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Rebuilding Ukraine - 우크라이나 재건사업과 국내 기업의 기회(삼일PwC경영연구원) 본문

투자

Rebuilding Ukraine - 우크라이나 재건사업과 국내 기업의 기회(삼일PwC경영연구원)

DDOL KONG 2025. 2. 20. 03:55

I.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쟁 배경: 유럽 내 안보질서를 둘러싼 러시아와 서방국가 간 갈등 및 산업·자원 등 경제적 이해관계에서 비롯
러시아에게는 안보 측면, 서방에게는 러시아 견제 측면에서 우크라이나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에도 지속된 러시아의 영향력 행사와 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 견제
우크라이나가 보유한 핵심 광물의 높은 경제적 가치
종전 논의: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전쟁 지속 지지 여론 급감
트럼프 대통령의 종전 협상 시도 지속
유럽 내 우크라이나 지원 여론 분열 및 우크라이나 국민의 전쟁 피로감 증가

II.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사업
재건사업 논의 동향
국제사회는 2022~2024년 3차례 진행된 Ukraine Recovery Conference(URC)에서 재건 방향과 과제 논의
재건사업을 파괴시설 복구를 넘어 경제성장의 기틀을 마련하고 국가 개혁 기회로 삼는다는 구상

6대 우선 복구 사업 분야

분야주요내용
1에너지송배전선 복원 및 수리, 재생에너지 개발 및 전력망 보호 등을 통한 발전 용량 복원 및 분산화
2교통내부 및 국경 간 연결에 중점을 둔 운송 도로, 철도, 교량, 항구, 우편 서비스 재건
3주택 및 공공시설주택 수리 및 재건, 중앙 난방, 에너지 효율, 상하수도, 폐기물 관리 서비스 복원
4사회 기반 시설 및 서비스학교 및 의료 시설의 수리, 재건축, 사회·문화 인프라, 서비스 복원
5산업 및 서비스투자 및 무역 위험 제거를 중점에 둔 산업 및 상업, 농업 등 민간 부문 주요 산업 및 서비스 복원
6부문별 우선순위지뢰 제거, 통신, 디지털 및 사이버 보안, 비상 대응 및 시민 보호, 민주주의, 정의 및 인권 강화


우크라이나 지원 현황
2022~2024년 10월까지 집계된 국제사회의 우크라이나 지원 규모는 4,213억 달러(약정액 기준)
재건에 소요될 자금조달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민간 자본 투자 필요

’22년 1월 24일 ~ ’24년 10월 31일 국제사회의 우크라이나 지원 약정액 (단위: 십억 달러)


재건사업에 필요한 자금조달
국제기관과 각국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 세계은행 등은 대출 형태로 자금 지원
민간 자본 투자: 원활한 투자를 유도하고 사업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증 프로그램(전쟁보험) 도입
러시아 동결자산 활용: 러시아의 반발과 보복성 동결조치 가능성이 있어 국제사회의 논의 필요
국가별 재건사업 참여 현황
(EU) 도시 재건 및 현대화, 중소기업 사업 지원 계획 등
(미국) 우크라이나 최대 지원국. 전쟁위험 재보험 기금 마련, 중소기업 대출 포트폴리오 보증 등
(폴란드) 우크라이나 지원의 허브 역할 수행. 주택 건설·에너지·교통 인프라 등 자국 기업 참여 독려
(일본) 정부 차원에서 우크라이나 경제 재건 총괄 협의체 발족. 아시아 지역 내 가장 적극적인 지원 행보
(한국) 우크라이나와 도시개발·전력 인프라·원자력·자원 공동개발 등 재건 협력방안 논의
 
III. 기회/리스크 요인
(기회) 막대한 재건사업 규모
2022~2023년까지 발생한 피해에 기반한 피해복구 비용은 4,862억 달러(약 700조 원)
과거 이라크 재건사업 참여 이력이 있는 에너지, 운송·교통, 주택 등 부문에서 국내기업의 참여기회 예상

부문별 복구 필요금액 규모 (단위: 십억 달러)


(리스크) 우크라이나 재정난·부패문제 등
전쟁으로 인해 국가 재정운영 대부분을 원조에 의존 ☞ 심각한 재정적자로 재건사업 추진 여력 낮음
정치 · 공공 부문의 부패문제로 재건사업 과정의 투명성 약화 우려
지원금액이 큰 국가에게 사업 우선권이 주어져 상대적으로 한국이 사업기회 측면에서 열위에 있을 가능성
 
IV. 시사점 및 제언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으로 전쟁 종식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전후 재건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글로벌 기업 간 사업 선점 경쟁이 높아질 전망
기업 차원에서는 리스크를 면밀히 검토하되 유망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와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고려
정부 차원에서는 효율적 · 안정적 사업 참여를 위해 투자정보, 투자 인센티브, 보증 프로그램 등 제공 고려
전략적 제언
기업
사업성 및 안정성 등의 리스크를 고려한 선택적 사업 분야 진입
재건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 국가와의 협업
① EU, 폴란드 등 적극적인 지원과 상대적으로 풍부한 정보 보유한 국가와의 협력 필요
② 일본 상사 및 건설 등 관련 분야에서 일본 기업과의 협업 및 공동 프로젝트 수행
글로벌 네트워크를 보유한 전문가 집단 활용(회계법인이나 법무법인 등을 활용)
정부
정부 차원의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제공
금융,대출 지원 등 투자 인센티브 제공
사업 안정성을 위한 정부 차원의 보증프로그램 지원


samilpwc_rebuilding-ukraine.pdf
2.92MB



https://pwc.to/4hX2Pxd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