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삼성전자 디스플레이 공급망서 사라진 中 BOE/ "LG디스플레이, 3세대 탠덤 OLED로 아이패드 패널 양산" 본문
삼성전자, 디스플레이 주요 매입처 변경
BOE 소송 이후 협업 관계 틀어져
[데일리한국 김언한 기자] 삼성전자가 디스플레이 공급망에서 중국 BOE를 배제했다. 삼성과 BOE간 특허소송이 공급망 변화로 이어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14일 삼성전자가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DX부문의 디스플레이 패널 주요 매입처는 CSOT, AUO 등이다. 올해 상반기 사업보고서까지만 해도 두 기업과 함께 BOE가 이름을 올리고 있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BOE를 포함하지 않은 것은 이 회사의 삼성전자향 물량이 큰 의미가 없는 수준까지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향 BOE 물량은 아직 존재하지만 3분기 들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성전자는 BOE 패널을 내년 일절 구매하지 않겠다는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선 내년 삼성전자 TV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BOE의 패널이 사실상 '0(제로)'가 될 것이란 데 무게를 싣고 있다.
앞서 BOE가 삼성전자·삼성디스플레이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서 그동안 이어져 온 협업 관계는 완전히 틀어졌다. 삼성전자는 BOE의 물량을 CSOT, AUO, LG디스플레이, 샤프 등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특히 삼성전자가 BOE를 완전히 빼는 과정에서 국내 기업인 LG디스플레이가 수혜를 입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삼성디스플레이가 액정표시장치(LCD) 사업에서 철수함에 따라 패널 공급망을 다변화해왔다. BOE는 전 세계 LCD 점유율 1위 기업이지만 삼성전자 TV에 패널을 공급해온 비중은 10% 정도로 추정된다. 삼성전자 TV에 가장 많은 LCD를 공급하는 기업은 CSOT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중저가 스마트폰에 들어가던 BOE의 패널도 끊기로 했다. 일찍이 삼성전자 MX사업부는 BOE와 내년 함께 하려던 개발 프로젝트를 모두 중단한 상태다.
BOE는 2021년 삼성전자의 갤럭시M 일부 제품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처음 공급한 데 이어 지난해는 갤럭시A 일부 제품에도 OLED를 넣는 성과를 냈다.
지난해 이 회사는 삼성 스마트폰에 약 500만대의 OLED 패널을 공급한 것으로 추정된다. BOE는 갤럭시S 시리즈에 OLED를 넣기 위해 삼성전자에 제안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0171
"LG디스플레이, 3세대 탠덤 OLED로 아이패드 패널 양산"
https://dai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9950
"LG디스플레이, 3세대 탠덤 OLED로 아이패드 패널 양산" - 데일리한국
[데일리한국 김언한 기자] LG디스플레이가 내년 1월부터 애플의 아이패드 프로 시리즈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양산할 것이라고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가 분석했다. 애플은 아이패드
daily.hankooki.com
[데일리한국 김언한 기자] LG디스플레이가 내년 1월부터 애플의 아이패드 프로 시리즈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양산할 것이라고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가 분석했다. 애플은 아이패드에 이어 2026년 맥북 등에도 OLED를 적용할 계획이어서 LG디스플레이는 IT용 OLED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한창욱 유비리서치 연구원은 14일 서울 강남구 SC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된 '유비리서치 2023년 하반기 디스플레이 세미나'에서 "LG디스플레이는 내년 1월부터 아이패드용 OLED의 초도물량을 생산할 계획"이라며 "여기에는 3세대 탠덤 OLED 구조가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의 아이패드 패널 양산 시기는 당초 예상보다 4개월 정도 빠른 것이다. OLED가 적용될 아이패드 프로는 11인치와 13인치 모델로 출시된다. 스마트폰용 OLED 대비 가격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LG디스플레이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여기에는 LG디스플레이가 OLED 패널의 약 60%를 공급하고, 나머지는 삼성디스플레이가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LG디스플레이는 8.6세대 IT용 OLED 투자 결정을 아직 못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상황이 바뀔 가능성도 존재한다.
한창욱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는 자금 조달 이슈로 8.6세대 IT용 OLED 투자를 아직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비리서치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내년 LG디스플레이의 태블릿PC용 OLED는 약 410만대가 출하될 것으로 관측된다. 추가 투자가 이뤄지지 않는 한 이 숫자는 2027년까지 바뀌지 않는다. 하지만 삼성디스플레이의 태블릿 PC용 OLED 출하량은 내년 약 550만대에서 2027년 약 1450만대로 커질 전망이다.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 지난 4월 세계 최초로 IT용 8.6세대 투자를 확정했다. 태블릿PC·노트북·모니터에 들어갈 패널을 생산할 계획이다. 여기에 들어갈 증착기 발주는 올해 3분기 완료됐다. 장비 입고는 내년 3분기 이뤄질 전망이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애플 맥북용 OLED에 대한 본격적인 양산 시점은 2026년 2분기 이후가 될 것으로 유비리서치는 분석했다. 업계에선 LG디스플레이의 공격적인 투자가 당장 쉽지 않아보이지만 투자 결정을 한다고 봤을 때 8.6세대 OLED 생산이 삼성디스플레이보다 1년 정도 늦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내년 1월 LG디스플레이의 초도물량 양산에 이어 삼성디스플레이도 아이패드 OLED 양산에 곧바로 합류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이패드 OLED 양산은 6세대 라인에서 이뤄진다.
한편 이날 한 연구원은 OLED 산업에서 탠덤 OLED 구조가 중장기적으로 보편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탠덤 구조란 OLED 발광층을 2개 층으로 쌓는 방식이다.
발광층이 1개인 싱글 OLED 구조보다 휘도와 수명 등에서 월등히 뛰어나다. LG디스플레이의 탠덤 OLED의 경우 싱글 OLED 구조 대비 수명이 최대 4배 길고, 효율은 1.5~2배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LG디스플레이는 현재 2세대 탠덤 OLED를 양산 중이다. 이는 2018년 공개한 탠덤 OLED보다 휘도가 30% 향상된 것이다.
현재는 2세대보다 휘도를 20% 높인 3세대 탠덤 OLED를 개발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의 3세대 탠덤 OLED는 내년 나올 아이패드에 적용될 전망이다.
한 연구원은 탠덤 OLED 구조가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시작으로 TV,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으로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봤다. 그동안 OLED는 번인(burn-in)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우려가 있었다. 특히 노트북, 태블릿PC의 바탕화면에는 고정된 아이콘이 많아 번인 우려가 더 컸다.
한 연구원은 "탠덤 OLED는 싱글 OLED 대비 전류를 2분의1로 줄이면서 수명은 최대 4배 길어진다"면서 "탠덤 OLED로 가면 기존 OLED 재료 공급망에도 변화가 생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