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연준와처] 1월 미국 소비자물가 급등한 이유는?/ 트럼프, 한국시간 14일 오전 3시 '상호관세' 발표 예고(종합)/ 본문

투자

[연준와처] 1월 미국 소비자물가 급등한 이유는?/ 트럼프, 한국시간 14일 오전 3시 '상호관세' 발표 예고(종합)/

DDOL KONG 2025. 2. 14. 03:45

[연준와처] 1월 미국 소비자물가 급등한 이유는?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계절조정 하지 않은 원자료
헤드라인 CPI, 계절성 살펴봐야 정확한 내용 알아
1·2월, 트럼프 관세 앞두고 사재기가 많아진 영향
2월에도 사재기 지속되면 물가지수 더 오를수도
계절성과 트럼프 관세가 합작해서 만들어낸 작품

http://www.economy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4738




트럼프, 한국시간 14일 오전 3시 '상호관세' 발표 예고(종합)

소셜트루스에 글 "위대한 3주였지만, 오늘이 가장 중요한 날"
'관세+비관세 무역장벽' 총동원 전망…"모든 국가 살펴볼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8075835




1월 ICT 수출액 연휴 여파로 0.4% 감소한 163억 달러

반도체 수출액 101억 달러로 15개월 연속 증가

1월 정보통신산업(ICT) 분야 수출액이 긴 설 연휴 기간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1년 전보다 소폭 감소했다.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ICT 수출액은 162억9천만달러, 수입액 134억5천만달러, 무역수지는 28억3천만달러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수출액은 조업일수가 4일 줄어든 여파로 지난해 1월보다 0.4% 줄어든 수치다.
반도체 수출액은 시스템 반도체(34억8천만달러)에서 4.3% 감소했지만,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따라 메모리 수출액(61억8천만달러)이 17.2% 증가하며 전체적으로 7.7% 늘었다.
반도체 수출액 증가는 15개월 연속이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AI 서버와 데이터센터의 저장장치로 사용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의 견조한 수출 확대로 13개월 연속 증가했다. SSD 수출액은 6억4천만달러로 1년 전보다 27.1% 증가했다.
디스플레이는 12억6천만달러 수출되며 16.1% 감소세를 기록했다. 텔레비전·개인용 컴퓨터 등 제품 수요 부진 영향으로 분석됐다.
휴대전화는 카메라 모듈 등 부분품 주요 수출국인 중국 수출은 12.6% 늘었지만, 베트남 등 다른 지역 수요 부진으로 전체 수출액(10억1천만달러)은 8.8% 감소했다.
통신장비 수출액도 1억6천만달러로 20.9% 감소했다. 미국 수출액은 0.6% 증가했지만, 중국 -12.2%, 베트남 -43.6%, 일본 -37.7% 등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210280




허 찔린 '트럼프'…25% 관세에도 "美보다 싸다" 대반전

K철강 '25% 관세'에도 美보다 싸졌다

현지 열연강판값 10% 상승
한국산 가격 경쟁력 유지

미국 철강업체가 열연강판 가격을 앞다퉈 올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25% 관세 부과 결정에 따라 수입 철강재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자 관세를 물지 않는 미국 업체도 이 틈을 타 가격 인상에 나선 것이다. 미국 내 철강 유통가격이 단숨에 10%상승해 한국산 철강 가격은 관세를 물고도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3957




한밤 중 테슬라 '빛삭'…난리 난 '6000억 장갑차' 뭐길래 [테슬람 X랩]

美국무부 조달예측 사업에 '테슬라 장갑차' 포함
5년간 4억달러 규모… 바이든 행정부 때 등재
사이버트럭 유력… 작년 트럼프 호위차량 사용

이해충돌 논란에 새벽 1시경 돌연 '테슬라' 삭제
머스크 "4억달러 받는 건 확실히 아니다" 해명
테슬라 배제인지, 사업명만 바뀌었는지 관심

테슬라의 어떤 모델이 장갑차로 채택될지 공개되진 않았지만, 업계에선 사이버트럭이 유력할 것으로 봤다. 테슬라는 2023년 사이버트럭 출시 초기부터 강력한 성능과 차체 내구성을 강조했다.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제작된 방탄 차량으로 최대 4990㎏을 견인할 수 있다.
실제 테슬라는 사이버트럭을 다양한 총기 공격 테스트에 노출하며 방탄 성능을 입증했다. 9만9990달러(약 1억4500만원)의 고가 트림인 사이버비스트는 공차중량 3t에도 제로백 2.7초(시속 100㎞ 가속에 걸리는 시간)에 불과하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4040




대형마트, 평일 쉬고 주말 열었더니…'놀라운 일' 벌어졌다

산업연구원 '대규모점포 규제완화 효과' 보고서

주중 의무휴업 바꾼 대구·청주
인근 요식업 주말매출 3% 반등
마트 열자 유동인구 늘어난 효과

규제해도 전통시장 보호 못 해
이커머스·식자재마트 반사이익
마트 모객효과로 상권 활성화
소상공인 "주말영업 찬성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3941




