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이집트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시장 동향 본문
이집트 브레이크 패드 수입 의존도 95%에 달해
BMI, 이집트 브레이크 패드 시장 향후 두 자릿수 성장 전망
한국산 브레이크 패드, 고품질 가성비 제품으로 평가받아
이집트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시장 규모
러-우 분쟁 등 불안정한 글로벌 정세와 국내 경제 위기에 따른 환율 변동으로 외환 위기를 겪으며 이집트 자동차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가처분 실질 소득을 감소시켰다. 반면 신차 공급 부족 및 높은 판매가격은 기존 차량을 유지하며 정비용 애프터마켓 부품에 대한 수요를 상승시켰으고 , 특히 차량 안전에 필수적인 브레이크 패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OEM(위탁 생산) 부품과 애프터마켓 부품 간의 정확한 비중에 대한 정보는 없지만 각종 데이터와 산업 동향을 보면 애프터마켓 부품이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GB Auto(Ghabbour Auto, 현대자동차의 이집트 에이전트)의 부품 판매 총괄 담당자인 모하마드 파우지(Mohamed Fawzi) 씨는 KOTRA 카이로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이집트의 애프터마켓 규모가 총시장의 약 90%를 차지한다고 전했다. 또한, 애프터 마켓 시장에서는 대부분 중국, 한국, 일본과 같은 아시아 국가들로부터 수입된 부품들이 공급된다고 한다. 이집트의 현지 부품 제조 기업들이 배터리, 브레이크 패드, 배선, 필터 등의 부품을 생산하며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요의 95%가 수입 부품으로 충족되는 실정이라고 한다.
IHS Markit에 따르면, 2024년 이집트의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수입액은 4800만 달러로, 전년 5440만 달러 대비 11.8% 감소했으나, 2022년 4570만 달러보다는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집트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구분/연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수입액 | 45.7 | 54.4 | 48.0 |
증감률 | 6.9 | 18.9 | -11.8 |
BMI에 따르면, 이집트 경제는 작년 3월 외환위기로 인해 자국 화폐가 약 62% 평가 절하된 이후 2024년 3분기 부터 서서히 회복되면서 안정기에 접어들었다. 2024년 차량 판매가 전년 대비 17% 증가한 데 이어 2025년에는 15.1%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차량 운행과 안전에 필수적인 브레이크 패드의 수입도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집트 내각은 투자 및 외국 무역부가 제안한 2025년까지의 자동차 시장 규제를 승인했다. 이 규제는 현지 자동차 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며, 가격 안정 유지를 목표로 한다. 자동차 부품을 인증된 서비스 센터를 통해 제공하는 한편, 기준을 충족하는 차량의 도입을 강조하며, 지식 재산권 보호와 시장 왜곡 제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집트 브레이크 패드의 국별 수입 동향
2024년 이집트의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수입액은 4800만 달러로 전년도 5440만 달러 대비 11.8% 감소했다. 수입국 1위인 중국으로부터의 2024년 수입은 115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5% 증가했고, 특히 2024년 중국의 수입시장 점유율은 전년 20.2%에서 23.9%로 가장 크게 증가했다. 한국은 2위 수입국으로 2024년 690만 달러로 2023년 대비 6.8% 감소했으나 시장 점유율은 14.3%로 전년 13.6%에서 소폭 상승했다. 유럽, 일본과 타 자동차 선진국과 비교하면 높은 수준이지만 2022년 15.1%의 점유율에는 못 미치고 있다. 수입 감소의 원인은 현대 자동차를 조립 생산하는 GB Auto가 주요 한국 공급 업체들과의 가격 조정 문제로 인해 수입 물량을 줄인 데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상위 10위 수입국 중 6개 국가에서 수입이 감소했다. 주로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 강국인 한국, 독일, 일본에서 수입이 감소했고, 수입시장 점유율도 독일이 8.9%에서 4.8%로, 일본이 5.8%에서 4.8%로 모두 감소했다. EU에서는 380만 달러를 수입해 전년 대비 159.7%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나 10위 권 내 국가에서는 이탈리아에서 수입이 소폭 상승한 것을 제외하면 독일, 스페인, 체코 수입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중국을 비롯한 인도(7위), 브라질(9위) 등 개도국에서 수입이 증가했고, 이들의 점유율 역시 상승해 인도가 전년도 3.8%에서 4.3%로, 브라질이 1.6%에서 2.0%로 성장했다.
