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중국 바이오시약 시장동향 본문

투자

중국 바이오시약 시장동향

DDOL KONG 2025. 5. 1. 03:21

소수의 해외기업 브랜드가 시장 주도
효소 시약 등 분야에서 해외기술 도입 수요 활발


바이오시약은 특정 물질이나 세포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 물질이나 시약을 의미한다. 주로 생화학, 분자생물학, 면역학 분야에서 질병의 조기 진단, 백신 개발, 유전자 측정 등에 활용되고 있다.

중국 바이오시약 시장동향

중국 내 생명과학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바이오 시약 시장은 지속 성장 중에 있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에 따르면, 2024년 중국 바이오 시약 시장규모는 260억 위안(약 5조 원)이다. 그중 분자류 시약, 단백질류 시약, 세포류 시약은 각각 전체 시장의 49.5%, 31%, 19.3%를 차지한다. 2028년 중국 바이오 시약 시장규모는 526억 위안(약 10조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의약품 연구개발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23년 기준, 중국 바이오시약 상장기업의 연구개발 규모는 전년대비 16.7% 증가한 1192억 위안이다.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이 발표한 <2023년도 의약품 심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혁신 신약 40개, 희귀질환 치료제 45개, 소아용 의약품 92개 품목이 시판 승인을 받았다.

<중국 바이오시약 시장규모>
(단위: 억 위안, %)


경쟁 동향

바이오시약 시장은 분자류 및 단백질류 분야에서 소수의 글로벌 기업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정보망(中国情报网)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분자류 바이오시약 시장은 미국기업 Thermo Fisher가 전체 시장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Qiagen(독일), Takara(일본), BioRad(미국) 등이 바이오시약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중국 로컬 기업 중에서는 Vazyme(诺唯赞)이 전체 시장의 4%를 차지하고 있다. 단백질류 바이오시약 시장은 미국기업 R&D Systems가 2024년 기준 전체 시장의 20%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 PeproTech(미국)가 11%를 점유하고 있다. 중국 로컬 기업으로는 SinoBiological(义翘神州), Acrobiosystems(百普赛斯), Novoprotein(近岸蛋白)가 전체 시장의 11%을 점유하고 있다.

<중국 바이오시약 시장 주요기업>


유통 구조

중국의 바이오시약 유통 구조는 크게 외국 원산지 공급업체, 해외 브랜드 대리점, 중국 로컬 브랜드 업체, 대리점, 온라인 플랫폼 등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중국 바이오 시약 시장의 주요 특징

① 핵심기술 플랫폼 구축을 통해 독자적 연구기반 마련

중국의 바이오의료 기업들은 바이오시약 수입품에 대한 의존도(약 90%)를 낮추고 독자적인 연구개발과 혁신을 위한 핵심기술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핵심기술 플랫폼은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면역학, 발달생물학 및 줄기세포 연구 분야의 기초 과학 연구와 혁신 의약품 연구개발을 위한 바이오시약 및 기술 서비스 조달 기능을 한다.
중국 베이징(北京)에 소재한 이차오 선저우(义翘神州)는 단백질과 항체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시약 연구개발을 위한 전체 핵심 기술 세트와 5개 핵심 기술 플랫폼*을 구축했다. 또한, 2024년 기준 9300개 이상의 재조합 단백질, 약 1만5000개의 항체, 5만 개 이상의 유전자를 연구 개발했다.
* 5개 핵심 기술 플랫폼: 재조합 단백질 발현(重组蛋白表达平台), 항체개발(抗体开发平台), 생물 분석 및 검출(生物分析与检测平台), 세포주 개발(稳定细胞株开发平台), 분자생물학기술 (分子生物学技术平台)

② 마이크로스피어 제어 기술로 고객의 샘플 테스트 효율화

기초 연구, 약물 및 백신의 연구개발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수요자 기반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 선전(深圳)에 소재한 FAPON BIO(菲鹏生物)는 기능성 마이크로스피어* 입자 크기를 제어하는 기술을 통해 시약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는 생물의학, 면역학, 분해미생물 분리 시약, 생체 촉매 및 기타 바이오 첨단기술 분야의 샘플 테스트에 활용될 수 있어 시약 제조 기업 및 제약 기업들에게 각광받고 있다.
* 마이크로스피어: 나노 물질이 탑재된 초소형 중합체로, 약물 전달에 사용됨

③ 효소 시약 등 분야에서 중국기업의 해외기술 도입 수요 활발

중국 내 바이오시약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해외기술 도입 수요가 활발해지고 있다. 팡정증권(方正证券)에 따르면, 중국 바이오시약 기업들은 단백질 및 항체 생산, 첨단 시약 생산, 품질 관리 및 검출 등에 해외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특히 mRNA백신* 연구 개발은 효소 원료가 필요하며, 중국 기업들은 기술 라이선스, 합작 생산, 공동 개발 등의 방식으로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중국 선전(深圳)에 소재한 캉타이 바이오(康泰生物)는 아스트라제네카와 합작 회사를 설립해 mRNA 백신 생산에 필요한 캡핑효소와 중합효소 원료의 공정개선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 mRNA백신: 감염병 예방, 종양 치료 등에 폭넓게 적용 가능

수입동향

2023년 기준, 중국 바이오시약 수입액은 전년대비 0.9% 감소한 55억6561만 달러 (약 8조1808억 원)이다. 주요 수입국은 독일, 미국, 일본, 아일랜드, 영국, 프랑스, 싱가포르, 스웨덴, 스페인, 핀란드 순이며, 상위 10대 수입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이 전체의 95%를 차지했다. 2024년 기준,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8.1% 감소한 1540만 달러(약 226억 원)로 국가별 수입액 17위를 차지했다.

관세 및 수입 규제

(관세율)
중국 바이오시약 관세율은 일반세율이 26%이고 최혜국 세율이 3%이며, 한중 FTA 세율은 0%이다. 관세율이 가장 낮은 한중 FTA 무역협정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인증제도)
① GMP 인증
바이오 시약이 임상시험, 의약품 생산 또는 체외 진단 시약 생산에 사용되는 경우 GMP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시약, 병원체 조작이 수반되는 시약 등이 해당된다.  
② NMPA 인증
바이오시약이 의약품 또는 체외 진단 시약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 NMPA 인증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감염병 진단 시약, 유전성 질환 검사 시약, 약물 농도 측정 시약 등이 해당된다.
③ 바이오안전 인증
생물학적 시약에 병원성 미생물, 조직 또는 인체 유래 체액과 같은 병원체 또는 고위험 물질이 포함된 경우 생물안전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시사점

중국 내 유전자 편집, 단일 세포 염기서열 분석, 단백질체학 등 바이오 산업의 지속 발전에 따라 임상 진단이나 정밀 의료, 개인화 치료 등을 위한 바이오시약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생물 의약 산업에 대한 정책 지원, 인구 고령화와 만성 질환 발생률의 상승 역시 시장 수요를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종양 검사, 감염병 진단 등 분야에서 바이오시약 시장이 성장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중국 로컬 기업들은 기술 수준 향상, 생산 품질의 지속 개선을 목표로 글로벌 기업과 기술 협력 및 유통채널 확장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은 바이오시약 및 생명공학 산업에서 단백질 및 항체 생산, 세포치료・재생의학 기술, 고부가가치 첨단 시약 개발 등 분야에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 중국 바이오시약 시장 동향을 주시하는 한편, 현지 기업과 기술 협력 등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28645&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