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UAE 약물 전달 패치 시장 진출 전략 본문
진입장벽 낮은 Class I 의료기기 시장
가격 경쟁력을 활용한 전략적 유통방안 마련 시 성공적 진출 가능
UAE는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헬스케어 산업의 중심지로 부상했으며 역내 의료 환자 유치를 위한 매력적인 목적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아울러 UAE 의료기기 시장은 보건의료 지출 증가, 인구 확대, 만성질환 급증 등의 요인에 힘입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2022년 약 21억5000만 달러 수준이던 시장 규모는 2027년까지 약 32억7000만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이는 연평균 성장률(CAGR) 약 8.9%에 해당하는 수치다.
기술 혁신, 품질,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눈에 띄는 성장을 이어가며 글로벌 시장에서 핵심 주자로 부상하고 있는 한국 의료기기 경쟁력은 UAE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약물 전달 패치가 효과성과 안전성 측면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UAE 의료기기 규제 개요 및 의료기기 등록 절차
UAE 의료기기 관련 규제는 보건예방부*(MoHAP: Ministry of Health and Prevention)가 총괄하며, 환자 안전성, 제품 유효성, 품질 확보를 목표로 엄격한 관리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 국민의 질병 예방 및 치료 보건 서비스 제공, 보건 시스템의 전반적인 정책 수립 및 감독을 담당하는 UAE 연방 차원의 부처
보건예방부는 의료기기의 위험도 수준에 따라 ▲Class I(저위험), ▲Class II(중간), ▲Class III(중간), ▲Class IV(고위험)으로 분류하고, 등급에 따라 시장 진입 시 요구되는 규제 요건을 상이하게 규정하고 있다. 다만 위험도 수준과 관계없이 제품 수입과 유통 전 제조업체나 현지 유통업체(대리인)는 보건예방부에 의료기기 등록을 마쳐야 한다.
<UAE 의료기기 규제 개요>
요건 |
설명 |
의료기기 분류 |
위험도에 따라 Class I, II, III, IV로 분류됨 |
등록절차 |
판매 전 보건예방부에 등록 필요 |
품질경영시스템 (QMS) |
제품 품질 일관성을 위한 ISO 13485 준수 |
기술 문서 |
기기의 안전성과 효과를 입증하는 상세 문서 제출 필요 |
라벨링 요건 |
필수 정보가 포함된 명확하고 정확한 라벨 부착 |
시판 후 감시 |
시장 출시 이후에도 지속적인 기기 안전성 모니터링 필요 |
이상 사례 보고 |
이상 사례 발생 시 보건예방부에 의무적으로 보고 |
GCC 규제 협력 |
규제 조화를 위한 걸프협력회의(GCC) 국가들과의 협력 |
UAE 의료기기 등록을 위해서는 제조업체나 대리인이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 관련 자료, ▲기술 문서, ▲공장 등록증, ▲자유판매증명서(CFS) 등 요구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보건예방부는 해당 제품이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지 검토한 후 유통을 승인한다. 등록 이후에도 제조업체 또는 대리인은 사후관리 의무를 이행해야 하며, 이상 사례 발생 시 즉시 보건예방부에 보고해야 한다. 이와 같은 단계적이고 투명한 승인 절차는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는 물론, 해외 제조사의 UAE 시장 진출을 장려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Class I 의료기기 개요
Class I 의료기기는 미국 FDA와 같은 규제기관의 사전 승인을 요구하지 않는 저위험군 제품으로 정의되며 Class I 의료기기의 등록절차는 고위험 등급(Class II, III, IV)에 비해 비교적 간소한 편이다. 대표적으로 약물전달 패치, 밴드, 진찰용 장갑 등이 포함되며 가장 덜 위험한 의료기기, 일반적으로 모든 비침습 의료기기가 Class I 로 분류된다.