선진국에서의 수입감소와 개도국에서의 수입 증가는 외환 위기 이후 가격에 민감해진 소비자들의 성향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체리, BYD 등 중국산 자동차의 현지 생산이 확대되면서 관련 부품의 수입도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집트 정부가 외환 상황을 모니터링 하며 자동차 수입 물량을 직간접적으로 조정하고 있어 브레이크 패드 등 자동차 부품의 수입이 수요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이집트의 국가별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 | 국가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수입액 | 증감률 | 점유율 | 수입액 | 증감률 | 점유율 | 수입액 | 증감률 | 점유율 | ||
전 세계 | 45.7 | 6.8 | 100.0 | 54.4 | 19.0% | 100.0 | 48.0 | -11.8% | 100.0 | |
1 | 중국 | 9.4 | -0.8 | 20.6 | 11.0 | 17.0 | 20.2 | 11.5 | 4.5 | 23.9 |
2 | 한국 | 6.9 | 16.3 | 15.1 | 7.4 | 7.2 | 13.6 | 6.9 | -6.8 | 14.3 |
3 | 터키 | 5.7 | 2.1 | 12.4 | 6.9 | 21.1 | 12.7 | 6.2 | -10.1 | 12.9 |
4 | 이탈리아 | 2.3 | 3.4 | 5.1 | 3.3 | 43.5 | 6.1 | 3.4 | 3.0 | 7.1 |
5 | 독일 | 2.3 | -9.2 | 4.9 | 4.9 | 113.0 | 8.9 | 2.3 | -53.1 | 4.8 |
6 | 일본 | 3.5 | -11.8 | 7.5 | 3.2 | -8.6 | 5.8 | 2.3 | -28.1 | 4.8 |
7 | 인도 | 1.9 | 37.0 | 4.1 | 2.1 | 10.5 | 3.8 | 2.1 | 0.0 | 4.3 |
8 | 스페인 | 1.7 | 80.3 | 3.7 | 2.4 | 41.2 | 4.5 | 1.4 | -41.7 | 2.9 |
9 | 브라질 | 0.5 | -52.7 | 1.2 | 0.9 | 80.0 | 1.6 | 1.0 | 11.1 | 2.0 |
10 | 체코 | 0.6 | 0.0 | 1.3 | 1.0 | 66.7 | 1.8 | 0.8 | -20.0 | 1.7 |
브레이크 패드 유통 구조
1. 애프터마켓(After-sales Market): 애프터마켓용 브레이크 패드는 일반적으로 해외 제조업체가 직접 수출하는 경우가 많다. 해외 제조업체는 브레이크 패드를 현지 에이전트, 수입업체, 유통업체 또는 자동차 부품 전시장, 서비스/정비 센터를 보유한 도매업체에 직접 수출하거나 납품한다. 통상 에이전트, 수입업체, 도매업체 또는 공식 유통업체는 수입한 브레이크 패드를 물류창고에 보관하고 있다가 자동차 정비 센터에 공급해 고객이 차량을 정비하거나 수리할 때 사용한다. 일부 에이전트나 수입업체는 자체 전시장을 운영하며,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수입한 브레이크 패드를 전시장에 진열해 최종 사용자에게 판매하기도 한다.
2. 현지 조립 시장(Local Assembly Market): 이집트의 일부 브레이크 패드 에이전트는 현지에서 글로벌 브랜드의 자동차를 조립 생산하며 브레이크 패드를 제조하기도 한다. GB Auto(현대자동차의 이집트 에이전트)는 현대차의 일부 모델(아반떼)을 현지 조립 생산하기 위해 상신(Sangsin), 현대 모비스(Mobis) 또는 기타 해외 제조업체로부터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한 시스템을 직접 수입해 현지 제조하는 현대차에 장착하고 있여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이들은 자사에서 제조한 차량의 애프터서비스(AS), 정기 점검 및 수리를 위한 정비소를 운영하며 애프터마켓용으로 해외 제조사로부터 정품 브레이크 패드를 직접 수입한다.
