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맛과 건강 모두 잡은 中 기능성 식품 시장 동향 본문

투자

맛과 건강 모두 잡은 中 기능성 식품 시장 동향

DDOL KONG 2024. 6. 1. 02:51

젊은 세대의 건강 의식 높아지면서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식품 출시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제품의 선호도 높아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중국의 소비자들은 기능성 식품을 찾고 있다. 기능성 식품은 피로 해소, 수면 보조, 면역력 강화, 질병 예방, 스트레스 경감 등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식품을 의미한다. 최근 중국에서는 수면을 돕는 젤리, 위를 보호하는 프로바이오틱스,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는 효소 등 제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중국에서 보건 식품과 기능성 식품은 다른 개념으로 받아들여진다. 보건 식품은 법적으로 정의된 특정 기능이 있는 식품으로 영양소 보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기능성 식품은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식품으로 일반 식품과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 또한 보건 식품은 기능성 식품과 달리 법적인 규제가 있으며 엄격하게 관리된다. 기능적 측면에서도 보건 식품의 경우 법적으로 허용된 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건 식품의 기능을 홍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기능성 식품은 법으로 규정돼 있지 않아 효능을 홍보하기 어렵다.

중국 기능성 식품 시장 현황

인구 고령화와 소비 수준의 상승에 따라 중국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즈옌컨설팅(智研咨询)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기능성 식품 시장은 최근 7년간 연평균 7% 성장해 2017년 1482억 위안(약 27조9653억 원)에서 2023년 2197억 위안(약 41조4573억 원)으로 확대됐다. 성장 전망도 밝다. 중국 기능성 식품 보급률은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낮은 편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기능성 식품 보급률은 20%로 일본의 절반 수준이다. 하지만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중국 기능성 식품 시장은 더욱 성장할 전망이다.

기능성 식품 시장이 성장하면서 제품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기능성 식품은 부드러운 캔디, 젤리, 음료, 단백질 바, 동결 건조 식품 등의 형태로 제공되며, 소비자들이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업체들은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의 맛과 제품 섭취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 기능성 식품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


이러한 시장흐름에 따라 중국 내 기능성 식품 기업 수도 증가하고 있다. 중국 기업 검색 사이트 치차차(企查查)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 내 기능성 식품 관련 기업의 신규 등록 수는 2017년 2378개에서 2023년 1만9565개로 증가했다.

수요 동향

건강관리 열풍과 더불어 소비자층의 확대로 기능성 식품 시장은 더욱 인기를 끌고 있다. 사회구조가 변화하고 경쟁이 심화되면서 중국의 소비자들은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생활 습관으로 인해 각종 건강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의 시장조사기관인 36Kr연구소의 자료에 의하면, 2022년 중국 소비자들은 여러 가지 건강 문제를 겪고 있다. 설문조사에 답변한 소비자 중 위장장애, 불면증, 면역력 저하, 두피 및 모발 건강 악화 문제를 겪고 있다고 응답한 소비자 비중이 높았다. 특히 위장 건강 문제로 고민하는 소비자는 2021년 34%에서 2022년에는 39%로 비중이 확대됐다.

아울러 젊은 세대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 기능성 식품의 주요 소비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Z세대 영양 소비 트렌드 보고서'의 조사에 따르면, 영양제를 구매하거나 건강관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소비하는 ‘건강 소비 인구’는 도시 거주자 기준으로 1인당 연평균 1000위안(약 18만8000원) 이상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83.7%가 18~35세 연령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젊은 세대는 중장년층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젊은 세대는 체중 관리에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이며, 장 건강과 수면 관리에도 관심이 많아 이러한 수요에 중점을 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또 젊은 세대는 다른 세대와 비교해 접근이 쉬운 건강 유지 방식을 선호하고 약을 먹는 느낌을 주는 기능성 식품을 선호하지 않는다. 이러한 수요에 따라 중국 기능성 식품 시장에는 스낵 형태의 기능성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 소비자의 주요 건강 문제>
(단위: %)


정책 동향

정책적으로도 중국 정부는 기능성 식품 산업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2년 12월에는 '경공업의 고품질 발전 촉진에 관한 지도 의견'을 발표해 기능성 식품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유명한 브랜드를 육성하자는 목표를 제안했다. 산업 육성과 지원을 위한 정책도 있지만, 중국 브랜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규제 정책도 내놓았다.

