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미국 신정부의 관세정책이 한국 자동차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 산업연구원 (KIET) 본문
- 우리 자동차산업의 높은 미국 의존도를 고려할 때 미국 신정부 25% 관세 부과로 북미 수출·생산 전략에 조정이 요구되는 상황
- 완성차의 경우 지역별로 미국 수출물량은 울산이 많은 편이나 대미 수출 비중은 30%대로 고관세 충격 분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생산물량 대부분을 미국에 판매하고 있는 경남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
- 부품산업은 관세 인상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과 한국 내 생산 감소에 따른 부품 수요 감소, 완성차업체가 관세 전가를 위해 부품 단가 하락 압력을 높이는 등의 간접적 영향 우려
- 현지 생산 차량의 경우 미국 부품조달율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생산원가 상승으로 판매가격 인상 요인이 높은 편
- 미국 자동차 수요 시장은 차량 가격상승에 따른 수요 감소, 판매 차량 다운사이징, 중고차 수요 및 차량연한 증가에 따른 AS부품 수요 증가 등의 변화 예상
- 소형차 수요 증가는 소형차 경쟁우위를 지닌 우리에게 기회요인이나 현지생산 물량은 작아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산업연구원)_보고서_-_미국_신정부의_관세정책이_한국_자동차산업에_미치는_영향과_시사점.pdf
0.44MB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