<UAE 의료기기 등급 분류표>
분류 |
해당 사례 |
위험도 |
Class I |
· 가장 덜 위험한 의료기기, 일반적으로 모든 비침습 의료기기가 해당 · 상처 난 피부에 접촉하는 비침습 의료기기로서 압박이나 삼출액 흡수 등 세균 차단을 위해 사용되는 것들 · 침습 의료기기 중 일시적(Transient)으로 사용되는 기기 등 |
낮음 |
Class II |
· 비침습 의료기기로 상처 부위의 미시환경을 조절하기 위한 것들 · 침습 의료기기 중 30일 이하로 사용되는 기기(단, 인후와 구강 사이, 고막, 비강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Class I) · 침습 의료기기 중 수술이 아닌 체외 구멍을 통해 다른 Class II 이상의 의료기기와 연결되는 기기 · 일반적인 일시적(Transient) 사용, 단기(Short-term) 수술 침습 의료기기 · 체내 삽입 의료기기 중 치아에 삽입되는 것 등 |
중간 |
Class III |
· 혈액이나 체액의 생물학적/화학적 구성에 영향을 주는 데 쓰이는 비침습적 기기 · 상처 난 피부 접촉, 파열된 피부에 2차 치료로 사용하는 것들 · 침습 의료기기 중 30일 이상 사용되는 기기(단, 인후와 구강 사이, 고막, 비강에 사용되고 점막에 흡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Class II) · 약물 전달을 위한 시스템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해롭다고 여겨지는 일시적 사용 수술 침습 의료기기 · 일반적인 장기(Long-term) 수술 침습, 체내 삽입 의료기기 등 |
중간 |
Class IV |
·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수술침습 의료기기 중 심장이나 순환 시스템의 진단, 모니터, 교정을 위해 이 부분에 직접 접촉하는 기기 · 체내 삽입 의료기기 중 심장, 순환기, 중추신경계에 접촉하는 기기 등 |
높음 |
상처 치료, 약물 전달, 건강 모니터링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약물 전달 패치류는 Class I 의료기기 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임상시험 없이 제조가 가능해 진입 장벽이 낮은 편이다.
<UAE 의료기기 등급(Class)별 시장규모>
(단위: US$ 백만, %)
분류 | 2022년 시장규모 | 연평균 성장률 (2022~2027)(%) |
주요 시장규모 확대 요인 |
Class I | 550 | 7.5 | 상처 관리 및 당뇨병 모니터링 패치에 대한 수요 증가 |
Class II | 750 | 9.0 | 원격의료 및 연결형(connected) 의료기기 성장 |
Class III | 850 | 10 | 최소 침습 수술기기의 발전 |
Class IV | 500 | 12 | 개인 맞춤 의약 및 생체적합 소재에 대한 수요 급증 |
UAE 내 약물전달 패치 수요 동향
약물 전달 패치는 비침습적이고 환자 친화적인 약물투여 방식을 사용한다. 패치는 피부를 통해 약물을 흡수시켜 약물의 체내 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는 경구약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약물농도 급증 및 급감 현상을 방지해 치료 효과의 일관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아울러 위장관을 우회함으로써 약물의 분해를 줄이고 음식물과의 상호작용을 방지해 생체 이용률을 높인다.
최근 UAE 내 약물 전달 패치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는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환자들이 비침습적이고 편리한 방식의 투약 방식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패치에 모니터링 기능이나 투여량 추적 기술을 접목, 치료 효율성과 신뢰도가 높아지면서 홈 헬스케어의 수단으로 약물 전달 패치의 활용도가 늘어나는 추세다.
UAE 내 약물 전달 패치 유통 채널 및 가격 현황
UAE 시장에서 약물 전달 패치의 유통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데 주요 경로는 ▲의약품 전문 유통업체, ▲병·의원 직판(B2B), ▲소매약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현지 유통업체(대리인)와의 파트너십은 기존 유통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시장 진입 속도를 높이고 재고 관리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병원 및 클리닉과의 직접적인 접촉, 교육, 시연 등을 통해 제품의 시장 수용성을 높이고 환자들의 처방 목록에 포함시키는 전략은 중요한 마케팅 방식으로 추천된다.
