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공급망 거점센터로 도약하는 홍콩, 우리기업의 기회요인은? 본문

투자

공급망 거점센터로 도약하는 홍콩, 우리기업의 기회요인은?

DDOL KONG 2024. 12. 11. 02:12

홍콩 정부, 중국 본토 기업의 해외 진출 거점으로서의 역할 강화
전문서비스 분야를 넘어, 혁신 분야 R&D 및 기술 이전 등 업스트림 공급망 분야로의 중국 본토기업의 홍콩 활용도 확대
홍콩을 중국 본토와 제3국 시장으로 진출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 필요


홍콩은 일국양제(一國兩制) 제도 아래에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자유로운 외환 거래, 유연한 노동 시장, 낮은 세율을 바탕으로 아시아의 금융 허브이자 중계무역 거점으로 자리매김했다. 아울러, 홍콩 정부는 중국 본토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과 해외 기업의 중국 본토 진출을 위한 양방향 거점 역할인 ‘슈퍼 커넥터(Super-connector)’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도 혁신에 힘쓰고 있다. 특히 금융, 무역, 인력, 법률(지식재산권 포함) 등 전문 서비스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거점(R&D센터 등)으로의 홍콩의 전략적 가치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홍콩 정부의 공급망 거점으로서의 역할 강화 노력

전문서비스

홍콩은 무역 및 공급망 중심지로서, 법률, 회계, 무역 금융, 생산 관리 등 다양한 전문 서비스 분야에서 풍부한 인재와 뛰어난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아울러, 홍콩 정부는 지속적인 법률 및 제도 개선을 통해 강점을 지닌 다양한 전문서비스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홍콩 정부에서는 2024년 10월 시정연설을 통해 홍콩을 고부가가치 공급망 센터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우선, 자문 서비스 지원 체계를 개선한다. 홍콩 투자청(InvestHK)과 홍콩 무역 발전국(HKTDC)은 중국 본토 기업이 홍콩에 국제 또는 지역 본사를 설립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에게 맞춤형·원스톱 전문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기업에 대한 수출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홍콩 수출 신용보험국(ECIC)은 보험 최대 보전 비용을 기존 90%에서 95%까지 상향 조정한다. 또한 공급망 센터의 역할 강화를 위해, 금융, 해운 산업 분야의 육성을 더욱 강화 할 계획이다. 국제 금융 허브로서의 홍콩을 금 거래 중심지로 발전시키고, 위안화 표시 증권 상품을 개발하여 홍콩 주식시장에 새로운 자본과 상품을 유입할 예정이다. 또한, 해운항만발전국 (Hong Kong Maritime and Port Development Board)을 설립하여 해운업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통해 선박 중개, 해상 보험, 선박 임대업 등 고부가가치 해운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중국 본토 기업들의 홍콩의 전문 서비스 분야에 대한 선호도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무역발전국(HKTDC)이 2024년 11월에 발표한 조사 보고서(Hong Kong: Mainland Enterprises’ Preferred Platform for “Going Out” (2024 YRD Survey Results))에 따르면, 응답한 311개 중국 본토 기업의 91%가 향후 3년 이내에 해외에서 비즈니스 활동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77.2%는 홍콩 기반의 전문 서비스를 활용해 사업 확장을 희망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2019년 약 50%, 2023년 62.1%에 비해 홍콩을 거점으로 해외 진출을 원하는 본토 기업의 비율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중국 본토 기업의 전문 서비스 수요 지역 순위>


홍콩 투자청(INVEST HK)에서도 홍콩의 공급망 센터로서의 역할 강화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24년 9월 8일 ‘중국본토 기업의 다국적 공급망 관리 센터로서의 홍콩’을 주제로 중국 본토 푸젠성에서 세미나를 개최했다. 홍콩 투자청은 본토 기업들이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와 웨강아오 대만구(GBA) 개발정책, 홍콩의 전문서비스를 활용하여 해외 진출을 촉진하도록 장려했다.

