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DDOLKONG

[한국의 AI]②더 똑똑해진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한국어에 영어도 공부했다/ 외국인이 던진 주식 떠안은 개미들…순매수 상위종목 '전부 손실 본문

투자

[한국의 AI]②더 똑똑해진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한국어에 영어도 공부했다/ 외국인이 던진 주식 떠안은 개미들…순매수 상위종목 '전부 손실

DDOL KONG 2024. 9. 8. 03:35

[한국의 AI]②더 똑똑해진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한국어에 영어도 공부했다

하이퍼클로바X는 한국어, 영어, 코드 데이터를 균형있게 혼합 학습했다.

이 언어모델은 성능평가(벤치마크)에서 한국어와 영어를 기반으로 한 종합 추론, 코딩, 수학, 채팅 등을 수행하는 역량을 입증했다. 한국어를 기반으로 한 추론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여러 언어 간 번역과 교차 언어 추론 작업을 수행했다.

지난해 더욱 고도화된 형태로 공개된 하이퍼클로바X는 인터넷에 있는 방대한 영어 데이터까지 학습했다. 이와 함께 프로그래밍, 이미지·음성 처리 역량을 높였다.

하이퍼클로바X 테크니컬리포트는 △오픈AI의 GPT4 △메타의 라마2 △구글의 젬마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등 주요 LLM의 학습 데이터 효율성을 비교했다. LLM은 입력된 텍스트를 토큰화해 처리한다. 동일한 과제를 처리할 때 토큰이 적게 들어갈수록 데이터 처리 효율이 좋아진다.

영어 기반 동일 과제를 수행할 경우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의 토큰 사용량은 GPT4와 젬마보다 많고 라마2보다는 적었다. 한국어 기반 과제를 수행할 때는 하이퍼클로바X의 토큰 사용량이 GPT4의 절반 아래였다.

또 이 리포트는 하이퍼클로바X와 라마2 등 주요 LLM의 성능을 평가했다. 하이퍼클로바X는 △일반상식 △수학 △코딩 △한국어 등의 과제 수행에서 라마2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라마2는 페이스북 모회사인 메타가 개발한 LLM으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형태다.

하이퍼클로바X의 또 다른 특징은 '소버린 AI'라는 점이다. 전 세계 AI 시장의 선두에 있는 LLM은 오픈AI, 구글 등 미국 빅테크가 영어를 중심으로 개발했다. 영어 중심 LLM은 각 지역의 언어·문화·역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의 영향으로 지역과 국가의 고유성을 반영한 데이터를 학습한 소버린 AI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58255




매장 절반이 '임대'…대형마트의 진짜 속내

[주간유통] 대형마트 리뉴얼 트렌드
스타필드 마켓 죽전, 임대매장 60% 넘어
안정적으로 임대수익 얻겠다는 계산

대형마트가 진짜 노리는 건 이 '먹거리'가 아닙니다. 바로 '테넌트(Tenant)'입니다. 테넌트는 임대 매장을 뜻하는데요. 대형마트가 직접 운영하는 게 아닌, 공간을 임대해 주고 외부 업체가 들어와 영업을 하는 매장입니다. 롯데마트 안 다이소처럼 딱 봐도 임대매장임을 알 수 있는 곳도 있지만, 델리 코너의 두부 매장처럼 언뜻 보면 그냥 이마트에 소속된 매대처럼 보이는 곳도 있습니다. 이 '임대매장'이 바로 대형마트가 선택한 미래 '먹거리'입니다.

이름을 이마트가 아닌 스타필드 마켓으로 바꾼 이유도 여기서 드러납니다. 직접 상품을 판매해 수익을 내는 게 아닌, 임대매장을 통해 임대수익을 받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겠다는 겁니다. 실제로 스타필드나 롯데몰 등 복합쇼핑몰은 주 수입원이 임대수익입니다. 국정감사에서도 복합쇼핑몰은 유통업이 아닌 부동산업으로 봐야 하지 않냐는 지적이 나왔을 정도입니다.