3. 전문 온라인 채널: 최근 이집트에는 ‘YourParts(www.yourparts.com)’라는 전문 온라인 채널이 출범했다. YourParts는 이집트에서 가장 큰 온라인 자동차 부품 애프터마켓 플랫폼으로, 최종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통해 최대 6개월간 품질을 보증하는 정품 부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이 플랫폼은 파트너사를 통해 모든 부품 교환, 설치 및 점검을 수행하고 승용차 정비 서비스 예약을 지원하기도 한다.
이집트의 브레이크 패드 관련 주요 대리점, 수입업체 및 유통업체는 매우 다양하다. 아래 기업들은 다양한 브레이크 패드을 이집트에 공급해 온 대리점과 업체들로 오랜 경험과 다년간의 활동을 바탕으로 브레이크 패드 분야의 대표 공급업체로 꼽힌다.
<이집트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수입 및 유통업체 및 특성>
기업명 | 특징 | 제조사(원산지) |
SMG Engineering Automotive Company | • 개요: SMG는 1967년 Shawky와 Maurice Ghattas가 설립해 자동차 분야에서 명성을 구축해 온 가족기업으로 포르쉐(Porsche), 스카니아(Scania), 할리데이비슨(Harley-Davidson)의 독점 대리점이자 벤츠(Mercedes-Benz)의 파트너이며, 브레이크 패드, 요 시스템(yaw system), 스러스터 브레이크(Thruster Brake), 로터 잠금장치 등의 제품을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음. • 웹사이트: www.smgeac.com | 상신 브레이크 (한국) |
El-Tawfik Trading & Import Co. | • 개요: 1982년 설립한 이집트의 선도적인 자동차 부품 수입업체로, 대부분 일본, 한국, 태국, 중국, 대만의 유명 OEM 제조사로부터 제품을 수입함. • 웹사이트: www.eltawfikatm.com | JFBK (일본) |
A-Part Auto | • 개요: 2002년에 설립된 기업으로BOSCH, AZPI, Zexel, Delphi, Optibelt, GEBA, GEBE, PHC Valeo, GMB, ATE, GY, Nissens, Sidem, Road House, Wix 등 다양한 자동차 브랜드의 독점 대리점임. • 웹사이트: www.a-part.com | Bosch (독일) |
N Auto Express (Nour El-Din El-Sherif Group) | • 개요: 이집트의 선도적인 자동차 회사로,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한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제공한다. 기아, 현대, 도요타 등 브랜드와 호환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공급함. • 웹사이트: www.nautoexpress.com | 상신브레이크 (한국) |
PetroMix Egypt | • 개요: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슈(brake shoes), 연료 펌프, 쇼크 업소버 등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Asimco의 브레이크 패드와 브레이크 슈를 공급하고 있음. • 웹사이트: www.petromixeg.com | Asimco (중국) |
TIBA Auto Spare Parts | • 개요: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오일, 타이밍 벨트 등 다양한 자동차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Brembo 브레이크 패드를 독점적으로 공급 중임. • 웹사이트: www.tibaasp.com | Brembo (이탈리아) |
HSMN Trade Co. | • 개요: Galfer 브레이크의 이집트 공식 유통사 • 웹사이트: N/A | Galfer (스페인) |
GE for Trading | • 개요: 이집트에서 프리미엄 자동차 부품을 신뢰할 수 있는 배송과 간편한 반품 서비스와 함께 제공하며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한 다양한 부품을 취급함. • 웹사이트: www.getradingeg.com | Roadhouse (스페인) |
경쟁 동향
GB Auto의 부품 판매 총괄 담당자 모하마드 파우지(Mohamed Fawzi)씨는 이집트 브레이크 패드 시장의 45%를 차지하는 브랜드로 독일의 보쉬, 중국의 골드, 한국의 하이큐를 꼽았으며, 나머지 55%는 JFBK(일본), Miyaco(일본), Seiken(일본), ONNURI(한국), Frixia(한국), TRW Automotive(미국), Bendix Corporation(미국), Ferodo(영국) 등이 차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모하마드 파우지씨는 이집트에는 가격이 비싼 독일산 브레이크 패드부터 가격이 저렴한 중국산 브레이크 패드까지 다양하게 수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독일 브랜드는 고속 주행에 적합한 높은 효율성으로 인해 최고급 브랜드로 간주되며, 중국 브랜드는 저렴한 가격을 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반면 한국 브랜드는 우수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며 품질과 가격을 모두 중시하는 고객들이 선호하고 있다.
