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2025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59만기로"/ [특파원 리포트] AI가 스타트업을 죽인다? 본문
환경부, 전기차 인프라 강화 대책
주거지·기업에 완속 충전기 늘려
신축 아파트 의무 비율도 10%로
환경부가 2025년까지 전기차 충전기 누적 설치 대수를 59만 기로 끌어올린다. 최근 전기차 수요와 보급률이 정체된 것에 대응하는 차원이다.
12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전기차 보급률 증가세가 크게 둔화했다. 올해 서울 전기 승용차 출고 대수(9일 기준)는 4837대다. 올해가 두 달도 채 남지 않았는데 당초 목표로 삼은 전기차 민간공고대수(1만3688대)의 절반도 못 채운 것이다. 서울시는 매년 전기차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는 민간공고대수를 정해 발표하고 있다.
서울을 포함해 지난 9월까지 전국에 등록된 전기차는 총 11만90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1만3702대)보다 2.5% 감소했다.
환경부는 전기차의 더딘 보급률에는 충전기 등 인프라 부족이 배경에 깔려 있다고 판단했다. 전기차 보급 대수는 2019년 8만9918대에서 올해 9월 50만 대를 넘겨 41만 대가량 늘어났지만 전기차 충전기는 2019년 4만4800기에서 올해 9월 24만9300기로 20만 기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2025년까지 충전기 설치 대수를 59만 기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생활 거점인 주거지와 직장에는 완속 충전기를 각각 43만 기와 3만 기까지 늘리고, 근린생활시설 등에는 급속 충전기를 2만5000기까지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신축 공동주택의 충전기 의무 설치 비율도 5%에서 2025년까지 10%로 높일 계획이다. 2030년까지 누적 123만 기 설치를 목표로 한다.
‘이동 거점’인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 대한 보급도 빠르게 늘려나갈 방침이다. 현재 휴게소당 3.7기, 전체 800여 기에 그치는 충전기를 휴게소당 9.5기, 총 2000기까지 확대한다. 주유소에 설치되는 충전기도 현재 600기에서 1800기로 세 배 늘리고 전체 주유소의 2.7%에 그치는 보급률을 7%까지 끌어올린다. 환경부는 충전 속도를 중요시하는 전기차주들의 성향을 고려해 완속 충전기 보조금 사업을 내년까지만 이어간 뒤 2025년부터는 급속 충전기에 주로 투입하겠다는 계획이다.
로밍 시스템을 늘려 충전 서비스도 강화한다. 로밍이란 전기차 충전 사업자가 자사 충전기가 없는 지역에서 회원사가 타사 충전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차 이용 편의를 개선해 전기차가 대중화 단계에 들어갈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13091?sid=102
[특파원 리포트] AI가 스타트업을 죽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798522
[특파원 리포트] AI가 스타트업을 죽인다?
“챗GPT를 에어비앤비 서비스에 도입할 생각은 전혀 없어요.” 지난 7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에서 만난 브라이언 체스키 에어비앤비 최고경영자(CEO)는 인터뷰 시작과 함께 선언하듯 이렇게 말했
n.news.naver.com
“챗GPT를 에어비앤비 서비스에 도입할 생각은 전혀 없어요.”
지난 7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에서 만난 브라이언 체스키 에어비앤비 최고경영자(CEO)는 인터뷰 시작과 함께 선언하듯 이렇게 말했다. 기자가 “인공지능(AI)에 대해서 얘기해볼까요?”라는 말을 끝내기도 전에 튀어나온 답변이었다. 오랜 고민을 통해 결정을 내렸다는 듯, 단호한 표정으로 그는 말을 이어갔다. “보세요, 저는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절친한 사이입니다. 챗GPT의 개발 과정을 곁에서 지켜보며 비공식적으로 조언하기도 했어요. 그래서 더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겁니다. 챗GPT는 설익었어요(It wasn’t ready yet).”
체스키는 반(反) AI론자가 아니다. 오히려 그는 이날 인터뷰에서 에어비앤비를 AI 중심 서비스로 탈바꿈시키겠다는 미래 구상을 밝혔다. 혼란스러워하는 기자에게 그는 “지금의 AI는 그저 유행어(buzzwords)일 뿐, 사업성이 있는 건 아니다. 챗GPT도 예외는 아니다”라며 “(AI 시장이 극초기 단계인 만큼) 앞으론 우리가 AI 서비스 구축 시장에서 리더가 되고 싶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AI 개발 능력을 내재화하기 위해 챗GPT를 비롯한 각종 스타트업의 AI 서비스 도입을 최대한 피하겠다는 것이다.
에어비앤비는 대규모 개발자를 갖춘 플랫폼 기업이지만, 구글·애플·메타 등 빅테크처럼 첨단 AI 기술에 강점을 가진 회사는 아니다. 그래서 AI를 대부분 자체 개발하겠다는 전략은 이례적이다. 그만큼 ‘노코드(코딩 없는)’로 대변되는 AI 시대의 서비스 개발 방식이 기업들의 전략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노코드는 코딩 언어를 모르는 사람이 AI의 도움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뜻한다. 몸값이 비싼 고급 인재들이 여럿 모여 어려운 프로그래밍을 하지 않아도 괜찮은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다면, 기업으로선 더 안전하고 경제적인 자체 제작을 선택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에어비앤비와 비슷한 선택을 하는 기업이 늘어나는 건 스타트업에 악재가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지난 6일 오픈AI가 노코드로 누구나 간단한 AI 챗봇을 구축하는 프로그램인 ‘GPTs’를 공개한 후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업계에는 탄식이 터져 나왔다. ‘틈새 시장을 노린 소규모 서비스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의 가치는 아예 없어질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인터뷰에서 체스키는 “닷컴 버블처럼 지금 나온 AI 서비스의 90%는 사라질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눈먼 투자금을 받고 사업성이 없는 서비스를 개발한 스타트업들이 자연스럽게 도태됐던 닷컴 버블과 달리, AI 시대에는 스타트업 자체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게 차이다. 실리콘밸리에서 AI 스타트업을 운영 중인 유호현 옥소폴리틱스 대표는 “우리는 스타트업이 혁신을 이끌던 시대의 종말을 보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