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2025년 독일 철강 산업 정보 본문
독일 철강 산업은 수소 기반 제철과 저탄소 전환을 중심으로 구조 재편이 진행 중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우리 기업은 EU 규제와 시장 진입 장벽에 대한 면밀한 대응이 중요
산업 특성
① 산업 정책
독일 철강 산업은 유럽 제조업의 핵심 기반으로서, 자동차, 기계, 건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탄소중립을 향한 정책 변화, 에너지 전환, 중국산 저가 철강의 유입, 글로벌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철강 산업은 중대한 구조적 전환의 시기에 놓여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독일 정부는 철강 산업을 보호하는 동시에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독일 철강 산업 정책의 핵심 방향은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전환에 있으며, 그 중심에는 수소를 활용한 제철 기술의 도입이 있다. 독일 정부는 기존의 고로(BF, Blast Furnace) 기반 제철 방식 대신, 수소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직접 환원철(DRI, Direct Reduced Iron) 방식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전환을 뒷받침하기 위해, 독일 연방정부는 기후 및 전환 기금(Klima- und Transformationsfonds, KTF)’을 통해 기업의 탈탄소화 프로젝트에 대한 보조금 및 투자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해당 기금은 철강, 화학, 시멘트 등 탄소 집약 산업 분야의 기술 전환을 위한 주요 재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연방경제기후보호부(BMWK)가 이를 총괄한다.
독일의 철강 산업의 수소 전환 정책은 ‘국가 수소 전략(Nationale Wasserstoffstrategie, NWS)’에 근거하고 있다. 철강 산업은 고로(Blast Furnace) 공정을 대체하기 위해 수소를 대규모로 사용하는 직접 환원 제철(DRI) 방식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어, 산업 부문 전체에서 수소 수요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철강 산업은 ‘국가 수소 전략’에서도 우선 지원 대상 산업군으로 명시돼 있으며, 수소 생산·공급 인프라 구축, 기술 개발, 투자 보조금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의 주요 수혜 산업으로 포함돼 있다.
아울러, 독일은 유럽연합(EU)과 협력해 중요한 공동 유럽 프로젝트 ‘IPCEI Hydrogen’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소 생산, 저장, 운송, 응용 기술 등 수소 생태계 전반에 걸쳐 대규모 공동 투자를 집행하고 있다. 독일 내에서는 2022년부터 약 62개의 수소 관련 프로젝트가 승인됐으며, 이 중 상당수가 철강 산업과 연계돼 산업 탈탄소화를 위한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IPCEI Hydrogen 철강 산업 주요 프로젝트>
기업명 | 프로젝트명 | 주요 내용 | 기술 유형 |
Thyssenkrupp Steel | tkH2Steel | 고로 2기 및 코크스 플랜트 폐쇄, 수소 기반 DRI 및 전기로 도입 | 수소 기반 DRI + 전기로(Electric Arc Furnace) |
ArcelorMittal Hamburg | H2 aus Hamburg (H2H) | 천연가스 기반 DRI를 100% 수소 기반으로 전환, 기술 실증 프로젝트 | 수소 기반 DRI |
Stahl-Holding-Saar (Saarstahl & Dillinger) | H2SYNgas | 고로에 수소 및 합성가스(Syngas)를 혼합 주입하는 하이브리드 환원 공정 | 고로 기반 하이브리드 기술 |
Salzgitter AG | SALCOS + GETH2 연계 | 수소 기반 제철 전환(SALCOS) 및 수소 인프라 연계(GET H2 프로젝트 참여) | 수소 기반 DRI + 전기로 + 인프라 |
② 주요 규제
1) EU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
EU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Safeguard Measures on Certain Steel Products)는 2018년 7월 처음 도입된 이후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시행 중이다. 이 조치는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철강 수입 규제로 인해 EU로의 수입 전환(우회 수출)이 급증할 가능성이 커지자, EU 철강 산업을 심각한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입됐다. 세이프가드 조치는 관세율 할당제(TRQ, Tariff Rate Quota) 방식으로 운영되며, 제품별·국가별로 연간 수입할당량이 설정된다. 할당량을 초과한 철강 제품에는 최대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된다. 현재 총 26개 철강 제품군이 조치 대상에 포함돼 있으며, 주요 수출국에 대해서는 차등 적용 기준이 설정돼 있다. 지난 2024년 2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시장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글로벌 철강 과잉생산 지속과 EU 철강 산업의 회복 미진을 이유로 해당 조치를 2026년 6월까지 2년 추가 연장하기로 했다.
