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스마트홈 혁신 속 미국 로봇 청소기 시장의 미래 본문
AI, 센서 기술 발달로 통합적인 스마트홈 경험 제공 제품 증가
중국산 로봇 청소기 수입 비중이 전체 85.6%로 저렴한 중국 제품이 높은 인기
미국 로봇 청소기 시장은 첨단 기술의 통합과 스마트 홈 솔루션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성장과 혁신의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미국 조사기관 퓨처 마켓 인사이트(Future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전 세계 로봇 청소기 시장은 2023년부터 203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12.3%로 성장해 2033년 시장 규모는 약 147억7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로봇 청소기가 단순한 가전제품에서 벗어나 현대 생활에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는 데 성공해 가정 청소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공지능(AI), 머신러닝, 센서 기술의 혁신은 이러한 변화를 가속화하며 다양한 카테고리로 세분화돼 소비자층의 관심을 끌고 있다.
유형별 로봇 청소기 최신 동향
① 실내용 로봇 청소기
최근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선 다양한 로봇 청소기 제조업체들이 신제품을 선보여 시장의 빠른 발전을 보여줬다. 특히 중국의 로보락(Roborock)이 공개한 ‘Saros Z70’ 모델은 기능성과 사용자 편의성에서 큰 도약을 보여줬다. 이 제품은 접이식 옴니그립 암(OmniGrip Arm)을 장착해 양말, 장난감, 기타 작은 물체 등 기존 로봇 청소기가 처리하기 어려운 바닥의 장애물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최대 300g의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어 장난감 등이 많은 아이나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에서 유용하다. 이 모델은 듀얼 카메라로 반려동물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2만2000파스칼의 강력한 흡입력을 통해 미세한 먼지와 이물질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중국의 또 다른 로봇 청소기 전문기업인 드리미 테크놀로지(Dreame Technology)도 ‘X50 Ultra’ 모델로 눈길을 끌었다. 이 제품은 전통적으로 로봇 청소기에 어려웠던 환경, 예를 들어 높은 문턱이 있는 공간을 탐색하도록 설계됐다. ‘X50 Ultra’는 방 사이의 높이가 다른 바닥이나 불규칙한 바닥에서도 원활히 작동해 자율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러한 기능은 현대 가정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의 다재다능함을 중시하는 업계 트렌드를 반영한다.
② 창문 청소용 로봇 청소기
최근에는 로봇 청소기 시장에서 창문 청소 로봇도 점점 주목받고 있다. 특히 중국 에코백스(Ecovacs)의 윈봇(Winbot) 시리즈는 창문 청소 로봇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CES 2025에서 에코백스는 최신 모델인 ‘윈봇 W1 프로(Winbot W1 Pro)’를 공개하며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였다. 이 제품은 가정뿐만 아니라 상업용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성능 창문 청소 로봇으로, 소비자들에게 높은 관심을 받았다.
‘윈봇 W1 프로’는 에코백스가 자체 설계한 고급 WIN-SLAM 3.0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탑재해 창문 표면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로봇이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는 동시에 창문 모서리까지 꼼꼼히 청소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듀얼 흡착 시스템을 통해 높은 안전성을 제공하며, 로봇이 작동 중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한다. 특히, 극세사 청소 패드를 장착해 먼지와 물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물이나 세척제를 균일하게 분사해 깨끗하고 윤기 나는 창문 청소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창문 청소용 로봇 청소기는 창문 청소가 어렵거나 위험한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다. 높은 건물의 외벽이나 대형 창문 같은 어려운 장소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며, 소비자들에게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실용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KOTRA 로스앤젤레스 무역관이 CES 2025 현장에서 인터뷰한 에코백스 관계자 H는 이 모델에 대해 “창문 청소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더 안전하고 편리한 청소 경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라고 강조했다.
③ 정원 관리용 로봇 잔디깎이
정원 관리 분야에서도 로봇 기술이 도입되면서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중국 맘모션(Mammotion)의 ‘루바 2(Luba 2)’ 로봇 잔디깎이는 CES 2025에서 주목받으며 잔디 관리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다. ‘루바 2’는 GPS 기반 시스템을 활용해 물리적 경계선 없이도 작업 구역을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기술은 복잡한 정원이나 다양한 구획이 있는 환경에서 뛰어난 효율성을 제공하며, 사용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손쉽게 작업 영역을 지정하고 실시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4WD 설계로 경사도 75%의 언덕이나 고르지 않은 지형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한 번 충전으로 최대 5000㎡까지 작업이 가능하다.
