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 그 말과 함께 내가 꿈꿔왔으며 곧 실현되려던 미래, 그리고 오랜 세월 부단히 노력하며 도달하려 했던 삶의 정점은 사라지고 말았다. - 그날 밤, 어머니는 침대에 홀로 흐느껴 울었다. 빈약한 학교 제도가 자식들의 앞날을 가로막을까 봐 걱정한 어머니는 어딘가에서 입시용 독서 목록을 구해왔다. 나는 어머니의 강요로 열 살 때 를 읽었는데, 책에 나오는 성애 장면에 얼굴이 화끈거리기도 했지만 언어에 대한 깊은 사랑과 관심을 키울 수 있었다. 우리 형제는 추천 도서들을 체계적으로 읽어나가면서 무수한 작품들과 작가들을 만났다. ,에드거 앨런 포, , , 니콜라이 고골, , 찰스 디킨스, 마크 트웨인, 제인 오스틴, ....... 열두 살이 되면서 나는 목록에서 직접 책을 골라 읽기 시작했고, 형이 대학에서 ..
- 어떻게 살 것인가? 이 나이에 아직도 이런 질문을 껴안고 있는 내가 한심해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 여태껏 살아온 내 삶의 결과임을 인정한다. 계속해서 지금처럼 살 수는 없다고 느끼거나 다르게 살고 싶다고 생각한다면, 그 사람의 삶은 아직 충분히 훌륭하다고 할 수 없다. 더 훌륭한 삶을 원한다면 지금이라도 무언가를 바꾸어야 한다. -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는 일이다. '자기 결정권'이란 스스로 설계한 삶을 옳다고 믿는 방식으로 살아가려는 의지이며 권리이다.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 J.S.mill의 표현을 가져다 쓰자.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삶을 자기 방식대로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방식이 최선이어서가 아니라, 자기 방식대로 사는 길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것이다...
- 독서가 지나치게 도덕이 되지 않으려면 독자는 어느정도 저자의 생각을 훔칠 줄 알아야 한다. - 펼쳐지지 않은 책은 존재할 뿐 살아 있지 않다. 고운 먼지들의 품에 감싸안긴 책은 어쩌면 속이 텅 빈 직육면체 상자에 불과하리라. - 우리는 자기 자신을 부정하며 책을 읽을 수 있다. 반론을 펼 수 있다는 것, 그것은 얼마나 위대한 일인가! 반박하고, 반박을 요구하라, 그 자체가 부싯돌이 되어 불꼿을 피울 것이다. 의문을 품어라. 지금 이 순간 그대가 읽는 책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라! - 우리는 숨기고 싶은 자신의 결점들이 다른 사람들에게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보기 위해 책을 읽는다. - 단순히 책을 읽음으로써 고통이 사라진다고 말한다면, 그건 우리의 고통을 얕잡아 보는 것과 다르지 않다. 몽테스키외는 ..
- 물과 식물의 관계를 살펴보자. 식물에 물을 주고 나중에 보면 물의 흔적조차 발견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식물은 자란다. 인문고전 독서 또한 마찬가지다. 특히 철학고전 같은 경우 몇 번을 되풀이해 읽고, 해설서란 해설서는 다 찾아 읽고, 심지어 필사까지 해도 그 내용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아니 아예 이해 불가능인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철학고전을 한 권씩 뗄 때마다 사고의 수준이 달라짐을 느끼게 된다. - 두뇌의 수준을 그가 읽는 책의 수준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역사는 증명하고 있다. 두뇌가 우수하지 못한 인간은 두뇌가 우수한 인간의 지배를 받는다는 사실을 말이다. - [ 리더스 다이제스트 ] 기자와 영화배우이자 가수인 윌스미스의 인터뷰 내용 중 일부를 소개하고 싶다. - (고..
[ 학습 심리 ] - 내적 동기 : 행동 자체에 즐거움을 느껴 발생하는 강하고 능동적인 동기. 외적 동기 : 행동에 따른 보상을 목표로 발생하는 약하고 수동적인 동기. 내적 동기가 작용해 일어난 행동에 상을 주게 되면 긍정적이었던 내적 동기가 외적 동기로 변할 수도 있다. 좋아하는 일에는 상을 약속하지 말고, 반대로 고쳐주고 싶은 나쁜 버릇에 상을 주라. - 동기와 학습 수행률은 역 U자 관계이다. 동기가 너무 높거나 혹은 너무 낮으면 비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편안한 마음으로 적당한 수준을 유지하고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하게 되는 이유는 '정보의 영향'과 '집단의 압력' 때문이다. 이런 동조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