R&D 분야

홍콩 정부는 홍콩이 국제 지식 기반 경제로 도약하고, 웨강아오 대만구(GBA) 진출의 거점이자 중국 기업의 연구개발(R&D) 센터로서 혁신 기술과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 과학기술기금(Innovation and Technology Fund, ITF)
홍콩 혁신과학기술부(Innovation and Technology Commission, ITC)는 R&D 및 기술 이전 지원에 대한 정책을 담당하며, 과학기술기금(Innovation and Technology Fund, ITF)을 운영하고 있다. 이 자금은 홍콩 기업의 기술 혁신을 통한 부가가치 증대를 위해 조성되었으며,주로 R&D 지원(37.5%), 기술 도입(Technology adoption)(16.4%), 기술인재 양성(16.5%), 과학 기술 분야 스타트업 지원(1.1%) 등에 사용되고 있다.

ITF의 R&D 지원은 혁신 및 기술 지원 프로그램(Innovation and Technology Support Programme, ITSP), 중국본토-홍콩 공동 자금 지원 제도( Mainland-Hong Kong Joint Funding Scheme, MHKJFS), 광동-홍콩 기술 협력 펀딩 제도(Guangdong -Hong Kong Technology Cooperation Funding Scheme, TCFS), R&D 현금 보전 제도 (R&D Cash Rebate Scheme, CRS) 등 총 6개로 나뉜다. 이 중, 중국본토-홍콩 공동 펀딩 제도(MHKJFS)는 2019년 4월 홍콩과 중국 본토의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 간 R&D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24년 9월 기준으로 총 110개의 프로젝트가 승인되었으며 총 지원된 금액은 약 2억 천만 홍콩 달러다. 광동-홍콩 기술 협력 펀딩제도(TCFS)는 2004년 홍콩과 광동, 선전의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 간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2024년9월 기준 총 408건의 프로젝트에 약 10억 홍콩달러가 지원됐다.

2)전략기업유치국(Office for Attracting Strategic Enterprises, OASES)

홍콩 정부는 2022년 혁신 기술과 산업 육성을 위해 전략기업유치국(OASES)을 신설하고 생명과학, 인공지능, 데이터과학, 첨단 기술 등 전략 산업 분야의 중국 본토 기업 및 글로벌 기업을 홍콩으로 유치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024년 3월 20일 OASES는 존리 행정장관과 폴찬 재무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25개의 전략적 기업이 홍콩 정부의 전략 파트너가 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생명 및 건강 기술, 인공지능 및 데이터 과학, 핀테크, 첨단 제조 및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기업 25개(중국 19개/미국 6개)와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이들 대부분은 홍콩에 R&D센터와 지역 비즈니스 본부를 설립할 예정이다.

OASES는 2024년 11월 11일, 두 번째 파트너십 체결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기업, 상공회의소, 연구기관, 관련 정부 부처 등에서 약 200여명이 주요 인사가 참석하였으며, 재무 장관인 폴 찬(Paul Chan)의 주재로 17개의 전략 기업이 홍콩 정부의 전략적 파트너가 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바이오, 인공지능, 핀테크, 첨단 제조 및 신재생 에너지 기술 분야의 관련 기업들은 홍콩에 글로벌 또는 지역 본부를 설립할 계획이다.

증가하는 중국 본토기업의 홍콩 진출현황

홍콩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홍콩에 등록된 기업*의 모기업 국가 중 중국 본토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홍콩 통계청 기준, 지역본부(Regional Headquarters), 지역사무소(Regional Offices, 홍콩 외 타국에도 지사운영), 지방사무소(Local Offices, 홍콩에만 지사운영) 개념 모두 포함

<최근 5년간 모기업 소재국(Top5)별 기업 수(단위 : 개사, 비중 %)>

구분’19’20’21’22’23
➊ 중국본토1,799(19.9%)1,986(22.0%)2,080(23.0%)2,114(23.5%)2,177(24.1%)
➋ 일본1,413(15.6%)1,398(15.5%)1,388(15.3%)1,388(15.5%)1,403(15.5%)
➌ 미국1,344(14.9%)1,283(14.2%)1,267(14.0%)1,258(14.0%)1,273(14.1%)
➍ 영국713(7.9%)665(7.4%)667(7.4%)655(7.3%)641(7.1%)
➎ 싱가포르466(4.9%)453(5.0%)449(5.0%)463(5.2%)477(5.3%)
 

 
2024년 상반기 홍콩의 투자 유치 프로젝트 건수는 전년 대비 43% 증가한 총 322건에 달했으며, 이 중 중국 본토 기업의 홍콩 투자 건수는 150건으로 전체의 46.5%를 차지했다. 이는 2023년 전체 중국 본토 기업의 프로젝트 수인 136건을 초과한 수치로, 투자 유치 프로젝트에서 중국 본토 기업의 비율이 크게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중국 본토 기업의 홍콩 진출 사례