대형마트들이 임대매장을 늘리는 이유는 여러가지입니다. 우선 브랜드 파워가 있는 만큼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습니다. 스타필드 마켓 죽전에 문을 연 '노티드도넛' 등 전국구 브랜드의 경우 임대매장을 찾기 위해 방문하는 경우도 많죠. 자연스럽게 객수 증가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안정적인 임대수익입니다. 주변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직접 상품 판매와 달리 임대료 수익은 안정적입니다. 일반적인 부동산업이라면 공실 등을 우려해야 하지만 대형마트의 경우 대형마트 자체가 집객 요소가 되기 때문에 이런 부담도 적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48/0000028846




기안84가 새냄비에 끓여먹은 라면…올 수출 벌써 1兆 돌파, 58% 증가율 보인 ‘이 나라’

해외 각국에서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올해 1∼8월 농식품 수출액이 9조원에 근접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라면 수출액은 매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31.7% 증가한 8억달러(약 1조1000억원)로 8개월간 1조원을 넘었다. 작년에는 10월까지 라면 수출액이 1조원을 넘었는데, 올해는 1조원 달성 기간을 2개월 앞당겼다.

한국 라면의 최대 시장인 중국과 미국은 온라인 채널이나 대형마트 입점 확대로 수출이 빠르게 늘고 있다. 성장세가 가장 가파른 시장은 미국으로, 라면 수출액 증가율(상반기 기준)이 58%나 됐다.

농심은 부산 강서구 녹산국가산업단지에 연간 5억개의 라면을 생산할 수 있는 '녹산 수출전용공장'을 내년 상반기 착공해 2026년 상반기까지 완공할 계획이라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2026년 하반기부터 농심의 연간 수출용 라면 생산량은 기존의 부산공장과 합쳐 현재의 2배인 연간 10억개로 늘어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6/0002359890




외국인이 던진 주식 떠안은 개미들…순매수 상위종목 '전부 손실'

이달 들어 개인 순매수 1∼3위 삼전·하이닉스·현대차 7∼11% 급락

외국인 순매수 상위 10종목 중 4개, 기관은 6개 '플러스 수익률'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918090




[단독]명품앱 발란, 상위 판매자 떠났다

재무불안으로 상위 판매자 퇴점
타판매자, 때아닌 입점허가 불안
에스크로 도입, PG사도 못 밝혀

https://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666259




아이폰16 프로, 기본 용량 256GB 유력…"가격 100달러↑"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 보고서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44841




오픈AI도 뛰어든 B2B 시장…AI 업계, 수익 확보에 '사활'

오픈AI, '기업용 챗GPT' 출시 1년 만에 가입자 수 100만명 돌파…앤트로픽 등도 경쟁 참전

'인공지능(AI) 거품론' 속에서도 AI 챗봇을 앞세워 주도권 경쟁을 벌이던 글로벌 빅테크들이 속속 기업간 거래(B2B) 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그간 기술 투자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적자를 내는 곳들이 많았던 상황에서 기업 고객을 공략하며 수익성을 높이려는 분위기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오픈AI가 지난해 8월 기업 고객을 겨냥해 출시한 '챗GPT 엔터프라이즈'의 유료 사용자 수가 1년 만에 100만 명을 넘어섰다. 여기에는 올해 1월 공개한 소규모 기업들을 위한 '챗GPT 팀 플랜', 대학을 위한 프로그램인 '챗GPT 에듀' 등의 가입자 수도 포함됐다.

오픈AI는 올해 유료 기업 사용자 수가 크게 증가했지만 얼마나 많은 신규 기업이 가입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지난 4월에 '챗GPT 엔터프라이즈' 사용자가 60만 명이라고 공개했던 만큼 5달 만에 40만 명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유료 기업 가입자 수의 절반가량은 미국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독일, 일본, 영국에서도 기업 고객 상당수가 이 서비스를 활발히 사용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오픈AI는 최근 유료 서비스를 강화한 덕분에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 지난 2022년 2천800만 달러였던 연매출은 지난해 16억 달러를 달성한 데 이어 올 들어 최근에는 2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는 34억 달러(약 4조6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월 20달러의 '챗GPT' 구독 서비스도 한 몫 했다. '챗GPT'의 주간 활성 이용자 수(WAU)는 2억 명을 넘었다. 지난해 11월 1억 명을 돌파한 뒤 9개월 만에 두 배로 늘어난 수치다.

