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전문가 인터뷰] 잦은 지각과 과한 영상·게임 몰두…나도 성인 ADHD?① 본문

일상

[전문가 인터뷰] 잦은 지각과 과한 영상·게임 몰두…나도 성인 ADHD?①

DDOL KONG 2024. 3. 4. 03:50

ADHD란?
6년 새 국내 성인 ADHD 6배 증가
성인 ADHD 의심 증상과 치료법
부부 사이, 배우자가 ADHD면 이혼율 높아

대한 ADHD(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협회 이성직 박사는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5% 정도를 ADHD로 추정하고 있다며 최근 6년간 국내에서 ADHD 진단을 받은 성인(20~80대)이 약 6배 증가했다고 말했다. 또한 직장인의 경우 지각하기, 업무 미루기 등이 반복된다면 ADHD를 의심해봐야 한다고 전했다.

이 박사는 ADHD에 대해 "주의력 유지의 어려움, 과잉행동과 충동성이 주요한 증상으로, 신경발달장애 가운데 하나"라며 "개인마다 증상과 어려움의 정도가 천차만별이고 한 때는 아동․청소년기의 발달장애로 간주하였으나 아동기에 진단받은 다수가 성인기로 이어지게 되어 전생애적인 장애로 여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성인 ADHD의 증상으로는 "만성적인 지각하기, 업무 미루기, 우울과 불안, 대인관계의 어려움, 과다한 영상이나 게임에 몰두, 지시 사항을 따르는 어려움, 시간 관리의 어려움, 정리의 어려움과 낮은 자존감 등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DHD로 인해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큰 건 사실이나, 그렇다고 불가능한 건 절대 아니다"라며 "약물 사용이나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부부 사이에서도 한쪽 배우자가 ADHD라면 이혼율이 2~3배 정도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단순히 두 사람의 문제 뿐 아니라 자녀에게서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한다"고 당부했다.

다음은 이 박사 인터뷰 전문이다.

▲ ADHD(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란?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란 주의력 유지의 어려움과 과잉행동과 충동성이 주요한 증상으로 신경발달장애 가운데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스펙스럼장애로 간주하여 개인마다 증상과 어려움의 정도가 천차만별입니다. 한 때는 아동․청소년기의 발달장애로 간주하였으나 아동기에 진단받은 다수가 성인기로 이어지게 되어 전생애적인 장애로 여기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성인의 5% 정도를 ADHD로 추정하고 있고 국가간 메타분석에서 ADHD는 성인의 2.5%에서 발생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9월부터 ADHD에 대한 건강보험 급여 혜택이 65세 이하로 확대됨에 따라 지난 6년간 ADHD 진단을 받은 성인(20~80대)은 2017년 7748명에서 2021년 4만 5018명으로 약 6배나 증가하였습니다(건강보험 심사평가원, 2021).

▲ 어떨 때 성인 ADHD를 의심해야 할까?
직장인의 경우 만성적인 지각하기, 업무 미루기, 잦은 야근하기, 만성적인 우울과 불안, 감정 조절의 어려움, 대인관계의 어려움, 과다한 영상이나 게임에 몰두, 지시 사항을 따르는 어려움, 시간 관리의 어려움, 정리의 어려움 등, 낮은 자존감 등을 들을 수 있다.

그리고 학교 다닐 때 따돌림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많고 흔히 눈치가 없어서 실수를 자주하게 된다.

성인이 된 ADHD 환자는 어릴 때부터 다른 사람의 말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남들은 30분 걸릴 거 몇 배 시간이 더 걸리거나 책을 읽다가 자꾸 까먹거나 하는 등의 증상들을 통해 본인이 다른 사람과 다름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 성인 ADHD가 최근에 갑자기 늘어난 이유?
성인 ADHD는 성인이 되어서 갑자기 생기는게 아니라 주로 자신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해 모르다가 우연히 책이나 인터넷 그리고 방송을 통해서 알게 되어 자가진단이나 병원에 방문하여 진단을 받는 경우가 흔합니다. 지난 10년간 방송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대중들이 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ADHD 증상과 자신의 어려움을 비교하면서 이를 통해서 진단을 받게 된 경우가 다수입니다.