중국 기능성 식품 시장 트렌드

트렌드①: 젤리 형태의 비타민, 건강 관리 식품

과자의 한 종류로 여겨졌던 젤리는 이제 중국에서 기능성 식품의 주요 형태로 자리 잡았다. 중국식품초상망(中国食品招商网)이 공개한 자료에 의하면 2022년 기준 중국의 기능성 젤리 시장 규모는 약 3억2800만 달러(약 4491억 원)로 전 세계의 31.3%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29년에 8억9900만 달러(약 5464억 원)에 달해 전 세계 시장의 40.8%에 달할 전망이다.

기능성 젤리의 주 소비자층은 90년 이후 출생의 젊은 소비자들이다. Innova Market Insights의 조사에 의하면 이들 소비자는 다른 유형의 기능성 식품보다 젤리로 된 기능성 식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젊은 세대가 건강관리에 더욱 관심을 가지면서 기능성 젤리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윈난바이야오(云南白药), 난징통런탕(南京同仁堂) 같은 전통적 제약회사들도 기능성 젤리를 출시하고 있어, 앞으로도 기능성 식품 시장에서 젤리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렌드②: 다양한 효능이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함유 식품

중국 건강제품협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규모는 1093억 위안(약 20조6249억 원)에 달했다. 또한 유로모니터는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소비시장 규모가 매년 11~12% 성장하고 있어 2026년에는 1377억 위안(약 25조9839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이 확대되면서 중국 프로바이오틱스 제품도 다변화됐다. 그동안 프로바이오틱스는 주로 장 건강과 관련된 제품이 주를 이뤘으나, 최근에는 여성 건강, 신진대사, 뇌 건강, 구강건강, 정서 관리, 체중 관리 등으로 분야가 확장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고 제품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프로바이오틱스가 함유된 스낵, 음료, 견과류와 같은 기능성 식품이 출시되고 있다.

트렌드③: 체중 관리, 운동애호가를 위한 고(高)단백질 함유 식품

건강, 체중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백질 섭취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 Innova Market Insights의 조사에 따르면 2022년 소비자 5명중 1명은 단백질 섭취량을 조절한 경험이 있다고 답변했고, 17%의 응답자는 고단백질 제품을 찾고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소비자 관심에 따라 칼로리가 낮고 단백질 함유량이 높은 기능성 식품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 유형으로는 단백질 바가 있고, 그 외에는 육포, 음료, 유제품, 비스킷 등이 있다. 고단백질 제품은 기존에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주로 소비했지만, 최근에는 여성 소비자에게도 확대돼 소비자층이 넓어지고 있다.

시사점

중국 식품 전문가들은 중국 기능성 식품은 보건 식품과는 명확하게 구분되면서 일반식품과의 경계는 더욱 모호해질 것이라고 말한다. 일반 음료와 스낵류 제품에서 ‘기능화’, ‘영양화’ 추세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이다. 식품기업의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인 탕리신(唐立新)은 "기능성 식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유제품의 기능화가 주요 추세가 될 것이다. 최근 우유나 요구르트 제품에서 칼슘 보충 기능이나, 수면 보조, 이너 뷰티 효과가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제품군이 확대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또한, 기능성 식품은 제품의 제형과 효과 외에 포장 디자인도 중요하다. 기능성 식품 제조 기업인 중국식품과학건강(中食科康)의 이사장 천줘(陈卓)는 “기능성 식품의 포장은 소비자가 제품 정보를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읽기 쉬운 글꼴과 아이콘을 사용해야 하며, 너무 복잡한 요소는 피해야 한다. 동시에 소비자의 사용을 고려해 포장 디자인은 가볍고 휴대가 쉽게 만들어 소비자가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제품의 기능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면서도 사용 용이성을 고려해 제품 포장 디자인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 기능성 식품 시장에서 주 소비자로 떠오르는 젊은 층을 사로잡기 위해서 제품 디자인도 시장에서 중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현재 중국 기능성 식품 시장에서는 젊은 소비자들이 주목받고 있지만, 고령층 소비자의 성장 가능성도 크다. 현재 중국에서 고령층을 위한 실버 식품 시장은 큰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고, 제품군도 유제품이나 오트밀 같은 전통적인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고령 인구가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증가하는 고령층 소비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은 부족하다. 향후 고령층 소비자 대상으로는 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제품이나, 근육 강화, 관절 관리, 기억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제품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중국 정부도 실버산업 육성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고령인구를 위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지원과 관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젊은 세대부터 중장년층까지 건강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구가 늘면서 중국 기능성 식품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식품기업은 중국 식품 시장 진출 시 중국의 기능성 식품 트렌드와 정부 정책, 소비자 수요를 살펴 대응해야 한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21570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