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25조 잭팟 터졌다’…LG화학, GM과 양극재 50만톤 공급계약/ [단독]삼성, 레인보우로보틱스 인수 앞당길 듯…‘삼성로보틱스’ 사명 검토/ 본문

투자

‘25조 잭팟 터졌다’…LG화학, GM과 양극재 50만톤 공급계약/ [단독]삼성, 레인보우로보틱스 인수 앞당길 듯…‘삼성로보틱스’ 사명 검토/

DDOL KONG 2024. 2. 8. 02:47

‘25조 잭팟 터졌다’…LG화학, GM과 양극재 50만톤 공급계약

메리 바라 GM 회장 韓 방문 가시적 성과
2035년까지 양극재 50톤 이상 장기 공급
전기차 약 500만대 이상 생산 가능 분량
테네시 공장 가동 2026년부터 공급 시작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669897




[단독]삼성, 레인보우로보틱스 인수 앞당길 듯…‘삼성로보틱스’ 사명 검토
https://n.news.naver.com/article/449/0000267536




코인거래소 예치금, 앞으로 은행이 관리한다

오는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 예정
금융위, 2월 중 불공정거래 조사·제재에 관한 규정 제정 예고

https://n.news.naver.com/article/243/0000056127




“한국주식 탈출은 지능순?”…저평가주 뛰어도 개미들 ‘콧방귀’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255995




"성과급 더 달라" 요구에 대기업 몸살

현대차노조 특별성과급 요구
정유사도 성과급 규모 고심
기업 책정기준 변경 움직임도
한화, RSU제도 전 계열사 확대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256192?sid=101




파운드리·HBM 강자 뭉쳤다 …'AI슈퍼칩' 주도권 잡기 포석

삼성전자 견제 반도체 동맹
하이닉스, HBM 만들어 보내면
TSMC가 GPU에 붙여 완성
사실상 AI반도체 시장 장악
HBM 미세공정 TSMC가 맡고
차세대 패키징까지 협력 확대
기술 고도화로 시너지 노려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256184?sid=101




‘명절 테크’ 이만한 데 없다?…신상도 30~40% 저렴, 거래 몰리는데

당근마켓 중고나라 등 중고거래 플랫폼
먹거리부터 화장품까지 설선물 거래
시세보다 저렴…판매-구매 모두 이익
홍삼 등 건강식품은 중고거래 ‘불법’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255993?sid=103




마이크로소프트 PBR 12배, ASML 24배…삼성전자는 1.29배 ‘만성적 저평가’ [Bye 디스카운트, Buy 코리아]

각국 시총 1위 기업 PBR 비교
삼성전자 PBR 1.29…평균 1.43 수준
MS보다 12배, 애플보단 38배 낮아
경쟁사 TSMC PBR은 삼성보다 4.35배↑
독일·네덜란드·프랑스·덴마크 등도 앞서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264218




"삼성에 큰일이 난 게 분명하다"…'잃어버린 10년' 결과물은

JY 뉴삼성 시대
(3) 삼성, 무너진 경쟁력 회복 시급

따라잡힌 D램·'넘사벽' 아이폰
위기의 주력사업 '초격차' 살려야

격전지 HBM서 힘겨운 경쟁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애플 71% vs 삼성 17% 큰 격차

사법 리스크로 '잃어버린 10년'
긴 안목으로 연구개발 투자하고
세상에 없던 기술 확보 나서야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46463?type=main




"성과급, 5년 뒤 주식으로 주겠다"…한화 파격 보상에 '들썩'

성과급 제도 개편

'RSU' 全계열사·팀장까지 적용
장기적으로 실적·가치 끌어올려
자사주 매입…주가 부양 효과도

경영 승계 도구 논란에 정면돌파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46485?type=main




940억 주고 산 빌딩, 단돈 1300원에 팔았다…눈물의 매각

저금리 호황 끝나자 '헐값' 속출

캐나다연금, 7100만弗에 산 美맨해튼빌딩
단돈 1弗에 지분 매각

재택근무 확산…IT기업들 감원
美오피스 공실률 19.6% 사상 최대
2.7조弗 규모 美부동산 대출 위태

무디스애널리틱스에 따르면 2022년 말 18.8%이던 미국 오피스 공실률은 지난해 말 19.6%로 올라가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고금리에 공실률까지 상승하면서 부동산 소유주들의 대출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다. 부동산 정보업체 트렙에 따르면 지난해 1월 1.86%이던 오피스 대출 연체율은 올 1월 6.3%로 치솟았다. 20조달러(약 2경6000조원) 규모에 달하는 미국 상업용 부동산시장에서 주로 낡고 작은 건물 투자자, 소규모 펀드, 부동산개발사, 건설사들이 높아진 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조7000억달러(약 3589조6500억원) 규모인 은행의 상업용 부동산 여신 중 지역은행 등 중소형 회사의 대출이 80%에 달한다. 블룸버그통신은 “낡거나 작은 건물일수록 공실률이 높다”며 “낡은 건물은 친환경 설비 요건 등 각종 규제 때문에 리모델링해 용도를 전환하기도 어렵다”고 분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46453




