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할 수 있다! 퀀트 투자(방어형 투자전략) 본문

Book/주식

할 수 있다! 퀀트 투자(방어형 투자전략)

DDOL KONG 2018. 2. 6. 03:00

방어형 투자전략은 'MDD 최소화'에 초점을 맞춘다. MDD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CAGR은 높은 한 자리나 낮은 두 자리를 거두는 전략이다. MDD최소화, 즉 '적게 잃고, 스트레스를 피하는' 방어력 증대는 성공 투자의 핵심이다.

워런 버핏 투자의 절대 원칙 : 첫째, 돈을 잃지 않는다. 둘째, 첫 번째 원칙을 잊지 않는다.

세타전략 : 총 자산 중 투자자산의 비중을 결정하는 작업이다.

- '자신을 파악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정리해본다.

(1) 가계부를 작성해 현재 연평균 생활비를 추정한다.

(2) 은퇴 시점까지 추가로 투입 가능한 투자 금액을 추정한다. 퇴직금도 포함한다.

- 투자를 시작하기 전 다음 3개 질문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1) 은퇴할 때 얼마의 자금이 필요한가?

(2) 이를 위해 매월 어느 정도의 금액을 투자해야 하나?

(3) 어느 정도의 투자 수익률을 달성해야 하나?

- 은퇴자금 계산의 핵심 내용을 정리한다.

(1) 은퇴자금 계산 공식과 온라인 계산기(구글: Invest Inflation Calculator https://translate.google.co.kr/translate?hl=ko&sl=en&u=https://www.calculatorsoup.com/calculators/financial/investment-inflation-calculator.php&prev=search>를 사용해, 안전하게 은퇴하려면 지금 투자해야 하는 자산이 얼마인지, 매월 추가로 적립해야 할 금액이 얼마인지 계산해보라.

(2) CAGR 1~2%를 만만하게 여기지 말라. CAGR 10%와 15%는 하늘과 땅 차이다.10% 버는 투자자는 15% 버는 투자자보다 2배의 기간을 일해야 한다!

(3) 향후 5~10년간 지출할 목돈을 예상해보라. 주택 구입, 결혼 자금, 부모님 병원비, 자녀 결혼 자금 등이 해당된다. 이 금액에 1.5를 곱한 후 그 금액은 투자 금액에서 제외해야 한다. 목돈은 예상보다 더 많이 나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50%의 안전마진을 추가한다. 꼭 써야 할 돈으로 투자하면  절대 안 된다. 그러면 마음이 조급해져서 실수를 범하게 된다.

베타전략 : 세타전략을 통해 투자 비중을 정한 다음 이 중에서 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을 결정하는 자산배분 전략에 해당한다.

투자전략 1 : 정률투자법

레벨 : 초급   /  스타일 : 자산배분

기대 CAGR : '주식지수 CAGR + 채권지수 CAGR'의 평균 +1%

매수 전략 : 총자산 중 50%를 코스피 지수에 투자하고, 나머지 50%는 국채 3년물에 투자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코스피 50%, 채권 50%로 재조정)

정률투자법은 주가가 하락하면 추가 매수하고 상승하면 일부 매도한다. 장기적으로 저가 매수, 고가 매도를 반복하게 되므로 단순 보유하는 것보다 실적이 좋은 것이다.

투자전략 2 : 증액투자법

레벨 : 초급   /  스타일 : 자산배분

기대 CAGR : 코스피 + 1~2%(20년 투자할 경우)

매수 전략 : 전체 자산을 3년채 국채에 투자

             국채에서 나오는 투자 수익을 코스피 지수에 투자

매도 전략 : 없음

이 전략은 리스크를 매우 싫어하는 이들에게 적합하다. 특히 주식 투자를 처음 하는 사람이라면 투자 금액을 서서히 늘리는 방법을 권한다. 주식은 심리 80% 기술20%의 게임인지라 그 수준을 벗어나면 불않나 마음에 실수하기 마련이다.

- 특성에 따라 상승주를 매수하고 하락주를 매도하는 투자 방식을 모멘텀(momentum) 전략이라고 한다. '추세 추종(trend following)'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매수한 후 주가가 떨어지면 즉각 손절매를 하고, 주식이 상승하면 최고점에 도달하고 나서 떨어지기 시작한 다음에 팔라.

모멘텀은 '절대적 모멘텀'과 '상대적 모멘텀'으로 나눌 수 있다. 절대적 모멘텀 전략은 장이 좋을 때 투자하고 장이 나쁘면 주식시장에서 빠져나와 현금을 보유하는 전략이다. 상대적 모멘텀 전략은 시장 상황과 상관없이 여러 종목 또는 자산군을 비교해 가장 수익이 높거나 손실이 적은 종목 또는 자산군에 투자하는 전략이다.

