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중국 테레프탈산 시장동향 본문
중국 테레프탈산 생산량 수요량 지속 증가
중국의 주요 수입국중 한국은 2위 기록
시장 동향
PTA(테레프탈산, Pure Terephthalic Acid)는 중요한 유기화학 제품으로, 폴리에스터 합성의 주요 원료 중 하나이다. PTA는 화학 섬유, 경공업, 전자,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의약품, 염료, 정밀 화학제품 등의 중간재로도 활용되는 현대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원료이다.
PTA 산업의 가치사슬은 상하위 단계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 상류에는 주요 원자재인 파라자일렌(PX)이 있고 중류에는 PTA 생산 및 공급이 있으며 하류는 응용 분야이다. 90% 이상의 PTA는 폴리에스터 생산에 사용되고 이를 통해 폴리에스터 병 원료(瓶片), 폴리에스터 섬유(폴리에스터 장사와 단섬유), 폴리에스터 필름을 생산하게 되며, 응용 산업은 포장, 섬유 의류, 판재, 전자기기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있다.
<PTA 산업 가치사슬>
전 세계적으로 PTA 생산 능력은 주로 아시아 지역에 집중돼 있으며, 그 비중은 약 82%에 달한다. 특히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한국, 중국 등의 생산량이 높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PTA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중국의 PTA 생산 능력은 전 세계 PTA 생산 능력의 약 56%, 아시아 생산 능력의 약 65%를 차지한다. 중국의 PTA 수요는 전 세계 수요의 58%, 아시아 수요의 71%를 차지하고 있다. 2020~2021년 중국의 PTA 생산 능력은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21년 생산량은 6563만 톤으로 전년 대비 13.9% 증가했다. 그러나 2022년에는 증가율이 뚜렷이 감소해 6923만 톤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에 그쳤다. 2023년에는 생산량과 생산 능력이 동반 증가하며 시장 수요의 호조가 나타났다. 2023년 생산량은 8062만 톤으로 전년 대비 16.4% 증가했다.
<2019~2023년 중국 PTA 생산량 및 성장률 동향 분석>
(단위: 만 톤, %)
PTA 생산 능력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중국의 PTA 생산은 주로 저장(浙江), 랴오닝(辽宁), 장쑤(江苏), 푸젠(福建) 등 성(省)에 집중돼 있고 이들 지역은 중국 PTA 총생산량의 약 86%를 차지했는데 그 중 저장은 31%, 랴오닝은 27%, 장쑤는 17%, 푸젠은 11%를 차지했다. 나머지 지역은 국내 총생산량에서 약 14%를 차지했다.
수입 동향
<최근 5년 중국 테레프탈산 수입 규모(HS CODE 291736 기준)>
(단위: US$ 천)
순위 | 국가/지역명 | 수입금액 |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10 | ||
합계 | 300,447 | 51,277 | 57,487 | 16,677 | 9,703 | |
1 | 대만 | 159,545 | 37,668 | 22,890 | 2,823 | 4,753 |
2 | 한국 | 42,802 | 949 | 4,842 | 988 | 2,521 |
3 | 태국 | 43,383 | 3,144 | 17,869 | 4,302 | 872 |
4 | 이집트 | 0 | 0 | 128 | 990 | 818 |
5 | 인도네시아 | 23,841 | 259 | 3,542 | 6,490 | 357 |
6 | 파키스탄 | 0 | 0 | 0 | 55 | 92 |
7 | 미국 | 358 | 463 | 398 | 64 | 89 |
8 | 캐나다 | 11 | 8 | 17 | 38 | 55 |
9 | 오만 | 0 | 0 | 0 | 160 | 47 |
10 | 사우디아라비아 | 0 | 26 | 1,005 | 412 | 46 |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PTA 수출량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그 주요 원인은 현재 중국 PTA 산업의 과잉 생산으로, 생산 업체들이 더 많은 발전 기회를 찾기 위해 적극적으로 해외 시장 개척에 나서서 PTA 수출량을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의 테레프탈산(PTA) 수출량은 해마다 증가했고 4년 연속 상승세를 보였지만, 수입량은 상대적으로 적었고 최근 몇 년간 감소세를 보였다. 즉, 중국은 점차 PTA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전환됐다.
올해 10월까지 중국의 PTA 총수출액은 약 2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했다. 수입액은 약 97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7.2% 감소했다. 다만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많이 증가해 약 250만 달러를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무역 방식으로 보면, 중국의 PTA 수출은 일반 무역을 위주로 하고 수출량이 전체의 58%를 차지한다. 그다음으로는 가공 무역이 42%를 차지한다. 수입으로 보면 주요 수입 대상은 한국,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이 있다. 주요 수출국은 터키, 베트남, 이집트, 오만, 인도 등이 있다.
경쟁 동향
중국 PTA 산업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며, 소수의 대형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첨단 생산 기술, 대규모 생산 능력, 완벽한 시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중국 내 주요 PTA 생산 기업으로는 헝리석화(恒力石化), 룽성석화(荣盛石化), 헝이석화(恒逸石化), 퉁쿤(桐昆股份), 신펑밍(新凤鸣) 등이 있다.
또한, 국제 PTA 산업의 전체적인 발전 추세와 경쟁 구도도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국제적인 대형 화학공업 기업인 롯데케미칼, INEOS, 미쓰비시화학 등이 PTA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글로벌 PTA 시장 내 경쟁이 더 심화됐다.
유통구조
<PTA의 주요 유통 경로>
분류 | 유통 방식 |
생산 기업 | 생산 기업이 폴리에스터 섬유 제조업체, 플라스틱 제품 공장 등 최종 고객에게 직접 공급 |
무역상 | 무역상은 생산 기업에서 제품을 구매해 최종 사용자에게 판매, 중간 다리 역할 수행 |
전자상거래 플랫폼 | 전자상거래를 통해 편리한 거래 채널과 물류 서비스를 제공 |
해외 시장 | 일부 PTA는 수출입 무역을 통해 해외 시장으로 유통 |
시사점
통계에 따르면, 2024~2025년 중국은 약 2000만 톤/년 규모의 신규 설비를 시장에 투입할 예정이며, 주요 설비로는 두샨에너지(独山能源), 하이룬석유화학(海伦石化), 광저우판야(广州泛亚), 이정화섬(仪征化纤), 푸하이창(福海创), 장쑤셩홍(江苏盛虹) 등이 있다. 새로운 설비들이 모두 예정대로 가동된다면, 2025년까지 중국의 PTA 총생산 능력은 연간 1억 톤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몇 년 동안 중국의 테레프탈산 생산량은 계속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폴리에스터 섬유, 플라스틱병, 폴리에스터 필름 등 하류 응용 분야의 지속적인 확장에 따라 PTA에 대한 수요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22931&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