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美연준 파월 "트럼프 금리 발언, 연준 결정에 영향 안 미칠 것"/ 美 1월 소비자물가 '깜짝 상승'…계란·휘발유값 상승에 3.0%↑(종합)/ 본문

투자

美연준 파월 "트럼프 금리 발언, 연준 결정에 영향 안 미칠 것"/ 美 1월 소비자물가 '깜짝 상승'…계란·휘발유값 상승에 3.0%↑(종합)/

DDOL KONG 2025. 2. 13. 03:55

美연준 파월 "트럼프 금리 발언, 연준 결정에 영향 안 미칠 것"

"물가 목표 근접했지만 아직 도달 못해…1월 물가 지표도 같은 상황 설명"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09471




美 1월 소비자물가 '깜짝 상승'…계란·휘발유값 상승에 3.0%↑(종합)

전월대비 상승률 0.5%로 1년5개월만에 최대…근원지수 상승률도 3.3% 정체
인플레 우려 재개에 美 국채금리 급등…주가↓·달러화↑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09427




MSCI 글로벌지수에 현대차 인도법인 편입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08506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 "美데이터센터 수주 임박…관세는 기회"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12일 "보안상 구체적인 업체를 밝힐 순 없지만 미국 (빅테크의)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거의 수주 단계에 와 있으며 올해 말 또는 내년쯤엔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유명한 데이터센터 기업들이 LS일렉트릭 청주공장 찾고 있고, 고객 니즈에 맞춰 제품 개발도 열심히 하는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도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전력 수요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빅테크 기업의 수주 가능성도 점쳐지면서 LS일렉트릭의 실적은 견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LS일렉트릭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인공지능(AI) 서비스 업체 xAI에 배전반(전력 배분 장치)를 납품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조만간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 센터로도 배전반을 납품할 것으로 전해진다.
구 회장은 "관세 정책으로 미국 시장에 나가는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한국 업체들 사이에서 미국에 공장을 지으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며 "이는 전력 수요 폭발로 이어질 것이고 회사는 초고압 변압기, 배전반,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의 사업 영업력을 강화해 미국 시장에서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07756




오리온 작년 영업이익 첫 5천억원 돌파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08222




MSCI 한국지수서 롯데케미칼 등 11개사 무더기 편출…편입 없어(종합)

한국지수 구성종목 92→81개로 감소…MSCI EM 지수 내 한국비중도 타격

편출 종목은 엔켐, GS, 한미약품, 금호석유, 엘앤에프, LG화학우, 롯데케미칼, 넷마블, 포스코DX, 삼성E&A, SK바이오사이언스 등이다.
이에 따라 MSCI 한국 지수 편입 종목은 92개에서 81개로 줄어들었다.
지수 변경은 2월 28일이고, 실제 지수의 변경 유효 시작일은 3월 3일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07641




대체거래소 내달 4일 출범…첫 거래종목은 롯데쇼핑 등 10개(종합)

출범 당일 증권사 28곳 참여…위탁매매 서비스 경쟁 본격화

처음 거래되는 10개 종목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롯데쇼핑, 제일기획, 코오롱인더스트리, LG유플러스, S-Oil 등 5개와, 코스닥시장의 골프존, 동국제약, 에스에프에이, YG엔터테인먼트, 컴투스 등 5개가 될 예정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08729




미의회, 함정 건조시장 문 열어줬다[양낙규의 Defence Club]

해안경비대 준비태세 보장법 등 2건 발의
동맹국에 함정 건조 허용… 한화오션 수혜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545134




삼성 공장 방문한 엔비디아, HBM 공정 직접 챙겼다

천안캠퍼스 패키징라인 직접 점검
삼성, 상반기 납품문제 마무리 계획
하반기 6세대 HBM4 양산에 총력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07549




'3조클럽 식품사' 해외 매출 다 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07285




'월급 올라도 왜 가난해지나' 했더니…곡소리 나는 한국

묻지마 高물가…"오늘이 가장 싸다"

서민 덮치는 전방위 물가 상승

마트상품 464개 중 절반 올라
무 등 채소값, 1년새 두 배로
아파트관리비·교육비 치솟아
"고환율에 물가 잡기 어렵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3363




"유럽 승무원들도 한국오면 싹쓸이"…다이소 핫템 뭐길래 [트렌드+]

다이소 색조화장품 매출 전년대비 80% 성장
해외카드 결제 금액·건수 각각 50%, 42% '쑥'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2991




"딥시크보다 싼데 왜 말 안했나"…LG 깜짝 발표에 '술렁'

