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메모 습관의 힘 본문

Book

메모 습관의 힘

DDOL KONG 2017. 5. 29. 03:42

- 범상한 많은 이들의 변화는 점진적이다. 점진적 변화를 만들어가는 사람만이 극적인 변화를 이루어낸다.

- 책 내용 정리 : 책을 읽을 때 흥미롭거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밑줄을 치는데, 그 밑줄 친 문장을 노트에 그대로 옮겨 적었다. 그런다음 그 부분에 대한 내 생각을 다른 색상의 펜으로 적었다. 노트에 옮겨 적는 문장들 중에서도 더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형광펜으로 밑줄을 쳐서 강조하고, 내용의 핵심 키워드를 큰 글씨로 써서 알아보기 쉽게 표시해두었다. 때로는 책을 그대로 옮겨 적는 대신에 핵심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해 보기도 했다. 책 표지를 조그맣게 그려 보기도 했다. 생각정리와 글의 내용 구성을 마인드 맵으로 그려보기도 했다.

- 책을 읽고, 노트 작성을 통해 생각을 정리하고, 블로그 글로 마무리하는 프로세스가 만들어진 것이다.

-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고, 책의 내용과 내 과거 경험을 연결하여 생각해 보았다. 책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동적 독서를 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이해하는 독서를 하면서 글감도 구상했다.

- 열등감(feelings of inferiority)-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월하게 되는 것이며, 우월은 모든 인간이 가지는 기본적인 동기로서 열등감을 보상하려는 선천적인 욕구에서 비롯된다.

 자기가 타인에 대해서 우월한 것처럼 행동하는 모든 사람의 배후에는 열등감이 숨겨져 있다. -알프레드 아들러.

- 느낌표만 있는 삶은 공허하다. 비록 감탄하는 그 순간은 행복할지 몰라도 내 가치는 달라지지 않으니까 -신영복 담론.

- 내 것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만 할 뿐,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 할지 알 수가 없었다.

- 책을 읽으면서 메모하는 습관이 자리 잡은 후로는 책 속의 좋은내용을 노트에 옮겨 적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진다. 저자의 생각이 과연 옳은 것일까? 내 생각은 어떠한가? 이 내용을 내 삶에 적용 해보면 어떨까? 나라면 어떻게 할까? 스스로에게 이러한 질문을 던지고 떠오르는 생각을 메모한다.

- 남들이 만들어 놓은 것을 사용하는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곧 질문하지 않는 사람이고, 메모하지 않는 사람이다. 다른 사람이 만든 정보를 소비하면서 느낌표만 있는 사람이다. 메모하는 사람은 생각하는 사람이고, 질문하는 사람이다. 물음표를 가진 사람은 해답을 찾는다. 정보를 만들고, 자신이 만든 정보로 다른 이에게 느낌표를 안겨준다.

- 자기 시간을 자기 뜻대로 쓸 때 시간에 대한 통제감이 찾아온다. 시간에 대한 통제감을 느끼기 위해 필요한 것이 계획이다.

- 창의성으로 가는 두가지 길

1. 연결에 사용할 수 있는 생각의 재료를 늘린다.

   - 많이보고, 읽고, 다양한 경험을 쌓는다

   - 다른 사람의 지식과 경험을 활용한다

2. 서로 다른 생각이 충돌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는 조직 문화를 만든다

   -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설계한다

- 우리 안에 있는 세 가지 사람

1차 프로세스 : 행동하는자(무언가를 하고 있는 사람. '어떤역할, 일, 의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여기는 부분. 통상 자기라고 생각하는 '나'

2차 프로세스 : 반응하는자(1차프로세스를 보거나 느끼는 사람.'이것이 나'라고 생각하는 나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 신체적 증상이나 인간관계 문제의 근원

3차 프로세스 : 1차프로세스와 2차프로세스 양쪽을 공명정대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양쪽을 통찰하고 지각한 것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자

 창의적 아이디어 - 지켜보는 자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순간 생각을 연결한다. 지켜보는자는 행동하는자가 침묵하고 있을때 말을 건넨다.

- 몰입으로 두뇌를 일깨우는 방법

 1. '지켜보는 자'에게  메세지를 전달하기 - 이완된 상태에서 천천히 생각하기, 일주일 동안 한가지 문제만 생각하기, 문제를 천천히 생각하다 잠에들기

2. '행동하는 자'가 침묵하는 시간을 유도하기 - 잠이 가볍게 드는 시간을 만들기, 식사 후 공원을 산책하면서 생각하기

- 창의성을 부르는 메모 활용법

 선언(잠재의식 의도 전달 - 목표 메모하기, 해결하려는 문제 노트에 적기)

 수집(생각의 재료 모으기- 책 읽으며 메모하기, 생각정리 메모, 웹페이지 스크랩)

 충돌(노트 다시보기, 책 자료읽기, 소셜 미디어 공유)

 포착(아이디어 붙잡기 - 아이디어 메모, 노트와 필기구 항상 갖고 다니기, 메모앱 활용)

 완성(아이디어 구체화 - 생각의 빈틈찾기, 마인드맵핑, 자료보충, 글로 옮기기)

- 여러 권의 책을 읽을 때의 메모법 : 한 권을 다 읽지 않은 상태에서 메모리딩을 하다가 다른 책을 읽게 되면 그냥 새 책을 이어서 메모리딩한다.

- 메모하고 글 쓰고 공유하라. 아이디어를 드러내어 더 많은 사람과 연결하라. 아이디어와 사람이 만날 때 새롭고 가치 있는 일이 시작된다. 아이디어와 사람을 연결하는 일을 습관으로 만들자. 어느 덧 아티스트가 된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 삶을 성장 시키는 루프(LOOP)

 관찰하고, 관찰한 것을 메모하고, 메모한 것에 대해서 생각한다. 생각하며 다시 메모하고, 메모를 재료로 글을 쓴다. 글을 쓰면서 생각의 빈틈을 매운다. 구체화된 생각을 행도으로 옮긴다. 행동한 만큼 삶은 변화된다. 달라진 삶을 다시 관찰한다. 루프(LOOP)를 다시 시작한다.

 

 나 자신의 현재 상태를 직시하게 되면서 몇 가지 바람이 생겼다.

  - 글을 잘 쓰고 싶다.

  - 나만의 컨텐츠를 만들고 싶다.

  - 책을 쓰고 싶다.

  - 창의적인 사람이 되고 싶다.

  - 전문가가 되고 싶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