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DDOLKONG

액티브 시니어가 이끄는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본문

투자

액티브 시니어가 이끄는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DDOL KONG 2025. 2. 24. 03:07

2025년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2446억 7000만 위안 예상
고가의 건강기능식품 판매 증가 추세


2000년 이후 중국 사회의 고령화 속도는 빨라졌고 이를 대표하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 银发族)가 소비 시장의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 액티브 시니어 (Active Senior)는 전통적인 고령층과 달리 가족 중심에서 벗어나 은퇴 이후에도 소비와 여가생활을 즐기며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고령층을 일컫는 말이다. 2023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에서 60세 이상의 고령 인구는 총인구의 21.1%를 차지한다.

<중국 고령층 조사 통계(2013~2023)>
(단위: 만 명, %)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건강에 대한 노년층의 지식과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2019년 1740억 위안에서 2023년 2159억2000만 위안으로 성장하며 연평균 성장률 5.5%에 달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해 2028년에는 2840억4000만 위안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추이(2019~2028)>
(단위: 억 위안)


아울러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노년층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기업들의 제품 개발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国家药品监督管理局)에 따르면 2024년 신규 건강기능식품 등록 및 비안 수량은 4335개로 나타났다.
* 2016년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은 <건강기능식품 등록 및 비안 관리 방법(保健食品注册与备案管理办法)> 시행을 정식 발표했다. 해당 발표에 따라 등록과 비안 두 인증 제도를 같이 실행함으로써 판매자가 기존 2~3년이 소요되는 복잡한 등록을 하지 않고 1~3개월만에 완료되는 비안 허가를 통해 시중 판매가 가능하게 했다.

<중국 건강기능식품 등록 및 비안 수량(2020~2023)>
(단위: 개)


2023년 기준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구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식이보충제(Vitaminsand Dietary Supplements)가 시장의 58.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뒤로 약초/전통 영양품(Herbal/Traditional Product)은 35.7%, 스포츠 영양제(Sports Nutrition)은 4.5%, 체중 관리 제품(Weight Management)은 1.7%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 구성(2023)>
(단위: %)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연령별 소비자 비율은 45~65세 이상인 액티브 시니어(银发族) 소비자가 전체 시장의 74%를 차지하고, 24세 이하의 소비자도 19%를 차지하며 소비 잠재력을 보이고 있다.

<중국 건강기능식품 소비자 연령층별 비율(2024)>
(단위: %)


건강기능식품 온라인 시장 세부 분석

중국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주요 판매 채널은 전자상거래, 직접 판매 및 약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전자상거래가 5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직접 판매와 약국은 그 뒤를 이어 각각 21%를 차지했다.

<중국 건강 기능 식품 판매 채널(2023)>
(단위: %)


타오바오와 티몰 온라인 플랫폼에서 건강기능식품 TOP 10 브랜드를 살펴보면 현지 브랜드 톈바이젠(汤臣倍健), 인화(仁和), 통런탕(同仁堂) 3개가 있으며, 이외에는 모두 해외 브랜드다.

TOP 3 브랜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TOP 10 중간 순위는 교체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비타민 및 미네랄 보충제 등 제품을 판매하는 스위스(Swisse)와 현지 식이보충제(VDS) 브랜드 톈바이젠(汤臣倍健)은 2023년 전년대비 1위씩 오르며 각각 온라인 시장 판매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신규 브랜드 역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이 주어지고 있다.

<중국 타오바오&티몰 온라인 플랫폼 건강기능식품 판매 순위(2022~2023)>
(단위: %)


타오바오와 티몰 플랫폼에서 400위안 이하의 저가 건강기능식품 소비 비율은 2021년 60.4%에서 2023년 46.5%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반면, 1000 위안 이상의 고가 제품 판매 비율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주로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NMN(Nicotinamide Mononucleotide), 인삼 사포닌 등 고급 성분을 함유한 건강식품의 성장에 기인하며, 패키지 상품 역시 건강기능식품 가격을 인상시켜 고가 제품 판매율을 높이는 원인이다.
* NAD+,NMN는 항노화 및 건강 증진 성분으로 알려짐

<중국 타오바오&티몰 온라인 플랫폼 건강기능식품 가격 변화(2021~2023)>
(단위: %)


세부 분야별로는 미용 영양제 시장의 규모가 가장 크다. “비주얼 경제”의 부상을 힘입어 2023년 미용 영양제 시장의 판매액은 130억8000만 위안에 달했고 전년 대비 증가율은 22.0%에 이르렀다.

두 번째로 규모가 큰 분야는 골밀도 제품인데, 2023년 기준 판매액은 82억7900만 위안으로 전년 대비 57.4% 성장했다.

증가율이 가장 빠른 분야는 뇌 건강 제품으로 전년 대비 증가율은 99.6%에 달했다. 이는 고령층의 뇌 건강에 대한 수요 증가와, 입시 스트레스가 큰 학생층이 두뇌 기능 보조제에 대한 수요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간 보호 제품은 전년 대비 성장률이 76.4%로 나타났다. 일과 생활의 템포가 빨라지는 가운데 잦은 야근, 음주, 불규칙한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해 간 보호와 건강이 젊은 층의 필수 건강 요소로 떠오르면서 간 건강 제품 시장의 발전을 이끌고 있다.

<중국 타오바오&티몰 온라인 플랫폼 건강기능식품 분야별 증가율(2023)>
(단위: 억 위안, %)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급부상한 신세력 ‘코엔자임 Q10’

최근 중국에서는 돌연사 예방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심장 기능 개선, 피로 개선 등에 도움을 주는 ‘코엔자임 Q10’이 21~35세 직장인들에 인기를 얻고 있다. 틱톡 전문 데이터 분석 사이트 찬마마(蝉妈妈)에 따르면 2024년 ‘코엔자임 Q10’ 틱톡 매출액은 9억3000만 위안에 이른다.

<중국 틱톡 ‘코엔자임 Q10’ 매출(2024)>
(단위: 개, 위안)


시사점

현재 중국 건강기능식품 기장은 인구 고령화, 젊은 층의 건강 관리 관심 증가 등 여러 요인에 힘입어 강력하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 타오바오 전자상거래 건강기능식품 분야 기업 관계자 W씨는 KOTRA 상하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다양한 소비 트렌드가 현재 중국 건강기능식품의 각 제품군을 빠르게 성장시키며 산업은 새로운 발전 주기에 접어들고 있다”라고 말했다.

우리 기업이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중국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유통 채널을 적극 활용하고,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및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를 통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려 빠른 시장 진입과 효과적인 홍보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현재의 중국 건강기능식품 시장을 분석하되 시장을 이끌고 있는 중국 고령층의 수요를 더욱 세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5&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24878&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