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서민적 글쓰기 본문
- <동물농장>의 저자인 영국 작가 조지 오웰은 <나는 왜 쓰는가?>에서 사람들이 글을 쓰는 네 가지 동기에 대해 이야기했다. 첫째는 순전한 이기심이고, 둘째는 미학적 열정이며, 셋째는 역사적 충동이고, 넷째는 정치성을 꼽았다. 풀어서 이야기하자면, 자신을 돋보이게 하는 것, 내가 본것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 진실을 파헤쳐 후세에게 알리기 위해 기록하는 것, 그리고 타인과 공감하면서 세상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사람들은 글을 쓴다는 것이다.
- 열등감을 이겨내고 타인의 따뜻한 관심을 받을 수 있는 방면이, 글쓰기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나는 이분들처럼 글을 잘 쓰지 못했다. 글쓰기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지만 서른이 넘어서야 비로서 실천으로 옮긴 지각생이다.
- 베스트셀러가 되는 조건을 흔히 3T로 표현하는데, 그건 시대Timing, 구매대상Target 그리고 제목Title 이다. 즉 좋은 제목은 좋은 책의 필수조건이라 할 만하다. 서머싯 몸의 <달과 6펜스>는 저자의 설명에 의하면 이런 것이란다. "달을 잡으려고 손을 뻗다가 발밑의 6펜스를 놓친다는 뜻이다." 정말 멋지지 않은가.
- 글쓰기 지옥훈련의 방법
1. 노트와 연필을 끼고 산다. - "다른 것은 몰라도 세월은 나에게 이것 한 가지만은 가르쳐주었다. 주머니에 연필이 들어 있으면, 언제가는 그 연필을 쓰고 싶은 유혹에 사로잡힐 가능성이 크다." - <왜 쓰는가?> 폴 오스터Paul Auster
2. 노트에 쓴 글은 반드시 컴퓨터로 옮겨야 한다.(한글파일이나 블로그) - 당신의 목표가 파워 블로거가 아니라 글을 잘 쓰는 것이라면, 많은 방문객은 오히려 훼방꾼이다.
3. 신문을 통해 세상을 보다. - 글을 잘 쓰려면 반드시 종이신문 읽기를 권한다. 신문 속 사건들은 모두 글의 소재가 될 수 있고, 신문에 실리는 사설과 칼럼은 그 자체가 글쓰기 교본이다.
4. 읽기와 감상문은 글을 잘 쓰는 지름길이다. 작가 심윤경은 분자생물학과를 전공한 소설가들 중 의외의 인물이다. "저는 일기 이외에 따로 글쓰기 훈련을 한 적이 없어요."라고 말했다. 감상문도 일기 못지않은 효과를 낸다. 하루에 두 편 이상 글을 썼던 게 비결이었다.
- 독서는 자기 생각을 만들어준다. 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체가 화려한가'가 아니라, 글에 '자기 생각을 담고 있는가'다. 글쓰기도 비슷하다. 경험이 많으면 자기 생각이 만들어지고, 자기 생각이 있으면 글쓰기도 잘한다. 하지만 삶이란 유연한 법이고, 온갖 경험을 하기는 불가능하다. 책은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을 함으로써 주인공의 경험을 내 것으로 받아들이는 통로다.
- 읽는 것 보다 더 좋은 것은 책을 그대로 베끼는 일이다. 눈으로 보는 데 그치지 않고 위대한 문장을 직접 써보는 것이야말로 글쓰기 실력을 올리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 글을 쓰려면 인내심이 있어야 한다. 인내심을 기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독서다. 개인적으로 고전을 권하고 싶다.
- 어떻게 쓸 것인가.
<쉬운글의 요령> 첫째, 이해 못하는 얘기는 아예 꺼내지 말자. 자기도 잘 모르는 얘기를 하면 글이 어려워진다. 둘째, 문장은 짧을수록 좋다. 셋째, 적절한 비유를 활용하자. 좋은 비유는 글을 쉽게 만든다. 넷째, 대화체를 이용하자. 문어체보다는 구어체가 훨씬 더 잘 읽힌다는 점을 감안하면, 핵심적인 내용을 대화체로 하는 것이 글을 쉽게 만드는 원동력임을 이해할 수 있다. 다섯째, 흥미를 유발하는 이야기를 쓰자. "술의 신 디오니소스는 죽은 어머니의 몸에서 꺼내어져 아버지의 몸 속에서 산달을 채우고 태어난 비극의 주인공이었다." '하리하라'라는 필명으로 널리 알려진 과학저술가 이은희 선생은 늘 그리스 신화로 글을 시작한다. 신화 자체가 재미있기도 하지만, 신화를 인용해 앞으로 전개될 내용을 쉽게 읽도록 구성한 것이다. 쉽게 쓰자. 없어 보이는 게 두렵겠지만, 아는 사람은 안다. 쉽게 쓸수 있는 사람이야말로 그 방면의 진정한 고수라는 것을.
- 재료는 많이 모을수록 좋고,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이 있다면 글에 생동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 재료를 모으기 귀찮다면 기존 재료를 가지고 관점을 바꿔서 쓰는 방법도 있다. 자신만의 관점을 가지려면 한 사건을 가지고 여러 관점으로 써보는 연습을 하라. 그러면 좋은 글을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