▲ 왜 성인 ADHD가 위험하다고 하는지
직장에서 잦은 일 처리 실수나 과제/업무 처리 미루기, 대인관계에서 사회성 부족과 배우자와의 만성적인 갈등, 능력과 학력에 비해 낮은 성취, 만성적인 우울과 불안, 낮은 자존감, 타인 불신과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으로 삶의 질은 떨어뜨리고 개인이 가진 역량을 온전히 발휘하는데 큰 장애가 됩니다.

동반장애로 인해 사회적 비용도 클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잦은 의료 진료나 결근, 그리고 범법 행위(폭력, 강간, 절도, 교통사고, 마약 등)등으로 교정 시설에 수용하는 빙용도 발생합니다.

▲ 성인 ADHD 치료법
일차적으로 약물 사용을 시도합니다. 그리고 비약물치료 방식으로 인지행동치료를 사용합니다. 주로 시간 관리하기, 대인관계 기술, 자존감 개선, 과제나 업무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해야 하는 일 미루지 않고 처리하기, 역기능적인 사고나 신념 바꾸기, 내담자의 강점을 사용하기 등의 작업을 합니다.

ADHD 약물 치료는 안경과도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시력이 안 좋아서 책을 제대로 못 읽듯이 적절한 약물 치료로 교정이 가능합니다.

▲ ADHD가 있으면 사회생활을 할 수 없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큰 게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불가능한 건 절대 아닙니다. 실행기능의 약하기 때문에 지시사항이나 업무처리에 애로를 겪는게 사실입니다. 명문대 출신 ADHD 성인들도 자주 상담을 하지만, 공통적으로 팀워크에 취약합니다. 특히 소통기술이나 사회성 기술이 약합니다. 주로 직장생활은 상사의 지시에 따라 일을 처리하거나 팀원들과 협력해서 과제나 업무를 처리하는데 시간 개념이 약하고 일을 미루는 성향으로 인해 팀워크에 약합니다.

▲ 그 외 대인 관계 속 ADHD
사회성 기술이 약하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보는 타자 조망하기가 약하기 때문에 언어적인 실수를 하거나 대화에서 지나치게 장황스럽게 독점하는 경우가 있어서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리고 부주의가 심한 ADHD 성인의 경우 대화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고 대화를 따라가거나 대화에 끼이지 못하고 겉돌게 되는 경우도 흔하고 대인관계에서 잦은 실수나 눈치가 없는 행동으로 인해 심리적인 상처가 있는 ADHD 성인의 경우 사회불안으로 인해 과도한 긴장을 하거나 대인관계를 회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기혼자의 경우 배우자와 자녀와의 갈등으로 심각한 불화를 경험하게 되고 부부 이혼으로도 자주 이어지게 되어 심각한 장애라 할 수 있습니다.

배우자 가운데 ADHD가 있으면 이혼율이 2~3배 정도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고, 한쪽 배우자가 ADHD면 다른 한쪽이 부모 역할을 하게 됩니다. 지적과 잔소리에 ADHD가 있는 배우자는 회피하거나 도망가게 되고 계속 반복되면 결국 폭력성까지 나타냅니다.

나아가 단순히 두 사람의 문제 뿐 아니라 자녀에게서도 문제가 생깁니다.

엄마가 ADHD면 자녀의 학업 관리나 집안 정리 등이 약하거나 못해서 문제가 되고 본인이 감정조절을 잘 하지 못해 아이와 마찰이 계속됩니다. 아빠가 ADHD면 언어적, 신체적 폭력을 가해 아이를 위축시키기도 합니다.

그래서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본인이 ADHD 장애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32863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