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단독] 실손보험 있어도… 도수 치료 본인 부담 90%로 상향/ “9만원에 판다고 샀더니 설치비가 10배”...엄동설한에 서민 울리는 ‘가짜 보 본문

일상

[단독] 실손보험 있어도… 도수 치료 본인 부담 90%로 상향/ “9만원에 판다고 샀더니 설치비가 10배”...엄동설한에 서민 울리는 ‘가짜 보

DDOL KONG 2025. 1. 5. 03:48

의료개혁특위, 9일 정부안 공개… 과잉 진료 줄여 중증 보장 확대

정부가 도수 치료 등 실손보험 청구가 빈번한 비중증·비급여 치료에 대해서는 실손보험의 본인 부담률을 현행 20%(평균)에서 90% 이상으로 대폭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비중증 치료에 대한 실손보험 보장 한도도 현행 50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축소하고, 일일 20만원까지만 보장하게 할 방침이다.

정부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실손·비급여 개편안’을 오는 9일 관련 공청회에서 공개한다. 비중증 보장은 대폭 줄이고 중증 보장은 늘리는 ‘5세대 실손보험’의 골자를 발표하는 셈이다.

3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는 ‘관리 급여’를 신설해 가격 통제를 받지 않는 고가의 과잉 비급여 치료들의 통일된 가격을 정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도수 치료, 체외 충격파(통증 완화 시술), 증식 치료(통증 완화 주사) 등이 관리 급여 항목에 편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렇게 되면 가격이 낮아져 병원 입장에선 이런 치료를 권할 유인이 적어진다.


경증으로 응급실 가면 본인 부담금 4.5배 내야

‘관리 급여’ 항목에 들어오면 정부가 중증·비급여 치료의 가격(수가)과 본인 부담률을 결정할 수 있다. 정부는 ‘관리 급여’ 항목 내 과잉 비급여 진료의 경우 건강보험의 본인 부담률을 90% 이상으로 높게 정하고, 실손보험도 이와 똑같이 90% 이상의 본인 부담률을 책정할 계획이다. 현재 실손보험의 평균 본인 부담률이 20% 정도임을 감안하면 4.5배로 대폭 인상되는 셈이다.

의료계에선 그동안 대형 병원 응급실로 몰리던 경증 환자의 부담도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작년 말 경증 환자가 중환자 치료를 전담하는 대형 병원 응급실에 내원할 경우 건강보험의 본인 부담률을 20%에서 90%로 올렸다. 총진료비가 100만원이 나왔다면 본인이 90만원을 내야 한다는 뜻이다.

지금까지는 가입한 실손보험을 통해 90만원 중 72만원을 돌려받을 수 있어, 실제 내는 돈은 18만원(본인 부담률 20%) 정도였다. 그런데 정부가 추진하는 ‘실손보험과 건강보험 본인 부담률 연동제’가 시행되면, 실손의 본인 부담률도 90%가 된다. 이렇게 되면 본인 부담금은 18만원에서 81만원으로 급증한다.

정부는 ‘병행 진료 급여 제한’도 추진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급여인 물리 치료와 비급여인 도수 치료를 섞어 동시에 진료를 하면, 급여 치료인 물리 치료 비용까지 100% 본인이 부담하게 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도 미용·성형, 라섹 등의 일부 비급여 치료는 급여 치료와 병행 진료를 하면 급여를 제한하고 있다”고 했다. 가령 코막힘 치료 명목으로 비급여인 ‘비밸브 재건술’(코 내부 확장)과 급여인 ‘비중격 교정술’(코뼈 교정)을 병행 진료하면 건보 적용이 되는 ‘비중격 교정술’ 비용 총 135만원까지 모두 본인이 내야 한다. 도수 치료, 무릎 주사, 비타민D 주사 등 과잉 비급여 치료도 이렇게 하겠다는 뜻이다.

의료개혁특위 관계자는 “체외 충격파 같은 비중증·비급여 치료 항목들의 효과를 재평가해서 안전성과 유효성이 부족하다고 판단이 되면 아예 그 의료 행위를 못 하도록 퇴출하는 방안도 개편안에 포함될 것”이라고 했다.

비중증·비급여 질환에 대해서는 실손보험의 보장 한도도 현행 50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대폭 축소할 예정이다. 또 ‘일 실손 한도’를 신설해 경증 통원 치료는 하루 20만원까지만 보장할 계획이다. 실손 가입자들이 하루에 여러 병원을 돌며 3~4개 통증 치료 등을 받는 ‘비급여 쇼핑’을 막겠다는 취지다. 경증 입원은 1회당 보장 한도를 300만원으로 정했다. 정부 관계자는 “내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5세대 실손보험은 비중증·비급여 질환의 본인 부담률을 현재의 30%에서 50%로 인상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실손 청구가 가장 많은 상위 ‘10대 비급여·비중증 항목 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할 예정이다. 정부 내에선 “현재로선 도수 치료, 영양 주사, 일부 척추 시술, 비급여 MRI, 증식 치료, 체외 충격파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가 나온다.