美 상업용 부동산 악몽에…"손실 어쩌나" 공포에 떠는 한국

NYCB 신용 강등…주가 급락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46442




알리, 韓 판매자 모집에 고심하는 제조사들

수수료 '제로' 공식화

판매·입점수수료 없는 파격 조건
한국 브랜드 저인망식 유치 나서
버튼만 누르면 판매자 간편등록

대기업 제품만으로는 확장 한계
K뷰티 브랜드 겨냥 '러브콜'

한국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는 중국의 알리익스프레스가 한국 상품 코너인 ‘K-베뉴’의 판매자 공개 모집에 나섰다. 알리에서 물건을 팔고 싶은 누구나 버튼만 누르면 판매자로 등록할 수 있게 했다. 그간 개별적으로 유치했던 대형 브랜드뿐 아니라 이름이 잘 알려지지 않은 중소 브랜드까지 저인망식으로 긁어모으겠다는 의도다.

K-베뉴는 작년 10월 알리익스프레스가 연 한국 브랜드 전문관이다. LG생활건강 애경 쿠쿠전자 깨끗한나라 한국P&G 등 20여 개 브랜드가 입점했다. 알리는 다음달까지 수수료를 일절 받지 않는 조건을 앞세워 입점을 유도했다. K-베뉴를 연 뒤 앱 월간 사용자가 넉 달 만에 약 172만 명이나 늘었다. 현재 알리 사용자는 717만여 명으로 쿠팡과 11번가에 이어 3위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46401?sid=101




[특파원칼럼/김현수]美 강력 성장에도 커지는 2030세대의 좌절

S&P500 신기록… 2030 “월가 딴 나라 얘기”
고금리-고물가 후유증은 끝나지 않았다

요즘 미국 경제는 연일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는 지표가 쏟아지고 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4일(현지 시간) 공개된 CB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경제도, 고용시장도 강하고 물가는 내려가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가 너무 좋아서 연준이 충분히 시간을 두고 금리 인하 시점을 고민해도 되는 ‘여유’가 있다는 의미의 발언도 이어졌다.

증시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미 투자심리를 지배하던 연준의 통화정책에서 이제 어느 정도 벗어나 빅테크의 화려한 실적이 증시를 떠받치는 모양새다. 지난주 뉴욕커뮤니티뱅코프(NYCB)발 상업부동산 위기 조짐이 수면 위로 떠올랐지만 2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다수존스지수 모두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다우존스는 올해 9번째 기록 경신이다.

올 초 미 물류업체 UPS가 1만2000명 감원에 나서고 구글 아마존이 인공지능(AI)발 대규모 감원을 예고했는데도 미 고용은 깜짝 성장 중이다. 1월 신규 일자리는 전월 대비 35만3000개로 시장 전망(18만 명)의 두 배 수준에 달했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많은 미국인은 여전히 경제에 대한 불만이 높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을 지지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경제 불안정’이 꼽힐 정도다. 민주당 성향이 강한 뉴욕에서도 20, 30대 MZ세대와 대화해 보면 치솟는 렌트비나 외식비 때문에 삶의 질이 더 떨어졌다고 호소한다. 직장인 에마 코브 씨(32)는 기자에게 “월급이 지금보다 낮았던 5, 6년 전보다도 허리띠를 더 졸라매야 한다”며 “미용실과 배달음식이 사치품이 됐다”고 했다. 심지어 학자금대출 상환이 유예됐던 팬데믹 시절이 그립다는 말을 서슴없이 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MZ세대의 불만은 대선 여론조사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2일 발표된 CNN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 성인 1212명 중 26%만 “미 경제가 회복되기 시작했다”고 답했다. 지난해 여름 조사(20%) 때보다는 높아졌지만 여전히 낮은 수치다. 민주당 지지자들로 한정하면 49%가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고 답했지만 세대별로 따지면 역시 젊은층이 더 비관적이었다. 45세 미만 민주당원은 약 35%가, 45세 이상은 약 63%가 경제가 회복되고 있다고 답한 것이다.

왜 그럴까. 이들은 두 개의 경제가 돌아가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팬데믹 이전에 3.5%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로 집을 산 사람과 그 이후 집값이 오른 상태에서 6, 7%대 금리 부담을 져야 하는 사람은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 후자는 주로 2030세대다. 4년 동안 급격한 자산 가격 상승과 금리 급등이 세대별 양극화를 키운다는 얘기다.

무주택자의 고통은 더하다. 뉴욕시의 방 하나짜리 집 렌트비는 지난해 11월 기준 4300달러로 1년 전보다 13% 올랐다. 미국 물가는 안정되고 있지만 주거비 위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맨해튼의 한 20대 직장인은 “월가는 잘나가고 있지만 체감이 안 된다”며 “베이비부머나 X세대들은 저금리에 집을 사서 여유롭게 투자도 하겠지만 나머지는 렌트비와 학자금 대출을 빼면 남는 게 없다”고 호소했다.

강력해 보이는 미국 경제도 들여다보면 양극화와 세대 갈등 속에 젊은 세대의 불만이 특히 가속화되는 셈이다. 이들의 표심이 바이든 대통령의 재집권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뒤따르는 고강도 긴축 후유증은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연착륙 기대감이 높아져도 고물가와 고금리의 고통은 끝나지 않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54668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