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삼성전자, SiC 전력반도체 사업 키운다/ 삼성D, 4분기 애플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 500만대 더 늘었다 본문
GaN 이어 미래 성장동력 낙점
홍석준 사업총괄 영입 TF 구성
8인치 웨이퍼 직행…기술 주도
삼성전자가 기존 공식 발표한 질화갈륨(GaN)뿐만 아니라 실리콘카바이드(SiC) 전력반도체 사업화를 위해 총괄 책임자를 영입하고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차세대 전력반도체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조치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SiC 전력반도체 사업을 총괄할 부사장으로 홍석준(스티븐 홍) 전 온세미 디렉터를 영입하고 자사 기흥캠퍼스 내 SiC 전력반도체 사업을 위한 TF를 조직했다. 홍 부사장은 삼성전자 합류에 앞서 약 25년간 인피니언, 페어차일드, 온세미 등 주요 글로벌 전력반도체 기업을 거친 전력반도체 전문가다.
서울대에서 전력전자 MSEE 학위를, UCLA 앤더슨 스쿨에서 MBA를 받았다. 직전까지 온세미에서 지능형 반도체(PIM), 지능형 전력모듈(IPM), 복합 반도체 소자, SiC 등 응용기술 엔지니어링을 전담했다.
업계 관계자는 “응용기술 엔지니어는 반도체 기획, 설계부터 개발·테스트·응용까지 사업 전반을 지휘할 수 있는 반도체 전문가”라고 말했다.
홍 부사장은 SiC 사업화를 위한 팀원을 찾는 한편, 국내 전력반도체 생태계를 구성하는 업계·학계 등과 교류하며 시장 및 사업성 조사를 병행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 7월 GaN 전력반도체 사업 진출을 공식 발표하기에 앞서 TF를 구성해 사업을 준비했던 것과 같은 과정을 밟고 있는 셈이다. SiC 전력반도체 사업 방향과 진출 시점은 홍 부사장 주도 하에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SiC 사업화 외에도 GaN 전력반도체 사업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다. GaN 전력반도체 생산에 필수적인 유기금속화학증착(MOCVD) 장비 구입을 위해 독일 반도체 장비회사 엑시트론에 두 자릿수로 장비를 발주하는 등 GaN 양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MOCVD는 금속유기원료를 기반으로 GaN 박막을 성장시키는 장비다. 삼성은 GaN 전력반도체 사업 본격화에 앞서 시제품 생산이 가능한 규모의 장비 발주를 낸 것으로 전해졌다. 향후 사업이 본격화되면 장비 발주 규모는 확대가 예상된다.
삼성전자가 8인치 GaN 전력반도체에 이어 SiC 전력반도체 사업까지 공식화하면 차세대 전력반도체 시장 입지 강화가 기대된다. 삼성은 4인치나 6인치 웨이퍼를 사용하는 경쟁사들과 달리 8인치로 직행, 차별화를 시도하겠다는 전략이다. 남보다 한 단계 앞선 기술로 시장을 공략해 중요 위치를 점하려는 복안이다.
SiC와 GaN 모두 고전압·고온에 강한 차세대 반도체로 분류된다. 물성에 따라 SiC는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태양광, GaN은 충전기·통신장비·서버에 특화된 전력반도체 소재로 평가되고 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SiC 웨이퍼가 GaN 대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만큼 선도 사업자와 기술 격차 해소, 차별화, 시장성 여부 등이 사업화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https://www.etnews.com/20231016000240
삼성D, 4분기 애플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 500만대 더 늘었다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3495
삼성D, 4분기 애플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 500만대 더 늘었다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삼성디스플레이가 올 4분기에 애플에 납품할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이 500만대 늘었다. 아이폰15 시리즈는 일반형(6.1인치)과 플러스(6.7인치), 프로(6.1인치), 프로맥스(6.7인치) 등 4종으로 구성된다.