"기어코 올 게 왔다"…中 반도체 공습에 삼성도 '초비상'

中 반도체 굴기 현실화

파운드리 3위 中SMIC
화웨이와 AI 동맹으로 韓 위협

작년 매출 11兆…27% 급증
대만 UMC 제치고 글로벌 톱3

화웨이와 협업으로 매출 증가
딥시크 AI 가속기도 양산
"中 파운드리 수요 흡수할 것"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93928




전력기기도 관세폭탄 맞나… 초고압 변압기 반덤핑 관세 4월 최종결정

HD현대일렉·효성重·LS일렉 '긴장'
트럼프 1기 때 변압기 60.8% 관세
수익악화 불가피… 정부 지원 우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5308183




트럼프, 경쟁사 때려준다…신난 미국차·반도체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420679




[단독]1兆 들여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만든다

정부, AI 반도체 생태계 구축에 1兆 투입
수요 기업·팹리스·파운드리 '드림팀' 결성
국내서 AI칩 설계·생산 통해 선순환 구축
발전 가능성 큰 온디바이스서 AI 칩 공략

정부는 온디바이스 AI 반도체가 단순히 설계 단계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제품에 들어가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국내 파운드리에서 생산을 권고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삼성전자(005930)가 위탁 생산을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국내에서도 팹리스, 소재·부품·장비 시장을 키워줄 수 있는 공공 파운드리의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돼 왔다. 팹리스의 파운드리 접근성을 확대하고, 소부장 기업과 패키징 제조 생태계를 다양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정부가 이번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특히 온디바이스AI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로 본격 상용화 단계 전이다. 지금은 AI 데이터센터를 만드는 AI 서버에 미국 빅테크들의 투자가 집중돼 있지만, 추후 PC, 모바일, 태블릿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 반도체가 핵심 역할을 할 게 유력하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온디바이스AI 시장은 오는 2027년까지 약 1500억달러(217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943255




“가상자산 ETF 아직 안 돼”… 거래소·금투협 도입 주장에 또다시 선 그은 금융위

실물경제·금융시장 영향 우려하는 정부
김소영 “ETF 도입 전 논의할 부분 많아”
거래소·금투협은 “글로벌 추세 따라가야”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3653




[단독] 삼성전자, 파운드리 셧다운 해제… 평택라인 가동률 최대치로 높인다

中 암호화폐 채굴기·엑시노스 관련 수주 확대 영향
올 6월부터 생산라인 ‘풀캐파’로 가동 계획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3512




“대당 2000만원, 45일 내 배송”… 대중화 속도 내는 中 휴머노이드 로봇

中 대표 로봇 기업 유니트리, 온라인서 판매 시도
대중화 가능성 논의 촉발… 노인 돌봄 등 수요 충분
올해부터 시장 폭발적 성장 전망… 2035년 60조원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3697




해상운임 8년 새 최대폭 하락… 선박 공급 과잉 분석도

SCFI 지수 1896.65… 직전 대비 7.3% 내려
유럽 노선 선복량 9.1%, 미주는 5.8% 증가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1053695




금 보유 세계 전쟁인데 한국은행은 왜 안 사나…12년째 그대로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517737





한인마트서만 월 20억원… 미국서 심상찮은 '신라면 툼바'

올해 월마트 온라인몰 입점 확정… 6월부터 오프라인 매장 판매

북미 최대 소셜 뉴스 커뮤니티 중 하나인 레딧에서는 최근 신라면 툼바 후기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북미 지역 누리꾼들은 "불닭 카르보나라와 가장 비슷하지만 훨씬 부드럽고 치즈 맛이 난다" "불닭보다 덜 매콤한데 이게 더 맛있다" "얇은 면이라 더 좋다" "크리미하고 매운맛도 순한 편이라 훨씬 대중적이다" "나는 툼바 출신이다. 브랜드명에 왜 지역 이름이 들어갔나 했는데, 툼바가 호주에서 파스타로 유명한 곳이라 이름을 붙인 것 같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1057723




[단독]"한국 조선 승리 아니다"…미국 속내는?

美 CSIS 씽크탱크 '트럼프 2.0과 한반도' 회의
"동맹 활용 단기적 필요…핵심기술 확보 목표"

https://n.news.naver.com/article/648/0000033400




한국투자증권 "미국 해외서 군함 건조 가능 법안 통과되면 1조700억 달러 시장 열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83363




매출 5천억 이상 제약사 중 유한·보령 매출 약진하고 종근당·JW·한독 주춤

5000억원 이상 잠정실적 중간분석 |
조사대상 13곳 중 9곳, 영업익 전년대비 감소... 당기순익 감소 추이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637




원화 못 믿겠다…불안할 땐 달러가 최고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425237




금값 10년새 3배 껑충…‘콩알금’ 모으는 ‘소금족’ 는다

주머니 가벼운 ‘소금족’ 겨냥
1g 정도 소량 중량인 콩알금
모양 다양하고 수집 재미 쏠쏠

https://n.news.naver.com/article/662/000006176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