이 제품은 단순히 잔디를 깎는 기능을 넘어, AI 기반 알고리즘을 통해 날씨와 잔디 상태를 분석해 최적의 작업 시간을 추천하는 스마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무소음 작동과 친환경 배터리 사용은 사용자와 환경 모두를 배려하며, 비나 악천후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충전 스테이션으로 복귀하는 기능도 포함돼 있다. 이러한 기술적 혁신은 정원 관리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더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사용자들에게 여유 시간을 제공한다.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미국의 로봇 청소기 수입액은 HS Code 8509.80 기준, 2024년 1~11월 누적치로 보았을 때 약 16억3300만 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12월 수입액을 포함하고 있지 않음에도 2023년 전체 수입액인 13억7900만 달러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주요 수입 대상국으로는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가 있으며, 이들 국가에서 로봇 청소기 외에도 믹서기, 푸드 프로세서 등의 소형 가전제품이 함께 수입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미국의 2024년 로봇 청소기 수입 대상국 중 1위를 차지하며, 2024년 1~11월 누적치 기준 전체 수입액의 약 85.6%를 담당해 시장에서의 압도적인 우세를 보여줬다. CES 2025 현장에서 확인했듯 중국 로봇청소기 기업들의 새로운 기술력을 바탕에 둔 실용성과 가격 경쟁력이 미국 시장의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다. 한국은 2024년 1~11월 누적치 기준, 미국의 10위 로봇 청소기 수입 대상국으로 수입액은 약 246만 달러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미국의 로봇 청소기 수입 동향(HS Code 8509.80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구분 |
연도별 수입액 | 비중 | ||||
2022년 | 2023년 | 2024.1.~11. | 2022년 | 2023년 | 2024.1.~11. |
||
- | 전체 | 1,680.41 | 1,379.30 | 1,633.56 | 100.00 | 100.00 | 100.00 |
1 | 중국 | 1,558.58 | 1,188.58 | 1,397.94 | 92.75 | 86.17 | 85.58 |
2 | 베트남 | 12.96 | 59.94 | 86.21 | 0.77 | 4.35 | 5.28 |
3 | 도미니카공화국 |
- | 46.62 | 49.39 | - | 3.38 | 3.02 |
4 | 캄보디아 | 56.12 | 39.41 | 36.73 | 3.34 | 2.86 | 2.25 |
5 | 태국 | 0.65 | 1.62 | 20.19 | 0.04 | 0.12 | 1.24 |
6 | 독일 | 2.29 | 15.81 | 13.79 | 0.14 | 1.15 | 0.84 |
7 | 인도네시아 | 2.54 | 0.59 | 7.22 | 0.15 | 0.04 | 0.44 |
8 | 필리핀 | - | 0.03 | 5.15 | - | 0.00 | 0.32 |
9 | 대만 | 3.97 | 3.66 | 2.88 | 0.24 | 0.27 | 0.18 |
10 | 한국 | 3.01 | 1.20 | 2.46 | 0.18 | 0.09 | 0.15 |
시사점 및 전망
로봇 청소기는 어느새 가정 내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CES 2025에서 발표된 혁신적인 제품들은 시장이 단순한 청소 도구를 넘어 스마트홈의 핵심 요소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공지능(AI), 머신러닝, 첨단 센서 기술의 융합은 로봇 청소기를 단순히 먼지를 제거하는 기계에서 더 나아가, 가정 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도구로 변모시키고 있다.
또한 로봇 청소기는 스마트홈 생태계와 더욱 긴밀하게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AI와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결합되면서 로봇청소기는 단순한 독립형 가전에서 벗어나, 스마트 조명, 스마트 온도조절기, 그리고 보안 시스템과 같은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합될 것이다. 이러한 통합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모든 기기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가정의 자동화 수준을 한층 높일 것이다. 중국 기업들이 대거 점유하고 있는 미국 로봇 청소기 시장에서, 우리 기업은 스마트홈 생태계 합류를 기반으로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계돼 통합적인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을 펼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24914&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