이집트 시장에서 만도(Mando)와 상신(Sangsin)의 하이큐(Hi-Q) 같은 한국 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 브랜드들은 한국의 자동차 부품에 대해 가진 글로벌 명성을 기반으로 이집트에 성공적으로 진출했다. 이 제품들은 소음 없는 작동, 적은 분진, 우수한 제동력으로 신뢰받고 있다. 이집트 소비자들은 어려운 경제 환경에서 가격과 내구성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 고가의 독일, 일본 브랜드에 대한 경제적인 대안으로 한국산 브랜드를 선택하고 있다. 특히 현지에서 최고 인기 차량인 현대, 기아, 일부 도요타 모델(코롤라)의 차주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집트의 주요 수입 브레이크 패드 브랜드 및 특징>
기업명 | 브랜드 (원산지) | 시장 점유율 | 가격 기준 |
보쉬(Bosch) | 보쉬 (독일) | 15% | • 브레이크 패드 가격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가격이 달라짐. - 브레이크 종류(디스크 또는 드럼) - ABS 또는 ABD 적용 여부 - 크기, 부품 번호 - 브레이크 재질(세라믹 또는 금속) - 브레이크 시스템의 세부 부품 및 사양 - 전륜 또는 후륜 브레이크 패드 - 차량 모델 - 중고 또는 신품 * 연식이 오래된 중고차들은 중고 브레이크 패드 수요가 있음. • 일부 소비자 수요에 따라 여러 브랜드 제품을 혼합해 맞춤형으로 브레이크 패드 시스템 구성 가능 * 브레이크 디스크는 Bosch 제품, 패드는 Sangsin 제품을 사용하는 식 |
산둥 골드 피닉스 그룹 (Shandong Gold Phoenix Group) | 골드 (중국) | 15% | |
상신 브레이크(Sangsin) | 하이큐(Hi-Q) (한국) | 15% | |
기타 브랜드 | 55% | • JFBK(일본), Miyaco(일본), Seiken(일본), ONNURI(한국), Frixia(한국), Bendix(미국), Ferodo(영국), TRW Auto(미국) 등 |
모하마드 파우지씨는 브레이크 패드 가격과 관련해서 위에서 언급한 변수에 따라 달라질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 시스템 전체가 아닌 부품에 따라서도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미국 브랜드 ‘Hardex’의 미츠비시 랜서(Lancer)용 전륜 브레이크 패드 가격은 500EGP(약 1만3800원)인 반면 독일 기업 ATE(유럽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의 원조 설계자)가 제조해 공급하는 전륜 브레이크 패드 가격은 2500EGP(약 6만9000원)에서 3000EGP(약 8만2900원) 수준이다. 그가 공유한 대표적인 브레이크 패드의 가격은 다음과 같다.
<이집트 주요 수입 브레이크 패드 가격>
브랜드 | 세부 사항 |
하덱스브레이크 패드 | • 하덱스(Hardex) 전륜 브레이크 패드 세트 가격: 784EGP (미츠비시 랜서 및 다이하츠와 호환) • 하덱스 전륜 브레이크 패드 가격 : 855EGP (현대 뉴엑센트, 기아 리오 호환) |
ATE 브레이크 패드 | • ATE 602984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세트, 후륜: 2,469.6EGP • ATE 브레이크 패드 세트 607244: 1,621EGP • ATE 607078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세트, 전륜: 3,668EGP • ATE 607032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세트, 전륜: 1,267EGP * ATE 브레이크 패드는 특정 모델과 차량 호환성에 따라 가격 상이 |
SMG 브레이크 디스크 | • 닛산 써니 N17(‘13~’18년) SMG 후륜 브레이크 패드 세트: 230EGP • 랜서 부마용 전륜 브레이크 패드(SMG-SMPP10009) : 550EGP • SMG 브레이크 교체용 패드: (세미메탈릭) 2,280EGP, (카본세라믹) 3,546EGP • (맞춤형) SMG가 드릴링 및 슬롯팅 처리한 브레이크 로터 : 9,627EGP (차량 모델 및 구체적인 요구에 따라 가격 상이) * SMG 브레이크 패드 가격은 차량 모델, 패드 종류, 공급업체에 따라 상이 |
그는 이집트 소비자들이 브레이크 패드를 구매할 때, 실용성, 재정 상황이 복합적으로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준다고 설명하며 다음과 같은 기준을 언급했다.
