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1. MOTIVATION 동기부여 성공과 실패가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외적 요인에 달려 있다고 믿는 외적통제소재와 결과에 대한 책임이 내 노력부족 이라고 생각하는 내적통제소재로 나뉜다. 외부환경탓을 하는 사람보다는 내 노력부족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 성과 및 동기부여 정도가 높다고 한다. 또 힘들고 따분한 일도 의미있는 결정으로 바꿔 놓으면 자연스럽게 자발적 동기부여가 이루어진다고 말한다. 2. TEAM 팀 구글은 훌륭한 관리자가 남들보다 효과적으로 일하는 이유를 산소 프로젝트 통해 밝히고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젝트를 통해 보완했다. 미국 최장수 코미디 프로그램인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제작진이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팀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이유를 팀원들이 끊임없이 새로운 농담과 아이디어를 툭툭 던질 ..
읽기에 관한 10가지 1. 독아(나를읽다), 인간의 뇌는 고정되지 않고 변한다. 이것을 뇌의 가소성(Plasticity)이라 하고, 이 가소성은 무언가를 열심히 하면 뇌가 그 방향대로 해부학적으로 변한다고 한다. 두뇌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연습으로 힘을 키울 수 있는 근육과 같기 때문에 열심히 노력하면 더 똑똑해질 수 있고 능력을 익히는데 연습이 중요함과 동시에 절대 포기하지 말라고 말한다. 2. 다독(많이 읽다), 습관을 말할때 전문가들은 어떤 행동을 약66일 정도 반복하면 습관으로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양보다 질을 추구하는독서가 훌륭해 보이지만 이해가 되지 않더라도 자꾸자꾸 읽으라 말하며 자신에게 맞는 책을 꼭 찾기 보단 적당히 있어 보이는 책도 좋다고 한다.계독(한 분야의 책을 계속 읽다) 3. ..
하버드 대학교 성인발달연구에서 하버드 대학교의 학생 그룹과 보스톤 빈민 그룹으로 나누어 75년 동안 남성 724명의 인생을 추적조사한 연구 결과를 말한다. 여기서 우리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관계(Relationship)라 정의한다.
직선형 시각의 특성 첫째, 삶이 어떠어떠하게 전개되어야 한다는 규범적이고 관례적인 틀에 의해 움직인다. 둘째, 성인의 삶이란에 따라 움직여서 예측 가능한 결과를 낳는 사건들의 연속이라고 본다. 셋째, 개인이 잘살기 위해 그가 하도록 되어있는 일들을 열심히만 한다면 행복과 성공은 저절로 따라올 거라는 일차방정식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넷째, 변화를 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순환형 시각의 특성 첫째, 삶을 복잡하고 다원적이며 변수가 많은 흐름으로 본다는 것이다. 둘째, 삶이 똑바로 일직선을 그리며 발전한다기보다 라는 사이클을 통해 발전한다고 여긴다. 셋째, 삶의 절정과 나락, 축복과 저주 두 가지 모두를 귀하게 여긴다. 넷째, 인간의 제조들을 조합이 가능하고, 유연하고, 상호작용하고,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