1.CATL R&D 센터

2024년 10월 15일, 홍콩과학기술원(HKSTP)에서 중국 본토 최대 리튬 이온 배터리 제조업체인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CATL)의 R&D 센터 설립 개소식이 열렸다. R&D 센터는 9000 sqft로, 200명의 연구 인력이 신규 채용될 전망이다. CATL의 R&D 공동 회장인 Ouyang Chuying 은 개막식에서 홍콩은 글로벌 금융 및 무역 중심지로서 최고의 인재를 유치하고 글로벌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라고 언급했다.

2. DEHENG 법률 사무소

베이징 DEHENG 법률사무소는 1993년에 설립되어, 중국 본토에서 최초로 증권 법률 업무와 해외 상장 업무 허가를 받은 법률사무소 중 하나다. 2019년에는 중국 베이징 본사와 중국 내 지사의 법률 서비스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홍콩에 사무소를 설립했다. DEHENG 법률사무소 관계자는 홍콩을 플랫폼으로 활용해 중국 본토 고객에게 글로벌 수준의 우수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고, 세무, 신탁, 자산 관리 등 법률 업무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홍콩은 우수한 인재들이 모이는 중심지로, 뛰어난 국제 법률 서비스 인재를 채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홍콩은 국제 금융 중심지로서 투자 인수합병 및 IPO 등 자금 조달 관련 법률 서비스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홍콩 국제 중재센터는 고객의 분쟁 해결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 절감에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고 언급했다.

시사점

홍콩 정부는 일국양제의 특수성을 활용해 중국 기업의 해외 진출과 해외 기업의 중국 진출을 위한 양방향 거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홍콩 정부의 정책지원 덕분에 중국 본토기업들은 홍콩의 우수한 전문서비스 인프라 활용을 위한 홍콩 진출뿐만 아니라, R&D 및 기술 이전 등 업스트림 공급망 분야로의 홍콩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우리 기업들은 홍콩을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하여 중국 본토와 제3국 시장에 진출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증가하는 홍콩 소재 중국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중국 본토로의 진출이 가능하다. 특히, 소비재의 분야는, 시장 진입 장벽이 낮고 트렌드 변화에 민감한 홍콩 시장을 테스트 마켓으로 활용한 후, 중국 기업과의 협력하여 본토로의 추가 진출을 고려할 수 있다. 홍콩 내 일정 소비는 중국 본토 여행객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홍콩 시장은 중국 본토 진출을 위한 적합한 테스트 마켓이다. 또한, 일부 홍콩 바이어와 유통망은 중국 내 협업 파트너를 보유하고 있어, 이들과의 협업을 통해 중국 본토로의 진출을 시도할 수 있다. 홍콩에 진출한 국내 서비스 분야 기업은 CEPA를 활용하여 중국 본토 진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2024년 10월, 홍콩과 중국 본토는 CEPA(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 내‘서비스 무역 협정’ 2차 개정 협정에 서명했으며, 금융, 건축, 관광, 영화, 통신 등 서비스 분야의 시장 개방이 확대될 전망이다. 홍콩 기업이 본토에 회사를 설립할 때 출자 비율 및 업무 범위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며, 홍콩 전문가가 본토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자격 요건도 완화된다. 또한, 홍콩 서비스의 본토 수출에 대한 규제 수준도 낮출 계획이다. 이러한 개방 조치는 웨강아오 대만구(GBA)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며, 홍콩에 진출한 국내 서비스 기업의 본토 진출이 더욱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홍콩 시장은 수출 외에도 한국 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한 금융, 투자, 법률 서비스, 인력 교류 등 복합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홍콩을 기반으로 중국 기업과 협력하여 제3국 진출 등 다양한 기회를 모색 할 수 있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2&pagePerCnt=10&SITE_NO=3&MENU_ID=70&CONTENTS_NO=1&bbsGbn=00&bbsSn=506,242,244,322,245,246,444,464,518,505,484&pNttSn=222889&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506,242,244,322,245,246,464,518,505,484&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NewsAll=&pNewsCd=506&pNewsCd=242&pNewsCd=244&pNewsCd=322&pNewsCd=245&pNewsCd=246&pNewsCd=464&pNewsCd=518&pNewsCd=505&pNewsCd=484&sSearchVa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