<이집트 고객의 브레이크 패드 선택시 고려 사항>
구분 | 내용 |
가격 | 경제 변동성과 인플레이션을 고려할 때, 이집트 소비자들에게 가격 경쟁력은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많은 소비자들은 단순히 가장 저렴한 제품보다는 성능 대비 가성비를 중시한다. |
브랜드 평판 및 신뢰도 | 잘 알려진 글로벌 브랜드나 평판 좋은 현지 브랜드가 신뢰성 측면에서 선호된다. 특히 입소문과 자동차 정비사의 추천이 브랜드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내구성과 수명 | 이집트의 도로 환경(잦은 제동, 고온, 교통 혼잡 등)을 고려할 때, 내구성이 높은 제품이 선호된다. 내구성은 교체 빈도를 줄이고 장기적인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 |
차량 모델과의 호환성 | 이집트 시장에는 다양한 브랜드(한국, 일본, 유럽, 중국 등)의 차량이 존재하므로, 소비자들은 자신의 차량 모델에 맞는 제품을 찾는 데 집중한다. |
성능 및 안전성 | 특히 비상 상황이나 혼잡한 도로 환경에서의 제동 성능은 최우선 고려 사항이다. 일부 소비자들은 여름철이나 산악 지역 주행 시 열에 대한 저항력(페이드 현상에 대한 저항력)도 중요하게 여긴다. |
정비공 또는 정비소의 추천 | 많은 소비자들은 정비사의 조언에 크게 의존하며, 정비사가 추천하는 제품을 그대로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
소음 및 먼지 발생 정도 | 편안함과 차량 청결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은 소음이 적고 먼지가 덜 나는 브레이크 패드를 선호한다. |
보증 또는 품질 보장 | 반품 정책이나 성능 보증이 되는 제품은 소비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더 높은 품질의 제품이라는 신호로 받아들인다. |
제조국 | 일부 소비자들은 품질 차이를 인식해 중국산이나 무명 브랜드의 제품보다 독일, 일본, 미국산 제품을 선호한다. |
<주요 브랜드별 선호 이유에 대한 인터뷰>
연번 | 브랜드(수출국) | 현지 유통업체 | 선호 이유 |
1 | 보쉬 (Bosch) (독일) | 보쉬 이집트 및 A 파트 (Bosch Egypt and A Part) | • 보쉬는 자동차의 성능 향상, 안전성 및 연비 개선에 기여하는 고품질 자동차 부품을 제공함. • 소비자들은 보쉬 부품이 극한의 고온 또는 저온의 환경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보장하도록 설계되고 공장에서 테스트를 거친 제품으로 인식하고 있음. |
2 | 산둥 골드 피닉스 그룹 (Shandong Gold Phoenix Group) (중국) | 나일 모터스 (Nile Motors) | • 산둥은 중국산 저렴한 브레이크 패드로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며, 예산이 빠듯한 저소득층 및 일부 중산층이 주요 소비층임. • 고소득층 소비자들은 산둥 제품을 저품질로 인식해 보쉬 등의 독일 브랜드 혹은 다른 유럽 브랜드를 선호함. |
3 | 상신 브레이크 (Sangsin Brake) (한국) | SMG 엔지니어링 및 NASCO | • 이집트 소비자들은 상신 ‘하이큐(Hi-Q)’ 제품이 소음이 없고 브레이크를 밟을 때 매우 부드럽고 잔여물도 남기지 않는 등 뛰어난 성능을 제공한다고 평가함. 또한 한국 자동차 외에 도요타 차량에도 장착됨. • 이집트 소비자들은 상신 제품이 현대차와 기아차에 공급되는 한국산 OEM 브랜드라는 것을 잘 알고 있으며, 이 제품이 도요타(코롤라) 이외 더 많은 모델의 차량과 호환된다면 더 많은 지인에게 추전하겠다고 응답함. * 현재는 현대차, 기아차, 도요타 일부 모델(코롤라)에 적용 |
이집트 정부는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한 자동차 부품의 현지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전문 산업 단지를 조성하고, 세금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수입 의존도를 줄이고, 이집트 제품의 역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정부 이니셔티브는 이집트 내에 브레이크 패드를 생산하는 소수의 현지 제조사들이 생겨나면서 더욱 힘을 얻고 있다. 그러나 생산량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부족으로 각 회사의 시장 점유율을 추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 이들 중 일부를 소개한다.
