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황금기를 맞이한 중국 복합소재시장, 탄소섬유를 주목하라 본문

투자

황금기를 맞이한 중국 복합소재시장, 탄소섬유를 주목하라

DDOL KONG 2025. 2. 15. 03:30

중국 복합소재 산업은 향후 고성능, 다기능, 친환경 방향으로 발전
탄소섬유 복합소재가 전체 복합소재 시장의 40% 이상 차지


정의

중국에서 “복합소재”란 통상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성질의 재료들이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통해 조합된 새로운 기능의 소재를 의미하며, 사용되는 기본 재료에 따라 금속 기반(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티타늄 및 합금) 및 비금속 기반(합성수지, 고무, 세라믹, 흑연, 탄소 등) 복합소재로 구분된다.


시장동향: 탄소섬유를 중심으로 복합소재 시장 성장세

글로벌시장에서 중국은 이미 복합소재 주요 생산기지 중의 하나로 성장했다.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4~2029년 중국 복합소재산업 발전 전망과 전략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 복합소재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0.3% 성장한 2327억 위안에 달했으며, 2024년에는 2561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 탄소섬유 복합소재(탄소 함량이 90% 이상인 고강도, 고탄성, 고성능 소재)는 중국 복합소재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풍력발전 설비, 항공우주, 자동차 제조, 스포츠 장비 및 기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탄소섬유 복합소재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해 2023년 시장 규모는 약 986억 위안에 달하며, 중국 전체 복합소재 시장규모의 42.4%를 차지했다.

<2019~2023년 탄소섬유 복합소재 시장규모 및 전체 복합소재 산업 내 비중>
(단위: 억 위안, %)


중상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4~2029년 중국 복합재료 산업 발전 현황 및 전략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탄소섬유 복합소재 총 생산량은 10만 8394톤, 생산액은 1551억 6000만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수요 동향: 항공우주 및 풍력발전 분야가 전체 시장의 40% 이상 차지

복합소재는 주로 항공우주, 신에너지(풍력발전 등), 자동차, 인프라, 해양, 스포츠 등 분야에 널리 사용되며, 그 중 항공우주 분야는 25%, 풍력발전 분야는 15%로 2가지 분야가 전체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항공기 경량화 수요의 증가로 비행기 기체, 날개, 엔진 등 분야에 복합소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에너지 분야의 경우 풍력발전기 블레이드에, 자동차 산업의 경우 차체, 단열 제품에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중국 복합소재 응용 분야 시장 점유 현황>


중국 군사기술의 지속적인 발전 및 대형 항공기 프로젝트 성공에 따라 중국 항공우주 산업이 빠르게 성장했고 이에 따라 관련 분야의 복합소재도 동반 성장했다. 중국 항공우주 복합소재 제품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696억 8600만 위안에 달했으며, 수요량은 전년 대비 약 12% 증가한 2만 4245톤에 달했다.

전 세계적으로 항공우주 복합소재 시장은 미국과 유럽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지만, 중국의 정책 지원과 기술력 향상으로 항공우주산업이 신속히 발전하면서 항공우주용 복합소재의 보급과 응용이 더욱 촉진되었고, 이에 따라 미국, 유럽 등 국가와의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2018~2023년 항공우주산업 복합소재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전 세계 탄소섬유 다운스트림 산업 발전, 중국 항공우주 산업 및 풍력 발전 산업의 성장으로 탄소섬유 복합소재에 대한 수요량도 2018년의 4만 7700톤에서 2023년의 9만 100톤으로 2배 가까운 수준으로 급증했다.

경쟁 동향: 광둥, 산둥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된 중국 복합소재 기업들

중국 복합소재 산업은 많이 세분돼 있고, 응용 분야도 다양해 관련 기업이 매우 많다. 중국 복합소재 기업은 주로 주강 삼각주(珠三角), 환발해(环渤海) 등 지역에 분포돼 있으며, 특히 광둥(广东), 산둥(山东)이 그 대표 지역이다. 이 지역들은 상대적으로 완전한 산업 체인을 형성했으며, 복합소재 수요도 집중돼 있어 기업 발전에 유리하다.

정책: 중국정부의 산업 정책 지원 지속

최근 몇 년 동안 복합소재는 정부의 높은 관심과 국가 산업 정책의 중점 지원을 받고 있으며, 중국은 복합소재 산업의 발전과 혁신 지원 정책을 잇달아 발표했다. 예를 들어, <정밀화학 산업 혁신 발전 실행 방안(2024~2027년)>, <미래 산업 혁신 발전 추진에 관한 실행 의견> 등이 있으며, 관련 정책은 복합소재 산업 발전에 명확하고 광범위한 시장과 기업에 양호한 생산 및 운영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최근 3년간 복합소재 관련 주요 정책>


시장 전망 및 시사점

중국복합소재산업협회 담당자는 복합소재는 중국에서 중점적으로 발전하는 신소재 프로젝트 중 하나이며, 발전 추세는 시장수요, 기술 혁신, 정책 지원 등 여러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복합소재 산업은 현재 급속한 발전의 황금기에 있으며, 시장 수요의 지속 증가, 기술의 지속 발전, 강력한 정책 지원은 산업 발전에 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반면, 경쟁 심화, 기술 혁신의 압력, 환경보호 요구의 증가는 기업 발전에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A 기업 담당자는 KOTRA 상하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향후 복합소재 산업은 빠른 성장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고성능, 다기능, 친환경 등의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그중, 고성능 복합소재는 항공우주, 자동차, 신재생 에너지 등 분야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소재가 될 것이다. 또한, 5G 기술 보급과 사물인터넷 시대에 발맞춰 복합소재 산업도 생산 효율성과 제품 품질 향상을 위해 디지털화와 스마트 제조 분야에 더 많은 노력을 기해야 하며, 산업 고도화와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업계 내외의 모든 당사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https://dream.kotra.or.kr/dream/kotra/actionKotraShortUrl/K5Lh0qoaAVqC.d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