2) 배출권 거래제(ETS)
EU 배출권 거래제(EU ETS)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유럽연합의 대표적인 시장 기반 기후 정책으로, 철강 산업을 포함한 에너지 다소비 업종에 직접 적용된다. 철강 생산업체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해 일정량의 배출권(Emission Allowance)을 보유해야 하며, 배출량이 할당량을 초과할 경우 이를 시장에서 구매해야 한다. 2025년 현재, EU ETS는 제4차 거래 기간(Phase 4, 2021~2030)에 해당하며, 이 기간에 전체 배출 허용 총량(cap)은 2024년부터 2027년까지 연간 4.3%, 2028년부터는 4.4%씩 감축되도록 설정돼 있다. 특히 철강 산업을 포함한 에너지 다소비 제조업 부문에 대한 무상 할당(Free Allocation)은 2026년 탄소국경조정제도의 본격 시행에 맞춰 단계적으로 축소될 예정이다.
3)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는 탄소 누출(carbon leakage)을 방지하고 EU의 기후 중립 목표를 뒷받침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주로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기, 수소 등 탄소 집약적 제품의 EU 수입에 적용된다. CBAM은 2023년 10월 1일부터 ‘이행 준비 단계(Transition Period)’에 진입했으며, 이 단계에서는 탄소 배출량 보고 의무만 존재하고, 실제 금전적 부담(탄소 인증서 구매)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제도는 2026년 1월 1일부터 정식 시행(Full Implementation)될 예정으로, 이 시점부터는 수입업체가 제품에 내재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따라 CBAM 인증서를 구매해야 하는 의무가 발생한다. CBAM은 EU ETS와 연동돼, 수입 제품에 대해 EU 내 생산 제품과 동일한 수준의 탄소 가격 부담을 부과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EU 역외에서 생산된 저탄소 제품은 혜택을 받고, 고탄소 제품에는 실질적인 가격 부담이 추가돼 역내 저탄소 산업의 경쟁력을 보호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4) EU 산업배출지침(IED)
EU 산업배출지침(Industrial Emissions Directive, IED)은 2010년 11월 24일에 채택돼 2011년 1월 6일 발효됐고, 2013년 1월 7일부터 본격 시행된 환경 규제다. 이 지침은 유럽연합 내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대기, 수질, 토양 오염 및 폐기물 처리를 포함한 오염물질 배출을 통합적으로 규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IPPC 지침, 폐기물 소각 지침, 대형 연소시설 지침 등 여러 개별 규제를 하나의 체계로 통합해, 산업 공정 전반에 걸친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했다.
철강, 화학, 금속, 에너지 등 약 5만 개 이상의 산업시설이 IED 적용 대상에 포함되며, 특히 고온·고압·고오염 공정이 집중된 철강 산업은 대표적인 규제 업종으로 꼽힌다. 2024년에는 개정된 산업배출지침이 EU 차원에서 최종 채택됐으며, 현재 각 회원국은 이를 자국 법률로 이행하는 단계에 있다. 개정안은 오염물질 통제를 넘어 기후 변화 대응, 자원 및 에너지 효율성, 물 사용, 순환 경제 기여도 등 보다 포괄적인 지속가능성 요소를 반영하도록 범위가 확대됐다. 또한 EU의 녹색 산업 전환을 위한 총체적 전략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기업은 환경 성과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관련 정보의 투명성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를 이행해야 한다.
