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메이드 인 차이나’ 꼬리표 부담... 中기업도 ‘탈중국’ 본문

투자

‘메이드 인 차이나’ 꼬리표 부담... 中기업도 ‘탈중국’

DDOL KONG 2023. 5. 31. 10:00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과 중국과의 갈등이 지속으로 세계 각국에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제조업체들도 국나라 밖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중국산 부품에 대한 미국 등의 무역 제재로 거래처에서 외면받자, 외국에 공장이나 법인을 세워 ‘중국산’ 꼬리표를 떼려는 궁여지책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이 중국의 경제 봉쇄나 코로나발(發) 공급망 타격을 피해 중국이 아닌 국가나 지역으로 공급망을 분산하는 ‘차이나 플러스 원(China plus one)’ 전략을 중국 기업들이 구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SCMP에 따르면 중국 광둥성의 헬멧 제조 기업인 둥관타오뤠운동기기는 3000만 달러(약 400억원)를 들여 베트남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생산 규모 확대나 비용 절감 목적이 아니다. 미국과 유럽의 바이어가 우리에게 베트남에서 생산하기를 직·간접으로 요구했다”고 했다.

중국 북부 허베이성의 한 부품 생산 업체도 중국산이란 이유로 수출에 어려움을 겪자 공장 해외 신설 계획을 검토했다. 자금난으로 당장 계획을 실행에 옮기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고 SCMP는 전했다.

중국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본토에 자리 잡았던 대만 제조업체들도 해외로 공장을 옮기는 추세다. 애플의 최대 협력 업체인 대만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은 최근 인도 카르나타카주와 베트남 응에안 지역에서 각각 부지를 매입하는 등 해외 공장 신설을 준비하고 있다. 폭스콘의 본사 소재지는 대만이지만 공장은 중국 정저우에 있다. 폭스콘 정저우 공장은 아이폰의 최대 생산 기지다.

인건비가 빠르게 상승하고, 인구 감소로 블루칼라(생산직 근로자) 구인난이 심각해진 점도 기업들이 중국 밖으로 눈을 돌리는 원인으로 꼽힌다. 올해 코로나 방역이 해제됐지만 외국 기업의 중국 기업 인수나 지분 투자를 뜻하는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감소세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중국의 실제 투자 기준 FDI 규모는 735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3% 줄었다. 중국 상품 수출이 세계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21년 15.1%에서 지난해 14.4%로 감소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05536?sid=1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