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한국, 금융위기 때 보다 심각"…BIS 통계에 경고등 켜졌다 본문
한국 가계 원리금 부담, 전세계 2위
"금융위기 때보다 크다"
"금융위기 때보다 크다"
한국 가계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국제결제은행(BIS)이 집계한 17개국 가운데 호주에 이어 2위로 올라섰다. DSR은 가계의 연 소득 대비 원리금 부담을 뜻하는 지표로 코로나19 이후 10분기 연속 증가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코로나19 당시 저금리로 대출을 받아 집을 산 가계가 특히 한국에서 급증했는데,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이들이 짊어진 원리금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BIS가 국가 신용리스크 지표로 활용하는 '신용갭'은 적정 수준을 뛰어넘어 43개국 가운데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작년 하반기 이후 자영업자 대출이 급증하면서 가계부채 구조가 경기 불황에 더욱 취약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원리금 부담, 금융위기 때보다 크다"
BIS가 내놓은 가계 평균 DSR은 대출이 없는 가계도 통계에 포함되기 때문에 대출이 있는 차주만 계산한 DSR보다 숫자가 적다. 분기동안의 국가 전체 가계부채를 총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구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로 계산한 주택담보대출 차주의 평균 DSR은 60.6%에 달했다. 차주의 원리금 부담이 이미 규제 비율(40%)을 웃도는 와중에도 계속 늘고 있다는 게 분석의 핵심이다.
한국의 민간 부채 수준은 이미 위기 단계에 돌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BIS가 국가의 금융위기 지표로 활용하는 '신용갭'은 16.2%를 기록하며 조사대상 43개국 가운데 일본(21.1%) 다음으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신용갭은 민간신용(가계신용+기업신용)이 장기추세에서 벗어난 수준을 의미한다. 이 수치가 10%를 웃돌면 위험 수준인 '경보' 단계로 분류한다. 43개국 중 경보단계로 분류된 국가는 일본과 한국, 태국 뿐이다.
신용리스크, 한국만 높아졌다
하지만 경보단계로 분류된 3개국 가운데 한국만 3분기 들어 '나홀로' 반등했다. 한국에서만 차주들이 원금을 갚지 못해 원리금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은 2020년 발간한 '금융·실물 연계를 고려한 금융불균형 수준 평가' 이슈노트에서 "가계 신용이 과도하게 상승하면 중기적으로 경제성장이 둔화되며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작년 하반기부터 자영업자 대출 급증
이 중 취약차주의 대출 잔액은 97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7% 증가하면서 비취약차주의 대출증가율(13.8%)을 크게 앞질렀다. 취약차주는 이용한 가계대출과 개인사업자 대출상품 수가 3개 이상이면서 저소득이거나 저신용인 차주다. 한국은행은 "원금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정책의 효과가 소멸된다는 가정 하에 취약차주의 2금융권 부실 위험 대출 규모는 19조5000억원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추산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