투자전략에 따라서 10개월 이동평균(200일)을 애용하는 투자자도 있고, 1개월(20일) 또는 6개월(120일) 기준으로 삼는 트레이더들도 많다. 

투자전략 3 : 추세투자법

레벨 : 초급   /   스타일 : 자산배분 + 모멘텀

기대 CAGR : 코스피 + 2~3%

매수 전략 : 3개월 이동평균이 상승 반전하면 코스피 지수 매수

매도 전략 : 3개월 이동평균이 하락 반전하면 코스피 매수 지수 매도한 후 전액 현금 보유

투자전략 4 : 정액매수 및 점증평가 적립식

레벨 : 초급   /   스타일 : 자산배분

기대 CAGR : 정액매수 적립식 : 코스피 + 1~2%

                 점증평가 적립식 : 코스피 + 3~4%

매수 전략 : 정액매수 적립식 : 매월 일정액 주가지수 ETF 매수

              점증평가 적립식 : 주식 평가액이 전월 대비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주가지수 ETF 매수

매도 전략 : 없음

적립식 투자를 진행하면 지수가 낮을 때 좀 더 많이 매수하고 지수가 높을 때 좀 덜 매수하게 된다. 종목을 여러 개로 분산투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매수 시점을 분산해도 투자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 특히 초보자는 주식 비중을 천천히 늘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투자전략 5 : 추세-점증평가 전환 적립식

레벨 : 중급   /   스타일 : 모멘텀 + 자산배분

기대 CAGR : 코스피 + 4~5%

매수 및 매도 전략 :

투자 전략 4에서 본 점증평가 적립식 적용 : 주식 평가액이 전월 대비 일정액 증가하도록 매매

그런데 3개월 이동평균이 하락 반전하면 전부 매도

3개월 이동평균이 상승 반전하면 원래 점증평가 적립식으로 보유해야 할 금액을 매수해 점증평가 적립식 진행

- 알파전략

투자전략 6 : 가치가중 포트폴리오

레벨 : 고급    /    스타일 : 자산배분

기대 CAGR : 내재가치 측정 스킬에 따라 천차만별

매수 및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리밸런싱 시점에 보유하고 있는 금액의 '내재가치' 측정(내재가치 = BPS+EPS×10)

모든 보유 주식의 내재가치/시가총액(V/P)을 계산

모든 보유 종목의 V/P를 합함

특정 주식 비중= (주식의 V/P/전체포트폴리오의 V/P)

알고 갑시다 - 분산투자, 이것만 기억해도 쪽박은 면한다.

(1) 같은 산업에 속한 주식은 상관관계가 높다. 바이오 30종목을 매수하는 것은 현명한 분산투자가 아니다. 바이오 산업이 타격을 받으면 모든 바이오주가 사이좋게 같이 급락한다.

(2) 바꿔 말하면, 업종이 서로 다른 주식은 상관관계가 낮은 편이다. 상관관계가 0 이하로 가는 경우는 드물지만, 0.5 이하인 경우는 상당히 많다. 그래서 투자할 때 종목 수만 보지 말고 산업별 분산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여러 나라 주식시장에 투자하면 상관관계가 더 낮아진다. 미국 시장은 오르는데 한국 시장은 약하거나, 일본 시장은 강한데 중국은 약세를 면치 못하는 등 국가별로 희비가 갈리는 경우는 많이 보아왔을 것이다. 국제 투자를 통해 위험을 낮울 수 있다.

(4) 자산군이 아예 다르면 상관관계가 더 낮아진다. 상관관계가 0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상관관계가 마이너스면 분산투자 효과가 더 강해진다. 예를 들어 주식 시장에서 사태가 벌어지면 안전자산 선호로 선진국 국채나 금값이 오르는 경우가 자주 있다. 자산군 분산투자도 투자 위험을 낮추는 좋은 방법이다.

(5) 결론 : 산업별, 국가별, 자산군별 분산투자로 투자 위험을 상당히 낮출 수 있다.

투자전략 7 : 유대인 포트폴리오

레벨 : 중급    /    스타일 : 자산배분

매수 전략 : 총자산을 아래 3개 자산에 3분의 1씩 투자

미국 리츠 ETF

미국 달러화 장기 국채 ETF

코스피 ETF

매도 전략 : 연 1회 리밸런싱

* 샤프 지수

샤프지수 = (초과수익(수익 - 예금금리)/표준편차)

초과수익은 높은 것이 좋고, 표준편차(변동성)은 낮은 것이 좋다. 그래서 동일한 초과수익 10%를 달성했다고 해도 똑같이 좋은 것은 아니다. 표준편차 10%를 감수하고 벌어들인 초과수익 10%가 표준편차 20%를 감수한 초과수익보다 더 의미 있다. 샤프지수는 '위험을 감수한 수익'이얼마인지를 측정하는 지표다.