한편 가격은 시장 점유율 확대와 경쟁 우위 확보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일부 글로벌 기업들은 가치 기반 가격 설정을 통해 프리미엄 가격에 걸맞은 치료효과를 전면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다수의 진출 기업들은 차등 가격 전략(고객군 별로 다양한 가격대를 책정), 한정기간 할인(시장 초기 인지도 제고 및 판매 촉진), 로열티 프로그램이나 의료기관 대상 인센티브 제공 등을 병행하고 있다. 일부는 수요 및 경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가격을 조정하는 동적 가격 전략도 도입하고 있으며, 보험사와의 협업을 통해 환자 부담을 줄이고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 내 주요 약국에서 패치 제품은 다양한 가격대로 판매되고 있으며, 브랜드에 따라 인지도와 유통빈도가 상이하다. 제품 패치 수량과 표기 기준에 따라 가격 비교에는 일부 제한이 있으나 관련 정보는 브랜드 접근성과 유통 현황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주요 경쟁사 분석
UAE 약물전달 패치 시장에는 다수의 글로벌 제약·의료기기 기업들이 진출, 경피 약물전달 혁신 기술을 앞세워 시장 선도를 도모하고 있다. 미국, 유럽계 기업들은 고도화된 제형 기술과 글로벌 유통망을 기반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확보, 병원 및 약국 유통 채널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경쟁동향>
회사명 |
브랜드명 |
원산지 |
Samsung Biologics |
Samsu-Patch |
대한민국 |
Hanmi Pharmaceutical |
Hanmi Patch |
대한민국 |
Mylan |
Mylan Transdermal System |
미국 |
LG Chem |
LG Patch |
대한민국 |
3M |
3M Transdermal Patches |
미국 |
Alfasigma |
Transdermal Patch |
이탈리아 |
Teva Pharmaceuticals |
Teva Transdermal Patch |
이스라엘 |
Novartis |
Novartis Transdermal Patch |
스위스 |
UCB |
UCB Transdermal Patch |
벨기에 |
UAE 시장에서 마일란(Mylan), 쓰리엠(3M) 등 외국계 기업은 브랜드 신뢰도와 업력을 기반으로 프리미엄 가격 전략을 유지하고 있으며, 보험사와의 협업, 대량 계약 등을 통해 다양한 환자층을 아우른다. 즉 브랜드 인지도 중심의 접근과 함께 의료진 대상 교육을 병행하며 유통망 확대를 도모하는 것이다. 아울러 멀티채널 전략(약국·온라인·B2B 등)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소비자군을 공략하는 데 강점을 보이고 있다.
반면 한국 기업은 경쟁력 있는 가격 정책으로 가격 민감도가 높은 소비자층을 공략하고 있다. 품질과 기술력을 강조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대를 유지해 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있으며, 현지 파트너와 협력해 디지털 마케팅을 강화해 브랜드 인지도를 확산시키고 있다.
결론적으로 글로벌 기업과 우리 기업들은 UAE 시장의 특성과 소비자 성향에 맞춰 상이한 전략을 전개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 내 균형 있는 경쟁 구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 및 우리 기업들의 가격, 마케팅 전략 비교>
전략 |
외국 기업 |
한국 기업 |
가격 전략 |
브랜드 인지도를 기반으로 한 프리미엄 가격 책정 |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 유치를 위한 경쟁력 있는 가격 책정 |
유연한 가격 모델과 할인 전략 적용 |
품질 및 기술력을 강조하여 가격 경쟁력 정당화 |
|
보험사와 협력하여 접근성 향상 |
대량 공급을 위한 정부 계약에 집중 |
|
마케팅 전략 |
브랜드 신뢰성과 인지도를 활용한 마케팅 |
기술력을 강조한 마케팅 |
의료 전문가 대상 교육 홍보 활동 실시 |
현지 파트너십을 통한 신뢰 구축 |
|
다양한 소비자층을 겨냥한 다채널 마케팅 전략 구현 |
강력한 디지털 마케팅 활용 |
시사점 및 UAE 내 약물전달 패치 진출전략
UAE의 Class I 의료기기 시장, 특히 약물 전달 패치 분야는 한국 기업에 유망한 진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의료비 지출 증가, 고령화, 만성질환 급증 등으로 사용자 친화적 의료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약물 전달 패치는 비침습적이면서도 환자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바탕으로 UAE 시장 내에서 점차 그 입지를 넓혀가고 있으며 보건 당국의 간소한 승인 절차는 시장 진입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현지 의료기기 유통사 매니저 A씨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의약품 유통사, 병원 직판, 약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등 다채널 유통전략이 효과적인 시장 진입을 위한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 의료기술에 대한 인지도를 기반으로 표적 마케팅 캠페인과 가격 경쟁력을 활용한 전략적 유통방안을 마련할 경우 초기 시장 진입 후 브랜드 정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우리 관련 기업들의 적극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29322&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