반면 중증 질환에 대해선 실손 보장 범위를 전보다 더 넓힐 계획이다. 과잉 비중증 보장 범위를 줄이고 그 돈을 중증 질환으로 돌리겠다는 얘기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임신 당뇨, 사산, 전치태반(태반 위치 이상), 자궁외임신 등 기존에 실손보험 적용이 되지 않았던 임신·출산 관련 여러 치료 항목을 신규 보장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중증에 대해선 경증과 달리 질병당 실손 보상 한도(5000만원) 등 주요 혜택을 유지하기로 했다.

실손보험 가입 연령 상한도 지금의 75세에서 90세로 확대한다. 보험료율 갱신 기간도 5년에서 ‘5년 내’로 단축하는 내용도 개편안에 포함됐다고 한다.

그동안 비중증·비급여 치료의 실손보험 과다 청구 문제는 여러 문제를 유발했다. 2016년 한양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손 가입자의 의료비 지출액은 미가입자보다 네 배 많았다. 또 작년 기준, 실손 청구가 많은 정형외과 의원 수는 5년 만에 24.2% 증가했지만 비급여 항목이 거의 없는 필수 진료과인 소아과 의원은 1.8% 감소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80380





“9만원에 판다고 샀더니 설치비가 10배”...엄동설한에 서민 울리는 ‘가짜 보일러’ 주의보

오픈마켓에 최대 10분의 1 가격으로 판매 등록
현장서 ‘눈덩이 설치비’ 요구...결국 대리점가 상회
제조사 “생산단가 고려 시 30만원 미만 제품 불가”
무자격 업체 설치 시 화재 위험성도 커져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23644

“9만원에 판다고 샀더니 설치비가 10배”...엄동설한에 서민 울리는 ‘가짜 보일러’ 주의보

오픈마켓에 최대 10분의 1 가격으로 판매 등록 현장서 ‘눈덩이 설치비’ 요구...결국 대리점가 상회 제조사 “생산단가 고려 시 30만원 미만 제품 불가” 무자격 업체 설치 시 화재 위험성도 커

n.news.naver.com






노후 쪽박? 국민연금까지 압류?…이 통장이면 걱정 끝

은퇴 후에 자영업을 하다 퇴직금까지 날리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게다가 금융기관 대출을 사업 밑천으로 썼다가 제때 갚지 못하면 계좌가 압류됩니다. 이런 상태에서 국민연금이 들어온다면? 계좌에 있는 돈과 연금액이 섞이기 때문에 국민연금까지 압류될 수 있습니다.
물론 법원이 모든 예금통장을 압류하더라도 한달 최저 생계비인 185만원까지는 압류를 해제할 수 있지만, 매월 반복해 법원에 신청해야 해 번거롭고 실제 돌려받기까지 시간이 꽤 걸린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번거로움을 아예 막을 방법이 있습니다. 국민연금급여 수급 전용계좌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일명 국민연금 안심 통장(계좌)으로 미리 대비해두는 것입니다.
국민연금 안심통장은 어떠한 경우에도 채권자가 압류할 수 없습니다. 법원 압류 대상에서 아예 배제되는 것입니다. 노후 생활의 최후 보루인 국민연금 수급권을 실질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2010년 5월에 법제화됐습니다.
노령연금이나 유족연금, 장애연금(1~3급) 등을 수급권 보호금액인 월 185만원까지만 넣을 수 있습니다. 가령, 국민연금 수령액이 200만원이라면 15만원은 일반계좌로 받아야 합니다. 반환일시금이나 사망일시금 등의 일회성 연금 급여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일회성 급여는 계좌를 쪼갤 수 없습니다. 185만원이 넘으면 전액 일반계좌로 받아야 합니다. 이에 ‘185만원 제한’ 조항은 시대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개선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안심통장에는 연금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외의 돈은 예금주 본인이라 하더라도 입금할 수 없습니다. 다만, 카드대금 등을 다른 계좌로 이체하거나 출금은 자유롭습니다.
가입 방식은 간단합니다. 은행과 우체국, 상호금융(신협, 수협, 새마을금고 등), 저축은행 등 전국 22개 금융사를 방문해 안심통장을 만든 뒤, 연금 수령계좌로 지정하면 됩니다.
타행 이체 수수료 면제 혜택을 비롯해 은행마다 다양한 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1893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