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그림으로 읽는 생생 심리학 본문

Book

그림으로 읽는 생생 심리학

DDOL KONG 2017. 7. 20. 04:30

[ 학습 심리 ]

- 내적 동기 : 행동 자체에 즐거움을 느껴 발생하는 강하고 능동적인 동기.

  외적 동기 : 행동에 따른 보상을 목표로 발생하는 약하고 수동적인 동기.

  내적 동기가 작용해 일어난 행동에 상을 주게 되면 긍정적이었던 내적 동기가 외적 동기로 변할 수도 있다.

 좋아하는 일에는 상을 약속하지 말고, 반대로 고쳐주고 싶은 나쁜 버릇에 상을 주라.

- 동기와 학습 수행률은 역 U자 관계이다. 동기가 너무 높거나 혹은 너무 낮으면 비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편안한 마음으로 적당한 수준을 유지하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하게 되는 이유는 '정보의 영향'과 '집단의 압력' 때문이다. 이런 동조율은 같은 행동을 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강해지지만, 평균 3명이 같은 행동을 할  때 가장 효율적으로 동조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 누군가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이나 기대가 그 대상에게 실제로 실현되는 현상. 자기 자신에게 스스로 갖는 믿음 역시 이러한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 능력보다 노력을 칭찬하라.

-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 : 과거의 잦은 실패나 좌절로 인한 무기력, 의욕상실.  상황과 자신의 능력은 항상 변화한다는 것을 잊지 말고 다시 한 번 도전하자.

[ 경제 심리 ]

-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 : 가격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계층의 과시욕, 허영심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

- 손실혐오(Loss aversion) : 같은 금액의 돈이어도 이익을 보았을 때보다 손해를 보았을 때 훨씬 민감하게 느끼고 반응하는 현상.

[ 인간관계 심리 ]

- 단순노출 효과(Mere exposure effect) : 단순히 자주 보여지는 것만으로도 대상에 대한 호기심이 증가하는 현상. 그러나 첫인상이 나쁠경우, 반대로 점차 호감도가 낮아진다.

- 단계적 요청 : '문간에 발 들여놓기(The foot-in the door technique) 라고도 불리는 요청기법으로 상대가 받아들이기 쉬운 요청에서 단계적으로 제안 수준을 높여가는 방법

- 낮은 공 기법 : 어려운 부탁을 단편적으로 말해 쉬운 부탁인 것처럼 위장했다가 상대방이 수락하면 구체적인 내용을 말함으로써 목적을 이루는 기법.

  그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기법 : 원래 기본 구성에 포함되어 있는 상품을 추가적인 '덤'처럼 말해 구매율을 높이는 기법.

- 방관자 효과(Bystander effect) : 위기상황 발생 시, 자신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있으면 상황에 대한 책임감이 분산되는 현상. 따라서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 처했을 때는 다수의 군중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보다 한 사람을 지목해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자기관리심리 ]

- 초두효과(Primacy effect) : 처음 제시된 정보가 나중에 제시된 정보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

  신근성 효과(Recency effect) : 나중에 제시된 정보가 처음 제시된 정보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

  후광 효과(Halo effect) : 한 가지 좋은 특성으로 인해 다른 점까지 모두 좋을 것이라 예측하는 현상.

  부정성 효과(Negativity effect) : 사람의 인상에서 긍정적인 특성보다 부정적인 특성이 더 부각되는 현상.

- 자기암시요법 : 스스로 '나는 발전하며, 해낼 수 있다'는 생각을 되뇌어 각인하는 요법. 자기암시요법에서처럼, 지속적으로 자신이 열망하는 것을 이루는 모습을 그리며 동시에 할 수 있다는 다짐을 하게 되면, 결국은 그 목표에 다다를 수 있다.

- 떠벌림 효과(Profess effect) : 자신이 목표를 삼은 행동을 공개적으로 표방함으로써 스스로 책임을 갖고 주위의 지원을 얻어 목표를 달성하게 만드는 효과. 단, 스스로 의지가 없는 떠벌림은 그저 떠벌림으로만 남게 되므로 주의한다.

-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 :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는 증거는 쉽게 발견하거나 일부러 찾는 반면, 자신의 신념에 부합하지 않거나 반대하는 증거는 무시하고 격하시키는 현상.

[ 애정 심리 ]

- 대조 효과(Contrast effect) : 두 사물이 차례로 제시되었을 때 처음에 제시된 사물을 기준으로, 나중에 제시된 사물과 처음에 제시된 사물과의 차이를 실제 차이보다 훨씬 크게 인식하는 현상.

- 거울 효과(Mirror effect) : 호감을 느끼는 사람의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따라하는 심리. 거울효과를 통해 나에 대한 상대의 호감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 역시 상대의 행동을 유사하게 따라함으로써 나에 대한 상대방의 호감을 일으킬 수도 있다.

- 바넘 효과(Barnum effect) :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