이 개정안에는 철강 산업과 같은 에너지 집약 산업의 전환 상황을 고려한 예외 규정도 포함됐다. 폐쇄가 예정됐거나 수소환원제철(DRI), 전기로(EAF) 방식으로 전환이 계획된 설비에 대해서는 보고 의무 및 환경 성과 개선 계획(EPIP) 수립 의무가 완화되거나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BAT 기준 미달 설비에 대해서도 기술적 제약이나 전환 계획이 있는 경우 개별 평가를 통해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됐다. 이에 대해 독일 철강업계는 개정 지침이 산업 전환기의 현실을 일정 부분 반영한 조치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국내 이행 과정에서도 복잡한 행정 절차를 최소화하고 업종 특수성을 반영한 실용적인 적용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③ 주요 기업 현황
독일은 유럽 최대의 철강 생산국 중 하나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대형 철강기업들이 다수 위치해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티센크루프(Thyssenkrupp), 아르셀로미탈(ArcelorMittal), 잘츠기터(Salzgitter) 등이 있다.
④ 주요 이슈
독일 철강 산업은 최근 탈탄소 전환을 중심으로 한 대대적인 구조 재편에 나서고 있다. 2024년 초, 철강업계는 “Stahl ist Zukunft(철강은 미래다)”라는 공동 캠페인을 통해 2045년까지 탄소중립 철강 생산 실현을 목표로 하는 기후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 로드맵은 기존의 고로(BF) 기반 제철 공정을 단계적으로 폐쇄하고, 수소 기반 직접 환원철(DRI) 및 전기로(EAF) 중심의 생산 체제로 전환하는 것을 핵심 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Thyssenkrupp, Salzgitter, ArcelorMittal 등 주요 철강기업들은 수소 환원 설비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2026~2027년 사이 본격적인 상업 운전을 개시할 예정이다. 정부 차원의 지원도 뒷받침되고 있다. 2024년 3월, 독일 연방정부는 Thyssenkrupp의 tkH2Steel 프로젝트에 대해 20억 유로 규모의 보조금 지급을 확정했고, Salzgitter AG 역시 EU 및 정부 지원 약 10억 유로를 기반으로 SALCOS 프로젝트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EU의 IPCEI Hydrogen 프로그램, 독일의 국가 수소 전략(NWS)과 연계돼 철강 산업 탈탄소화 정책이 기술·재정적으로 실행되는 전형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이와 함께 2026년부터 본격 시행 예정인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는 독일 철강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구조적 정책 변화로 주목받고 있다. CBAM은 역외 수입 철강 제품에 대해 EU ETS(배출권 거래제)와 동일한 수준의 탄소 가격을 부과하는 제도로, 탄소 누출 방지와 역내 저탄소 산업 보호를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한국, 중국, 인도 등 제3국의 철강 제품 가격 경쟁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치다. 현재 독일 철강업계는 CBAM을 위협이자 동시에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 탄소 배출이 많은 역외 수입 제품에는 추가 비용 부담이 발생하는 반면, EU 역내에서 생산된 저탄소 강재에는 시장 선점 효과와 가격 프리미엄을 확보할 가능성이 열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주요 독일 철강기업들은 저탄소 강재 브랜드 개발과 상용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Thyssenkrupp는 탄소 배출을 70% 이상 감축한 bluemint®, ArcelorMittal은 전기로(EAF) 기반의 XCarb®, Salzgitter는 수소 환원 기술을 기반으로 한 SALCOS 프로젝트를 통해 탄소중립 철강 생산 체계 전환에 본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탈탄소 전환 과정에서 높은 전기요금과 제한적인 에너지 인프라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구조적 과제로 남아 있다. 수소 기반 DRI나 전기로 공정은 기존 고로 대비 막대한 전력을 요구하는 공정이지만, 독일은 산업용 전기요금이 유럽 내에서도 높은 편이며, 에너지 위기 이후 전력 보조금 축소로 인해 기업 부담은 더욱 커진 상황이다. 