"국가차원서 알렸어야"

딥시크보다 저렴하게 AI모델 개발한 LG

70억 투자한 엑사원 3.5
임직원용으로만 배포돼
"韓, 홍보 소극…실력 홀대"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3353




한국서 루이비통 싹쓸이하던 중국인들…알고 보니 '발칵'

中서 재판매 늘자…韓 백화점에 "리베이트 지급 중단"

韓서 따이궁 '손절'한 LVMH

"백화점, 외국인 큰손에 6% 환급
두분기 연속 역성장에 적극 유치
'수억어치 매입' 따이궁 외면 못해

LVMH "유통 질서 흐린다" 우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2280




이젠 카드·핸드폰 필요 없네… 1초만에 '얼굴'로 편의점 결제

토스, 다음 달부터 '페이스페이' 서비스 시작
편의점 계산대 전용 단말기에서 '얼굴 인식'으로 결제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152010




“AI칩 2나노 시장 잡아라”… 韓-대만-日 ‘파운드리 삼국지’

1등 주자 TSMC, 하반기 양산
삼성, 공정고도화-고객 확보 사활
日라피더스, 4월 시제품 생산 계획
“맞춤 제작 통한 고객사 확보가 핵심”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614676
 



한화 필리조선소 견습설명회에 1200명 우르르…타사도 美진출 본격 저울질 [비즈360]

한화, 숙련공·견습생 등 美 현지 고용문 활짝
올들어 10여개 직군 채용 및 교육 프로그램
“현지 건조 요구 ↑”…타사 진출 여부 관심

K-조선의 미국 협력 기대감이 고조된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추가 진출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미국 필리 조선소를 인수한 한화그룹은 현지 고용문을 활짝 열며 정상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미국 존스법(Jones Act) 및 함정사업 확장계획을 포함한 중장기 경영계획을 수립 중”이라며 “고용 규모는 사업 확장 및 자동화 기술 도입 등을 종합 고려해 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현지화 작업은 미국 군함 건조, 선박 유지·보수·정비(MRO) 분야 등 수주를 확대하기 위한 포석이다. 지난달 미 의회예산국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 해군은 보유 군함을 향후 30년 동안 총 390척(군수·지원 함정 포함)까지 늘릴 계획이다. 한화오션은 일단 시설보안인증(FCL)을 획득해 미국 주요 해군 함정 사업을 추진하며 MRO 사업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이 회사는 지난달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올해 미 해군 함정 5~6척의 MRO 사업 수주 계획을 밝혔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427771




엔비디아 2300억 익절…국민연금 새로 눈 돌린 이 종목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20279




트럼프 "우크라 전쟁 곧 종료"…'1,200조' 재건시장 열린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5/0001198265




신약 ‘세노바메이트' 질주…"올해가 더 좋다…2년 뒤 美 뇌전증 시장 1위" [바이오리더스클럽]

■SK바이오팜
작년 첫 흑자···올해 판매 본격화
매출 추정치 7000억 '30% 성장'
영업·마케팅에 400억 추가투자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449332




글로벌 제약사들 '매출 1위 제품' 상당수 3년 내 특허 만료 앞둬…향후 대책은

- 주요 제약사들 특허 방어 전략으로 제형 변경과 적응증 확대
- 신약 개발·포트폴리오 확장, 바이오시밀러 직접 개발 나서기도


다국적 제약사가 보유한 매출 1위 품목을 분석한 결과, 이들 중 상당수가 2025년부터 2028년 사이에 특허 만료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수년간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및 제네릭(복제약)과의 시장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허 만료를 앞둔 주요 품목으로는 노바티스(Novartis)의 심부전 치료제인 '엔트레스토(Entresto, 성분 사쿠비트릴·발사르탄)', 아스트라제네카(AZ)의 당뇨병 치료제인 '포시가(Farxiga, 성분 다파글리플로진)', 암젠(Amgen)의 골다공증 치료제인 '프롤리아(Prolia, 성분 데노수맙)' 등이 있다. 이들 3개 제품은 당장 올해부터 주요 특허가 만료될 예정이다.
그밖에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BMS)와 화이자(Pfizer)의 항응고제인 '엘리퀴스(Eliquis, 성분 에픽사반)'의 특허 만료 시점은 2026년이다. 화이자의 경우 매출 2위 품목인 폐렴구균 백신인 '프리베나 제품군(Prevnar family)'도 2026년 특허가 만료된다.
다국적 제약사들이 특허 만료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268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