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미국 핵심광물 전략과 공급망 분석 본문
목차
I. 미국 핵심 광물 전략
1. 미국 핵심 광물 정책 및 전략
2. 미국 핵심 광물 수입 의존도 현황
3. 미국 핵심 광물 리스트
II. 광물별 현황
1. 리튬(Lithium)
1) 생산 현황
2) 수요 및 수출입 동향
3) 주요 기업 및 프로젝트 현황
2. 희토류(Rare Earth)
1) 생산 현황
2) 수요 및 수출입 동향
3) 주요 기업 및 프로젝트 현황
3. 망간(Manganese)
1) 생산 현황
2) 수요 및 수출입 동향
3) 주요 기업 및 프로젝트 현황
4. 형석(Fluorite)
1) 생산 현황
2) 수요 및 수출입 동향
3) 주요 기업 및 프로젝트 현황
5. 아연(Zinc)
1) 생산 현황
2) 수요 및 수출입 동향
3) 주요 기업 및 프로젝트 현황
6. 몰리브덴(Molybdenum)
1) 생산 현황
2) 수요 및 수출입 동향
3) 주요 기업 및 프로젝트 현황
7. 구리(Copper)
1) 생산 현황
2) 수요 및 수출입 동향
3) 주요 기업 및 프로젝트 현황
III. 시사점
1. 국내 핵심 광물 확보를 위한 주요 전략
2. 공급망 다각화를 통한 중국 의존도 축소
부록. 참고문헌
요약
□ (위협 요인) 주요 핵심 광물의 높은 중국 의존도
◦ 기후 변화 대응 노력 속 전기차(EV), 배터리, 재생에너지 등 미래 주요 산업 분야 관련 핵심 광물의 에너지 전환 수요 증가
◦ 중국은 풍부한 매장량과 발달한 정제·가공·활용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핵심 광물 공급망의 패권을 쥐고 자원 무기화
◦ 미국은 캐나다와 중국에 대해 가장 높은 광물 수입 의존도를 보이는 가운데 중국의 광물에 대한 수출 통제가 가속화됨에 따라 핵심 광물과 기술의 공급망 다각화에 대한 중요성 제기
□ (국가 전략) 국내 생산 투자 확대 및 동맹국 중심 협력 강화
◦ 미국은 2018년 이후 핵심 광물의 수입에 있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공급망을 다각화하기 위해 일관된 노력 추진
◦ 50대 핵심 광물을 목록화하여 공급망 취약성을 조사하고 생산 현황을 관리하며, 국내 생산 확대를 위해 광물 프로젝트의 규제 간소화 및 R&D 투자 확대
◦ 캐나다, 호주, 일본, 한국 등 동맹국 중심의 협력 강화를 통해 공급처 전환을 통한 핵심 광물의 탈중국화 방안 모색
□ (시사점) 공급망 전략을 위한 미 핵심 광물 7개 품목 동향 조사
◦ 한국은 미국의 광물 안보 파트너십(MSP) 국가일 뿐만 아니라 전기차, 배터리 산업 등 자국 주요 산업 공급망 관리를 위해 미국의 광물 공급망 정책 및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
◦ 본 보고서는 핵심 광물 7개(리튬, 희토류, 망간, 형석, 몰리브덴, 아연, 구리) 품목에 대한 미국 매장 및 생산 동향과 개발 프로젝트 동향을 소개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7QOSGxI4oIDi.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