또한,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망 구축, 송전 인프라 확충, 저장 시스템 확보 등이 산업 수요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독일 철강업계는 에너지 집약적인 철강 산업이 안정적이고 가격 경쟁력 있는 전력 공급 없이는 탈탄소 전환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으며, 정부에 대해 전기요금 완화, 인프라 투자 확대, 재생에너지 확보 정책의 가속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한편, 국제 경쟁 환경에서도 독일 철강 산업은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중국과 인도 등 저가 철강 제품의 글로벌 수출 확대는 독일 철강의 가격 경쟁력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보호주의적 기후 정책이 확산되면서, 전 세계 철강 공급망은 점차 지역화·블록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경쟁 환경 속에서, 독일 철강업계는 단순한 원가 경쟁만으로는 지속적인 생존이 어렵다는 판단 아래,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차별화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탄소 배출을 최소화한 저탄소 인증 강재, 전기차·풍력 등 신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고기능 철강재, 그리고 재활용 고철을 활용한 전기로(EAF) 제품군의 확대 등을 통해, 기술력과 환경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갖춘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산업 수급 현황
① 산업 현황 및 동향
독일철강협회(WV Stahl)가 2025년 1월 22일 발표한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독일의 조강(Rohstahl) 생산량은 약 3723만 톤으로, 전년 대비 약 5.2% 증가하며 소폭 반등했다. 그러나 이는 3년 연속 4000만 톤 이하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여전히 철강 산업이 경기 침체 수준(Rezessionsniveau)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생산 공정별로는 산소(고로)강이 약 2642만 톤(+3.3%), 전기로(EAF)강이 약 1082만 톤(+10.2%)을 기록했으며, 생철(Hot Metal)은 약 2432만 톤(+2.9%), 열간압연 제품은 약 3161만 톤(+3.0%)이 생산됐다.
철강의 주요 수요 산업은 건설 산업(33%), 자동차 산업(28%), 그리고 기계 제조 및 금속가공 산업(각각 13%)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들 산업은 독일 경제의 중추를 이루는 핵심 제조 분야로, 철강 수요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해 왔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 에너지 가격 상승, 생산 거점의 해외 이전, 그리고 EU 차원의 탈탄소 규제 강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면서, 철강에 대한 내수 수요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 주: 철강 수요 산업 비중은 2023년 독일 철강협회 자료 기준
<독일 철강 주요 수요 산업(2023)>
(단위: %)

2024년 독일 내수 공급량은 약 2700만 톤으로, 전년 대비 약 7%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2017년과 비교했을 때 약 3분의 1 수준으로 시장 규모가 축소된 것으로, 세계 철강 수요가 완만하게 회복되고 있는 흐름과는 대조적인 결과다. 이에 대해 독일 철강협회는 철강 생산량이 일부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수 수요 침체와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해 산업 전반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협회는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전기요금 및 송전망 이용료 부담과 함께, EU 역외로부터 유입되는 저가 철강 수입 증가가 산업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24년 한 해 동안 독일 철강업계는 송전망 이용료(Netzentgelte) 항목에서만 약 3억 유로에 달하는 비용 증가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독일 연방정부가 2025년 1월 1일부로 소급 적용되는 총 55억 유로 규모의 송전망 이용료 보조금 제도를 전면적으로 재도입할 것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협회는 새로운 연방정부가 출범 후 100일 이내에 해당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이를 철강 산업의 경쟁력 확보와 에너지 비용 완화를 위한 시급한 대응책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협회는 EU 차원에서도 불공정 무역으로부터 유럽 철강 산업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조치가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편, 독일철강협회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르틴 토어링어(Dr. Martin Theuringer)는 2025년에도 철강 수요와 산업 생산이 본격적인 회복세로 전환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그는 독일 내 투자 수요가 여전히 정체돼 있으며, 미국의 무역 정책과 중국의 경기 둔화 등 대외 경제 요인들이 불확실성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산 저가 철강 수입의 증가는 독일 철강업계의 가격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내수와 수출 전반에 걸쳐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이처럼 독일 철강 산업은 일부 생산 회복 조짐을 보이고는 있으나, 구조적인 수요 위축, 경쟁력 저하, 높은 에너지 비용 등 복합적인 과제들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본격적인 회복 국면 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② 수출입 동향