* 주식 포트폴리오 몇 종목이 적당한가?

이 책에서는 대부분 20~30 종목을 추천한다. 되도록 산업별로 분산하고, '대형주 10개, 중형주 10개, 소형주 10개 종목'등 시가총액별로 분산하는 것도 좋다. 한 개의 투자전략에 적합한 종목 20~30개를 매수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투자 전략을 혼합하는 것이 유리하다. 시간을 분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만약 매월 3개 종목을 10개월에 걸쳐서 매수했다면? 첫달에 산 3개 종목은 손해를 봤겠으나 그 후에 산 종목들은 코스피가 반등하면서 결국에는 수익을 볼 가능성이 높아진다. 주식시장은 장기적으로 늘 우상향 흐름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 변동성을 줄이는 방법

1. 분산투자 : 특히 상관성이 낮은 자산에 분산한다.

2. 현금 비중을 높인다.

3. 필요하면 손절매를 실시한다.

4. 주기적인 리밸런싱한다.

* 평균 모멘텀 스코어(투자전략 37 : 슈퍼스타 K 참조)

(1) 모멘텀 전략을 실시할 때 최근 1,2,3 .... 12개월의 과거 수익을 각각 구한다.

(2) 각 과거 수익이 0 이상이면 1점, 0 이하면 0점을 부여한다.

(3) 이를 합하면 0~12점이 나온다. 이 총점을 12로 나눈다.

(4) 총점/12가 당월의 주식 투자 비중이고, 매월 이 비율로 '주식 대 현금' 또는 '주식 대 채권' 비중을 조절해 투자한다.

사례 :  코스피 지수의 1,3,6,8,9,10개월 과거 수익은 0 이상이었고 2,4,5,7,11,12개월 과거 수익은 0 이하였다. 평균 모멘텀 스코어는 6/12 = 0.5다. 그럼 50%만 주식에 투자한다. 만약 8개월의 과거 수익이 0 이상이고, 4개월의 과거 수익이 0 이하였다면? 8/12 = 66.6%를 주식에 투자하게 된다. 따라서 상승세가 아주 강력할 경우 스코어가 1에 가까워지므로 더 많은 돈을 주식에 투자하게 된다.

투자전략 8 : 예금이자 2배 벌기

레벨 : 초급    /    스타일 : 자산배분

기대 CAGR : 4~6%

매수 전략 : 

우량주 중 아무거나 한 종목 고르기

선정한 종목 매수 : 단, 투자 자금의 10%만 우량주 매수

나머지 90%는 국고채 ETF매수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투자전략 9 : 저변동성의 마술

레벨 : 초급    /    스타일 : 자산배분 + 모멘텀

기대 CAGR : 8~10%

매수 전략 : 단기 국고채 50% 유지

평균 모멘텀 스코어로 주식 비중 결정

주식 비중을 모조리 저변동성(로우볼) ETF에 투자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투자전략 10 : 손절매

레벨 : 중, 고급

기대 CAGR : 10~15%

매수 및 매도 전략 :

매월 첫 거래일 시가에 코스피 ETF를 매수

매일 주가 구간×배수를 손절선으로 계산하고 아래 사항 확인

- 월초 매수한 ETF가 손절선에 걸리지 않을 경우 : 지수 보유

- 월초 매수한 ETF가 손절선에 걸릴 경우 : 손절매, 현금 보유

- 손절매했을 경우 다음 달 첫날 코스피 ETF 매수

손절선 계산법 :

(1) 최근 6개월간의 주가 구간 계산

  - 주가 구간 계산법 : (전월 고가 - 전월 저가)/(전월 시가)

  - 최근 6개월간 주가 구간의 평균을 계산

(2) 이 평균 구간에 투자자가 선택한 배수를 곱합(배수 = 0~1)

  - 여기서는 배수-0.1을 사용

투자전략 11 : 변동성 타기팅

레벨 : 중급     /     스타일 : 자산배분

기대 CAGR : 변동성에 따라 다름

매수 전략 :  

- 특정 주가지수, 주식 또는 포트폴리오를 선택

- 주가지수, 주식 또는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계산

- 투자 비중을 목표 변동성에 맞춤

- 평균 모멘텀 스코어를 통해 다시 한 번 투자 비중을 조정

- 나머지 금액은 현금 보유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투자전략 12 : 국제 ETF 듀얼 모멘텀

