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 2025년은 안정+절세 추구하는 실속 투자와 함께 해외 금융상품 선호- 금융거래 시 대면채널 이용은 감소하지만 이용자의 의존도는 더욱 강화- 거래은행의 충성도는 약화됐지만 여전히 주거래은행에 금융자산의 과반을 예치- 결혼비용 2억 원 넘어 결혼의향자는 목돈 마련 절실, 비혼자는 노후 대비 우선- 총자산이 20억 원에 가까워야 노후 대비 충분, 살 집과 개인연금 준비가 필수■ 엔데믹 후 평균 금융자산 1억 원 돌파, 저축자산 줄고 투자자산 비중 커져코로나19 시기인 ’22년 저축성 자산은 금융자산의 42%를 차지했고 다음 해 금리 상승과 함께 45%까지 높아졌다. 당시 평균 금융자산은 9천만 원에서 정체됐지만 엔데믹 후 ’24년 금융자산은 1억 원을 넘었고 투자상품 비중은 25%(’22년)에서 31%까..
[1강] 기조연설(엔비디아, 델타항공) 요약 및 시사점 (한국IR협의회 기업리서치센터 김경민 연구위원 ㅣ CES 2025 정보공유 세미나)https://youtu.be/4Pl7txCIwAM?si=dMOiEJRebhtWtJYG[2강] 주요 전시 기업 및 CES 혁신상 수상 기업 방문기 (한국IR협의회 기업리서치센터 김경민 연구위원ㅣCES 2025 정보공유 세미나)https://youtu.be/Kdcl9n_yXM8?si=lgO2N44UYNQCvRww“인천공항 못 잃어”…올해 100살 된 글로벌 시총 1위 항공사 델타항공의 성장 스토리 | 송영찬의 실리콘밸리나우https://youtu.be/DL0joN3j4WU?si=-8Lc5D8agAwhJtK5
https://youtu.be/mrd7M54m-Xg?si=2454FwTIytR4o3kK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글로벌 AI 가치 사슬 분석을 통한 AI 경쟁력 강화 전략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연구 배경 및 목적]- 우리 실정에 맞는 AI 경쟁력 강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글로벌 AI 산업 생태계의 발전 현황과 서비스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연구 추진 방안]- 생성형 AI 가치 사슬을 ‘AI 컴퓨팅 인프라’, ‘모델 개발’, ‘서비스 개발·배포’의 세 단계로 분류하고, 각 단계에서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전략과 대한민국이 직면한 도전 과제를 분석[주요내용]- 선행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생성형 AI 가치 사슬을 크게 세 단계로 구분: ①AI 컴퓨팅 인프라 ② AI 모델 개발 ③ AI 서비스 개발 및 배포?- 생성형 AI 가치 사슬 단계별로 글로벌 선도 기업 전략 및 서비스 동향 분석·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