지난 1월 선보인 AI판 앱스토어 'GPT스토어'도 주효했다. GPT스토어는 각 기업이나 개인이 GPT를 기반으로 개발한 맞춤형 앱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300만 개가 넘는 맞춤형 앱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선 월 20달러의 구독료를 내야 한다.

여기에 오픈AI는 출시를 앞두고 있는 신형 거대언어모델(LLM)도 고가의 구독료를 책정하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IT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은 오픈AI 경영진이 현재 개발 중인 LLM 모델 '스트로베리'와 '오리온'에도 고가의 구독료를 매기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경영진은 초기 검토 과정에서 구독료를 월 2천 달러(약 270만원)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트로베리와 오리온은 현재 챗GPT 대비 추론 및 생성 능력을 강화한 모델의 코드명이다. 오픈AI는 AI의 추론 능력 향상을 위해 스트로베리라는 이름의 코드명으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AI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리 계획을 세워서 독자적으로 인터넷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글은 최근 차세대 AI 어시스턴트(비서)인 '제미나이 라이브'를 선보였다. 이는 단순한 지령을 수행하는 기존 서비스와는 달리 생성형 AI를 접목해 보다 정교한 명령을 따르는 것이 특징이다. 제미나이 라이브는 월 19.99달러를 지불하고 '제미나이 어드밴스드'를 구독한 이용자들만 사용할 수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AI 기업 xAI도 '그록2'의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그록2는 기존 서비스와 달리 이미지 생성 기능을 더했으며 월 8달러의 'X(옛 트위터)' 프리미엄 구독자만 이용할 수 있다.

오픈AI의 대항마로 불리는 앤트로픽도 '클로드3'의 최상위 버전 '오푸스'에 월 20달러의 이용료를 책정했다. 이달 들어서는 '클로드'의 새 구독 플랜인 '클로드 엔터프라이즈'를 출시하며 기업 고객 공략에 본격 나섰다. 앤트로픽에 따르면 '클로드 엔터프라이즈'는 지난해 출시된 '챗GPT 엔터프라이즈'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양의 두 배를 웃돈다.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규모와 사용량에 따라 차등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생성형 AI 서비스 '코파일럿'을 주요 오피스 제품에 결합한 마이크로소프트(MS)도 조만간 기업 분야에 특화된 신제품 'MS 365 코파일럿'을 선보인다. 가격은 월 30달러로 책정됐다. 메타 역시 '메타 AI'의 유료화를 검토 중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44775




‘석유 부자’ 텍사스에 ESS 시설이 뜨는 이유는?

[WEEKLY BIZ] 美텍사스 대규모 ESS 시설 가보니...남으면 충전 모자라면 송전하는 ‘전기댐’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56931




"한국 화장품 난리라더니 내 주식은 왜…" 이유 알고 보니 [종목+]

'인디브랜드 수혜' 화장품 ODM株 주가 차별화…비결은

화장품 ODM 업체 주가 차별화
실적 성장 불구 밸류에이션 부담
인디 브랜드 해외 약진…고객사로 둔 기업 실적 '긍정적'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31135




올해 만기 채권만 담는 개인…"10~11월 대거 매도 가능성"

"저쿠폰 국채 위주 본드런 우려"

비우량 기업 회사채 사들인 개인
투심 급랭에 기업 자금난 우려도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30941




이케아 대항마 니토리, 한샘 제친 현대리바트…가구 왕좌의 게임

가구업계 지각변동

‘영원한 절대 강자는 없다.’ 최근 가구 업계의 상황을 이보다 잘 설명하는 말은 없다. 한국 진출 10주년을 맞은 글로벌 가구 공룡 이케아는 3년째 매출 등 실적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그 틈새를 ‘일본의 이케아’로 불리는 니토리가 공략 중이다. 토종 기업들의 상황 변화는 한층 극적이다. 국내 가구 업계 부동의 1위 한샘은 올해 상반기 부진을 면치 못했다. 그러면서 1위 자리를 사상 처음으로 기존 2위 현대리바트에 내줬다. 가구 소비 트렌드가 바뀌면서 기업들의 생존 전략도 달라져야 한다는 분석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353/000004905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