<이집트 주요 브레이크 패드 현지 제조업체>
기업명(브랜드) | 웹사이트 | 개요 |
Egyptian Turkish Group (ETG Brake) | www.etgbrake.com | • 2000년에 설립된 이집트 기업으로, 마찰재 제조 및 거래 분야에서 많은 경험을 가진 투자 그룹이 이끌고 있음. • 보유 브랜드는 에가다(Egada), 엑셀론(Xcelone), 프레논(Frenon) 등임. |
Spring and Transport Needs Manufacturing Company(YAYAT) | www.yayat.org | • 이집트 화학산업 지주회사(Holding Company for Chemical Industries)의 자회사로 1958년 설립된 후 1963년 국영기업이 됨. • 3개의 공장(Leaf Spring, Helical Spring, Brake Lining)에서 YAYAT 브랜드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MAK Lining (TRAXX) | www.maktraxx.com | • MAK Lining은 중동 및 아프리카의 마찰재 분야 최대 제조업체로 1991년에 설립됐음. • 영국 FERODO와 라이선스 계약으로 제조를 시작, 1998년에 TRAXX를 선보임. |
전망 및 시사점
KOTRA 카이로 무역관이 이집트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 바이어를 대상으로 시장 전망과 경쟁력 확대 방안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이집트에서 자동차 브레이크 패드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은 제품 자체의 특성에 기인한다. 모든 차량은 브레이크 패드 및 관련 부품의 정기적인 유지 보수와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적 성격이 있다. 이에 따라 OEM 및 애프터마켓 시장에서 꾸준한 수요가 있다. 브레이크 패드 교체 주기는 통상 차량 모델,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얼마나 자주, 얼마나 세게 밟는지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인 교체 주기는 2만 마일(3만2000km)에서 6만 마일(9만6000km)로 알려져 있다.
이집트는 일반적으로 열악한 도로 상황으로 인해 더 잦은 교체 수요가 발생하는 시장이다. 이와 더불어 이집트의 차량 안전 기준 강화는 고품질 브레이크 패드의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 패드 소재 및 제조 공정 혁신은 성능과 내구성 향상으로 이어져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집트의 브레이크 패드는 통상 자동차 OEM 제조용과 애프터마켓용으로 구분된다. 최근 이집트 시장은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신차 구매 수요가 감소하며 현지 차량 제조사의 브레이크 구매 수요가 줄고 있다. 반면 기존 차량의 유지를 위한 애프터마켓용 브레이크 패드 교체 수요가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바이어들은 한국기업 현지 시장 진출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이집트 브레이크 패드 시장은 다양한 브랜드가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최근 소비자들의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져 가격 경쟁력 확보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중국산 제품이 수입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가는 이유도 가격 경쟁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지 대리점 선정을 통한 수출을 권한다. 대리점은 영업팀을 고용해 고객에게 제품을 홍보하며 기업의 가격 전략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고객들이 대량 주문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등 현지 시장 상황에 맞게 전략적으로 접근해 시장 점유율 제고를 위해 노력한다.
특히 자동차 제조업체(조립업체) 등 규모 있는 대리점과의 협력이 중요하다. 제조업체들은 일반적으로 제품 광고에 투입할 재정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빠른 홍보가 가능하다. 또 더 많은 잠재 소비자, 특히 자동차 제조사의 서비스 센터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검증된 고객에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30236&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