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미국 연준 1월 FOMC 회의 결과 및 평가/ [뉴욕사무소] 딥시크 충격과 미국 증시 관련 전문가 시각 - 국제금융센터 본문

투자

미국 연준 1월 FOMC 회의 결과 및 평가/ [뉴욕사무소] 딥시크 충격과 미국 증시 관련 전문가 시각 - 국제금융센터

DDOL KONG 2025. 1. 31. 03:00

ㅁ [회의 결과] FOMC는 작년 9월 이후 4회만에 정책금리를 동결(4.25~4.50%)했으며, 향후 추가 정책조정에 대한 신중한 스탠스를 재확인
ㅇ 정책 결정: 추가 정책조정의 폭과 시점(extent and timing of additional adjustments)을 고려하는 데 있어 입수되는 데이터, 전망 변화, 리스크의 균형을 신중히 평가할 것이라는 가이던스를 유지 하며 만장일치로 정책금리 동결. 대차대조표 축소도 예정된 속도를 유지
ㅇ 경제 상황: 노동시장이 전반적으로 완화(generally eased)되었다는 문구와 인플레이션이 목표를 향해 진전해왔다(has made progress toward the 2% objective)는 문구를 삭제한 것은 인플레이션 반등에 대한 연준 위원들의 경계감을 나타낸 것으로 평가

ㅁ [기자회견] 파월의장은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으며 트럼프 정부 정책의 경제적 영향과 대통령의 통화정책에 대한 발언 등에 대해서는 언급 회피
ㅇ 금리동결 배경 및 경제상황 인식: 디스인플레이션 진전 혹은 노동시장 약화가 정책조정을 촉진할 수 있지만 경제상황은 양호하기 때문에 정책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 제시
ㅇ 정책 방향: 정책기조의 제약성이 100bp만큼 완화된만큼 서두를 필요가 없으며 관세, 이민, 재정, 규제 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아 신중하게 접근(wait and see)할 필요성 강조

ㅁ [시장반응] 금일 FOMC 결과가 다소 매파적으로 평가됨에 따라 미국 주가는 하락(S&P500 -0.5%) 했으며 미 장기국채 금리는 보합(-0bp), 달러화는 강세(+0.1%)

ㅁ [평가 및 전망] 주요 IB들은 양호한 경제상황으로 금리인하 감속이 예상된다고 평가하며 행정부 정책 관련 불확실성 등을 고려해 파월의장이 중립적 스탠스를 강조했다고 평가
ㅇ 금리인하 중단 배경 및 전망: 디스인플레이션 추세 유효 등으로 금리인하의 시급성이 약화.
연준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보다 관세, 이민조치 등의 영향이 뚜렷해질 때까지 신중한 접근 방식을 유지할 가능성
ㅇ 상반기 중 금리인하 재개 예상: 주요 IB들은 상반기 1회, 하반기 1회 금리인하 기대가 우세(중간값, 상단기준 12월 4.0%). 3월 회의에서는 10개 IB 중 8곳이 동결 예상


https://www.kcif.or.kr/economy/economyView?rpt_no=35360&mn=003002





[뉴욕사무소] 딥시크 충격과 미국 증시 관련 전문가 시각



250129+(NY)+딥시크충격과미국증시시각(final).pdf
1.21MB



https://www.kcif.or.kr/finance/financeView?rpt_no=35356&mn=0020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