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2/04 (7)
DDOLKON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uckY/btsL5Ck8qp6/BpI3TkZ5sCeLdTnCCYPj01/tfile.jpg)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70&CONTENTS_NO=1&bbsGbn=00&bbsSn=506,242,244,322,245,444,246,464,518,505,484&pNttSn=225210&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506,242,244,322,245,246,464,518,505,484&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NewsAll=&pNewsCd=506&pNewsCd=242&pNewsCd=244&pN..
미래 서울 변화 대응한 ‘다핵 네트워크’ 체계,상호 보완·연계로 중심지 기능 고도화해야서울 중심지체계, 2030 서울플랜 이후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의 다핵화1990년 이후 서울시에서는 법정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최초로 법정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 1990년 이후 1997년, 2006년, 2014년, 2023년 총 다섯 차례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공간구조 구상을 통해 공간적 이슈에 대응하고 균형발전, 광역화 대응 등 정책목표를 실현하고 있다. 서울이 양적·질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2030 서울플랜 이후 중심지체계는 기존 단핵구조에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으로 이어지는 다핵구조로 전환되었다.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2023)에서는 기존의 중심지체계를 유지하고, 기능 고도화 등 질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