www.thelec.kr
LGD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 변화 없이 삼성D 물량만 늘어난 것으로 추정
삼성디스플레이가 올 4분기에 애플에 납품할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이 500만대 늘었다. 아이폰15 시리즈는 일반형(6.1인치)과 플러스(6.7인치), 프로(6.1인치), 프로맥스(6.7인치) 등 4종으로 구성된다. 4분기 삼성디스플레이 물량이 500만대 늘어난 모델은 상위 프로 라인업에서 6.1인치 프로 모델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아이폰15 시리즈 4종 모두에 OLED를 납품한다. LG디스플레이는 프로와 프로맥스 모델 2종에만 OLED를 공급한다. 연말까지 아이폰15 시리즈 4종 세트 출하량 전망치와 LG디스플레이의 OLED 납품 물량 예상치에는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삼성디스플레이의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만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4분기 삼성디스플레이의 애플 아이폰15프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납품 물량이 당초 예상보다 500만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디스플레이 공급망에서는 4분기 아이폰15프로 OLED 생산을 위한 부품 확보 물량이 당초 전망보다 500만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공급망에선 연말까지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이 200만대 내외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올해 말까지 애플 아이폰15 시리즈 4종 출하량 전망치는 8000만대 내외, 애플의 관련 OLED 패널 구매량 추정치는 9000만~1억대에서 큰 변화가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4분기 아이폰15프로 OLED 납품 물량이 500만대 늘었다. 하지만 LG디스플레이의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대해서는 애플의 불안감 해소 차원의 선택이란 관측이 나온다. LG디스플레이는 아이폰15프로 모델 OLED에 대해 지난 7월 조건부 승인을 받고, 이후 승인을 받았지만 제때 양산 승인을 받은 삼성디스플레이만큼 안정적 납품을 기대하긴 어렵다. LG디스플레이는 프로맥스 OLED도 조건부 승인을 받은 뒤 양산 승인을 받았다.
애플이 LG디스플레이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이유는 삼성디스플레이에 대한 의존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BOE가 올해 말까지 아이폰15 일반형과 플러스 모델 OLED를 납품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 상황에서, 애플이 불안감을 이유로 LG디스플레이 물량까지 줄이면 애플의 삼성디스플레이 의존도가 커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LG디스플레이가 올해 말까지 아이폰15프로와 프로맥스용으로 납품할 수 있는 OLED는 2000만대 중후반으로 알려졌다. 최대 3000만대까지 기대할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4분기 15프로 OLED가 500만대 늘어나면서 연말까지 아이폰15 시리즈 4종 OLED를 7000만대 초중반까지 납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의 4분기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 500만대 확대에 이어, 200만대가 더 늘어나면 연말까지 아이폰15프로 OLED 물량에서도 삼성디스플레이가 LG디스플레이에 앞설 가능성이 크다. 아이폰15프로 라인업에서 프로맥스 OLED 물량에선 삼성디스플레이가 LG디스플레이에 크게 앞설 것이란 전망은 대체로 일치하지만, 프로 OLED 물량에선 LG디스플레이가 삼성디스플레이보다 많을 것이란 추정도 업계 일각에서 나온 바 있다.
LG디스플레이가 아이폰15프로 OLED를 연말까지 제대로 생산할 경우, 아이폰15 시리즈 출하량이 기대를 웃돌지 않으면 애플로선 OLED를 필요량보다 많이 구매하게 된다. 같은 제품용 패널이어도 삼성디스플레이가 LG디스플레이보다 애플에 높은 가격을 받고 판매하기 때문에, 애플 수익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난해 하반기 삼성디스플레이가 좋은 실적을 올린 것도 LG디스플레이가 생산차질을 빚었던 아이폰14프로맥스 물량을 1000만대 이상 넘겨받은 것의 영향이 컸다.
아이폰15 프로 라인업 2종은 저전력소비에 유리한 저온다결정산화물(LTPO) 박막트랜지스터(TFT) 방식 OLED를 사용한다. 아이폰15 하위 라인업에 적용하는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TFT 방식보다 LTPO TFT 방식이 기술 난도가 높고 패널 가격도 비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