레벨 : 중급     /     스타일 : 듀얼 모멘텀

기대 CAGR : 10~15%

매수 전략 :

- S&P 500, Euro Stoxx, Nikkei, KOSPI 중 최근 6개월간 가장 많이 상승한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

- 그런데 4개 지수 모두 6개월 수익률이 예금금리 이하로 하락하면 모든 ETF 매도 후 현금 보유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투자전략 13 : 위험 회피 듀얼 모멘텀

레벨 : 중급     /    스타일 : 듀얼 모멘텀

기대 CAGR : 6~8%

매수 전략 :

- Vanguard High Yield Corporate Fund(미국 불량사채 지수, VWEHX), Vanguard Short Term Treasury Fund(미국 단기 국채 지수, VFISX) 중 최근 6개월간 가장 많이 오른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

- 그런데 2개 지수의 6개월 수익이 예금금리 이하이면 모든 ETF 매도 후 현금(달러) 보유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투자전략 14 : 글로벌 주식 듀얼 모멘텀

레벨 : 중급     /     스타일 : 듀얼 모멘텀

기대 CAGR : 10~15%

매수 전략 :

- Vanguard 500 Index Fund(미국 S&P 500 지수,VFINX), Vanguard Total International Stock Index Fund(선진국 지수, VGTSX), Vanguard Emerging Markets Stock Index Fund(개발도상국 지수, VEIEX) 중 최근 6개월간 가장 많이 오른 지수에 투자

- 그런데 세 개 지수의 6개월 수익이 미국 예금금리(T-Bill) 이하이면 Vanguard Short Term Treasury Fund(미국 단기 국채 지수, VFISX) 보유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투자전략 15 : 자산군 분산 듀얼 모멘텀

레벨 : 고급     /     스타일 : 듀얼 모멘텀

기대 CAGR : 10~15%

매수 전략 :

- Vanguard 500 Index Fund(S&P 500 지수,VFINX), Vanguard High Yield Corporate Fund(미국 불량사채 지수, VWEHX), Vanguard Precious Metals Fund(귀금속 지수, VGPMX), PIMCO Global Bond Fund(글로벌 채권 지수, PIGLX), Vanguard Emerging Markets Stock Index Fund(개발도상국 지수, VEIEX), Vanguard REIT Index Fund (미국 리츠 지수, VGSIX) 6개 지수 중 최근 6개월간 수익률이 가장 높은 3개 지수에 동일한 금액을 투자

- 그런데 6개 지수 모두 6개월 수익이 미국 예금금리(T-Bill) 이하이면 Vanguard Short Term Treasury Fund(미국 단기 국채지수, VFISX) 보유

- 6개 자산군 중 1개 자산군만 최근 6개월 수익률이 T-Bill 이상이면 총자산 중 3분의 1을 그 자산에 투자하고, 나머지 3분의 2는 미국 단기 국채를 보유

- 6개 자산군 중 2개 자산군만 최근 6개월 수익률이 T-Bill 이상이면 총자산 중 3분의 2를 그 2개 자산에 투자하고, 나머지 3분의 1은 미국 단기 국채를 보유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투자전략 16 : 한국 팩터 듀얼 모멘텀

레벨 : 중급      /     스타일 : 듀얼 모멘텀

기대 CAGR : 15~20%

매수 전략 :

- WISE 스마트베타 Quality 지수, WISE 스마트베타 Value 지수, WISE 스마트베타 Momentum 지수, WISE 스마트베타 LowVol 지수를 추종하는 ETF 중 최근 6개월간 가장 많이 오른 지수에 투자

- 네 개 지수의 6개월 수익이 예금금리 이하로 감소하면 모든 ETF 매도 후 현금 보유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투자전략 17 : 한국 팩터 듀얼 모멘텀 + 50% 현금

레벨 : 중급      /     스타일 : 듀얼 모멘텀

기대 CAGR : 8~10%

매수 전략 :

- WISE 스마트베타 Quality 지수, WISE 스마트베타 Value 지수, WISE 스마트베타 Momentum 지수, WISE 스마트베타 LowVol 지수를 추종하는 ETF 중 최근 6개월간 가장 많이 오른 지수에 투자(주식 비중은 최대 50%로 유지함)

- 네 개 지수의 12개월 수익이 0% 이하이면 100% 현금 보유, 즉 주식 비중은 늘 0% 또는 50%로 유지함

매도 전략 : 월 1회 리밸런싱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