1) 수출 현황
2024년 독일의 HS Code 7304(철강 또는 비철금속제의 관 및 튜브)의 총수출액은 17억6346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8% 감소했다. 주요 수출 대상국 중 브라질이 가장 큰 비중(16.5%)을 차지하며, 약 2억9104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수출 점유율 상위 10개국 중 브라질과 미국을 제외하면 대부분 유럽 국가로 구성돼 있어, 독일의 철강 수출이 지역 내 시장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수입 현황
2024년 독일의 HS Code 7304 품목의 총수입액은 9억5729만 달러로, 전년 대비 20.0% 감소했다. 수입 점유율 1위는 이탈리아로, 전체의 18.2%를 차지했으며, 수입액은 전년 대비 20.7% 감소한 1억7389만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 점유율 상위 10개국 중 인도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모두 유럽 국가로 구성돼 있어, 독일은 철강 관련 제품을 주로 유럽 내에서 수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대한국 수입액은 1632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6% 증가했으며, 수입 점유율 1.9%로 전체 국가 중 16위를 차지했다.
진출 전략
① SWOT 분석
<SWOT 분석>
Strengths(강점) | Weaknesses(약점) |
• 고기능 강재 기술 경쟁력: 초고장력강, 전기강판 등 고부가 제품 기술력 확보 • 글로벌 공급망 운영 경험: 유럽 OEM 대응 역량 보유 • 수소 환원 제철(HyREX), 저탄소 인증 제품 등 친환경 전환 기술 가속화 • 생산 유연성과 품질 제어 역량 | • 장거리 운송으로 인한 물류비 및 납기 경쟁력 열세 • CBAM 등 EU 규제 대응 시스템 부족 • 독일 내 브랜드 인지도 및 고객 기반 약함 • 현지 판매·가공 거점 인프라 부재 |
Opportunities(기회) | Threats(위협) |
• 독일 철강업계의 고로 → 수소 기반 전환기에 따른 기술 협력 기회 • EU 공급망 다변화 흐름: 非중국계 프리미엄 철강 수요 확대 •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등 고급 소재 중심 산업 집중 • CBAM·GPP 대응형 저탄소 제품 수요 증가 | • EU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로 TRQ 초과 시 25% 고율 관세 부담 • 2026년 CBAM 본격 시행 시 탄소 비용 및 보고 의무화 • 독일·EU 철강사 및 해외 기업들과의 치열한 기술·관계 경쟁 • ESG·재활용·환경설계 등 복합 규제 강화로 진입장벽 상승 가능성 |
한국 철강기업이 독일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독일 철강 산업의 구조적 특징과 기술·정책 환경을 면밀히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독일은 유럽 최대 규모의 철강 생산국 중 하나로, 고급 강재 수요가 높은 자동차, 기계, 전기·전자 산업이 발달해 있는 동시에, 탈탄소 전환과 순환 경제 실현에 대한 정책적 요구가 강하게 작용하는 시장이다.
한국 철강업계는 고기능 강재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력과 글로벌 공급망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일정 수준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해 왔다. 자동차용 초고장력강, 고효율 전기강판, 극저탄소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비롯해, 수소환원제철(HyREX), 전기로 기반의 저탄소 공정, 탄소중립 인증 제품 등 친환경 기술 전환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독일 시장의 수요 특성에 부합하는 제품을 생산·공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기회 요인 측면에서 보면, 독일 철강업계는 전통적인 고로 기반 생산 방식에서 수소 기반의 직접환원철(DRI) 및 전기로(EAF) 방식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어, 한국 기업이 보유한 탈탄소 기술이나 저탄소 소재의 공급 협력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공급망 다변화와 중국산 철강에 대한 리스크 회피 움직임 속에서 한국산 고급 강재가 대체 수요로 이어질 여지도 있으며, 전기차, 자율주행차, 재생에너지 등 연관 산업의 성장은 고기능 철강 제품 수요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제약 요인도 함께 존재한다. 한국과 독일 간 장거리 운송으로 인한 납기 지연 및 물류비 부담, CBAM, 제품 환경발자국(PEF), 폐기물 관리 등 EU의 복잡한 규제 체계에 대한 실무 대응 경험 부족은 진입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독일 내 브랜드 인지도, 고객 기반, 유통 및 가공 인프라의 미비 역시 공급 유연성과 시장 대응력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한 과제로 지적된다.
