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RE100 대안에 원전도 포함?…정부, CF100 검토 착수 본문
정부가 전체 사용 전력을 무탄소 에너지로 충당하는 CF100(무탄소전원 100% 사용) 연구에 착수했다. 재생에너지 비중이 낮은 국내 여건 특성상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보다 원전과 수소연료전지까지 포함한 CF100으로 탄소중립 전략을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도 제도 정비를 위한 검토에 들어간 것이다.
1일 관련 부처에 따르면 산업자원부는 최근 '탄소중립을 위한 국제 이니셔티브(24/7 CFE중심) 조사 연구'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연구기간 6개월에 용역비 3000만원의 용역으로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연구기관으로 선정돼 지난달 8일부터 용역에 착수했다.
24/7 CFE(CF100)는 매일 24시간, 1주일 내내 무탄소 에너지만 사용한다는 의미의 무탄소 운동이다. 유엔 에너지(UN Energy)와 유엔 산하 '지속가능에너지기구(SE4ALL) 등이 공동 추진하는 국제 캠페인으로 구글·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기업 등이 동참하고 있다.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RE100은 비용 부담이 크고 현실성도 낮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RE100을 포괄하는 CF100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한국은 좁은 국토면적과 높은 인구밀도 탓에 상대적으로 재생에너지 잠재량이 적고 주요국보다 재생에너지 구매에 드는 비용이 비싸다. 지난해 기준 국내 전력소비량 상위 30개 기업의 최근 5개년 전력 사용량 평균은 10.3GWh(기가와트시)인 반면 2021년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3GWh(기가와트시)에 그쳤다.
RE100 참여 요구가 점차 확대될수록 국내 기업은 부담이 커진다. RE100은 민간 주도의 운동이기에 구속력이 없지만 RE100에 참여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협력사에 RE100 준수를 적극적으로 요구해 사실상 수출규제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도 RE100 대안으로 떠오른 CF100 도입을 검토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최근 확정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 원전 비중은 32.8%,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21.5%로 제시하면서 원전을 포함하지 않는 RE100의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이번 연구용역을 통해 RE100와 CF100의 개념과 국제 동향을 비교하고 국내 기업들의 이행 가능성 등을 검토할 방침이다. 정부는 RE100에 비해 아직 낯설은 CF100의 규칙 정립과 보완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국제사회 및 글로벌 산업현장에서 CF100으로의 체제 전환을 이끌어내기 위한 국제 협력 방안 등을 도출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 기업들의 RE100 부담을 낮추기 위해 정부에서 CF100 관련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며 "CF100은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운영할지 아이디어를 내서 국내에서 시범 적용도 해보고 미국 등 전 세계에 확산시켜 통용성을 만들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공급망을 가진 국내 대기업들도 해외 협력사 등에 CF100 적용을 요구할 수 있고 정부도 국제 회의·협의체에서 공동의제로 제안할 수 있다"며 "미국도 청정에너지를 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원전 등 무탄소에너지로 포함시켜 논의하고 있어서 기업들의 선택지가 넓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