
- 성장의 글쓰기(인생을 바꾸는 1,000일) '3년 법칙' - 어떤 일이든 3년 정도 뜨겁게 노력하면 해당 분야에서 빛을 볼 수 있다. '성과'라 할 만한 결과물을 얻기 시작하는 시기는 대략 3년의 시간이 지난 뒤였다. 대강, 대충 3년은 하나 마나다. 몰입하는 최고, 최선의 3년이어야 가능하다. 1,000일간 한 가지 일에 집중하려면 '투쟁'에 가까운 노력과 열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1,000일간 쓰기의 룰 : 첫째, 매일 써내려 가라. 중요한 건 분량이 아니라 횟수다. 하루에 세줄을 써도 매일 쓰는 것이 중요하다. 글을 쓰는 시간은 상관없다. 둘째, 솔직하게 써내려가라. 맞춤법이나 띄어쓰기에 대한 강박도 버려라. 감정에 충실해야 변화가 가능하다. 셋째, 자유롭게 써내려가라. 형식과 틀에 얽매이..
- 하기 싫은 일은 하지 말고, 미워하는 사람은 애써 만나지 말고, 흐르는 눈물은 참지 말고, 가고 싶지 않은 자리는 가지 말고, 터져 나오는 웃음은 참지 말자. 할까 말까 망설이는 동안 청춘이 다 지나가 버렸네. - 할 수 있는 사람은 어쩌면 해낼지도 모르지만, 해야만 하는 사람은 그 일을 꼭 해낸다. - 인간의 삶에서 해탈을 했다는 부처마저도 삶은 고난의 연속이라고 말했다. 그런 삶을 누군가는 견디면서 산다. 그런 삶을 누군가는 즐기면서 산다. 대부분의 비슷한 삶을 짊어지고 어떤 이는 견디면서 살고 어떤 이는 즐기면서 산다. 즐길 것인지, 견딜 것인지 모든 것은 각자의 몫이다. - 농구를 잘하고 싶은데 농구를 못하는 것은 너의 죄가 아니다. 공부를 잘하고 싶은데 공부를 못하는 것 또한 너의 죄가 아니..
- 왜 하필 48분인가? 우리 평균 수명인 90세의 인생 주기를 하루 24시간에 비유해보자. 90년 중의 3년이란 시간은 하루 중 정확히 48분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인생에서 3년을 독서에 투자한다는 것은 하루 중 48분을 투자한다는 것과 같다. - 3년간 1,000권 독서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3년이란 기간 동안 1,000권의 책을 읽으면 삶의 임계점을 돌파하게 된다. 삶의 임계점이란, 의식과 사고가 비약적으로 팽창하여 인생이 획기적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말한다. 이렇게 획기적인 인생역전에는 3년이란 한정된 시간 동안 1,000권의 책을 읽어야 비로소 가능해진다. - 빌 게이츠는 "오늘의 나를 있게한 것은 우리 마을 도서관이였고, 하버드 졸업장보다 소중한 것이 독서하는 습관이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