위협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EU의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가 여전히 유지되고 있어, 한국산 철강 제품이 TRQ(관세할당제)를 초과할 경우 최대 25%의 관세가 부과될 수 있으며,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에 대응한 유럽 내 수입 규제 강화 역시 시장 접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2026년부터 CBAM이 본격 시행되면, 수출 제품에 대한 탄소 배출량 산정 및 보고 의무가 강화되고, 이에 따라 가격 경쟁력뿐만 아니라 정교한 탄소 회계 대응 역량이 요구된다. 아울러 현지 철강사(예: Thyssenkrupp, Salzgitter) 및 해외 기업과의 기술력·공급 기반 경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ESG 경영, 자원 재활용, 포장재 규제 등 환경 기준의 지속적인 강화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② 유망 분야
1) 전기차(EV) 및 자율주행차용 고기능 강재
독일은 세계적인 자동차 생산국으로, 현재 전기차(EV) 및 자율주행차로의 전환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 경량화와 충돌 안전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초고장력강(UHSS), 핫스탬핑강, 충돌 흡수용 고기능 강재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한국 철강기업들은 해당 제품 분야에서 글로벌 완성차 기업과의 납품 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적 대응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일부 고부가 제품은 이미 상용화돼 있다. 향후 독일 자동차 업계와의 기술 협력 및 공급망 연계를 통해 진출 가능성이 열려 있는 분야로 평가된다.
2) 전기강판 (Electrical Steel)
전기차 구동 모터, 변압기, 산업용 전기모터 등에 사용되는 전기강판은 독일의 에너지 전환 정책과 전동화 산업 확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방향성 전기강판(GOES)과 무방향성 전기강판(NOES)은 고효율·저손실 특성이 요구되는 제품으로, 유럽 내에서도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 중 하나다. 한국 철강기업은 전기강판 분야에서 정밀 압연, 자기 특성 제어 등의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일정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독일 내 전기차 확산, 풍력 에너지 확대, 고효율 전기모터 관련 규제 강화 등과 맞물려, 관련 수요에 대응 가능한 공급자로 고려될 여지가 있다.
3) 소형 모듈형 철강 소재 및 고정밀 가공강
독일은 기계, 의료기기 등 고정밀 산업이 발달해 있으며, 이에 필요한 소형·고강도 철강 소재 및 정밀 가공강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존재한다. 한국 철강기업들은 정밀 박판, 표면 가공, 기계적 성능 제어 등 기술 역량을 일부 확보하고 있으며, 일부 기업은 틈새 소재 시장을 중심으로 수출 기반을 넓혀가고 있다. 특히 공급망 다변화 움직임과 중국산 소재 회피 수요 등과 맞물려, 기술 대응이 가능한 경우 독일 내 일부 수요처 확보 가능성이 존재한다.
4) 에너지·인프라용 특수강 및 내후성강
독일은 재생에너지 확산, 수소 인프라 구축, 노후 인프라 보강 등을 국가 차원의 주요 정책 과제로 설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식성, 고강도, 내구성이 요구되는 특수강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송전 구조물, 풍력 터빈, 철도차량, 수소 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기능 철강 소재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인증 및 안전 기준도 엄격해지고 있다. 한국 철강기업들은 해양플랜트, 고강도 구조재, 내후성강 등 분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부 기술 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수소 관련 인프라에 적용할 수 있는 강재 수요에도 대응 가능성이 있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27444&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