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비싼 피부과 대신 집에서”…갓성비 ‘이 화장품’ 없어서 못산다/ "전기차 배터리 갈아 끼우는 시대 온다"…50조 시장에 '들썩'/ 테슬라 주총 본문

투자

“비싼 피부과 대신 집에서”…갓성비 ‘이 화장품’ 없어서 못산다/ "전기차 배터리 갈아 끼우는 시대 온다"…50조 시장에 '들썩'/ 테슬라 주총

DDOL KONG 2024. 6. 14. 16:30

“비싼 피부과 대신 집에서”…갓성비 ‘이 화장품’ 없어서 못산다

마이크로니들 화장품 인기
피부에 미세침 침투시켜
비타민C 등 흡수력 높여

세럼부터 패치·롤러까지
올리브영·다이소서 품절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318473




UAE 관세 철폐…환호하는 K화장품 “‘블루오션’ 열렸다”

CEPA 체결, K화장품 수출관세 단계적 철폐
한류 열풍에다 가격 경쟁력까지 극대화 가능
對 UAE 화장품 ‘수출액 1억달러’ 돌파 유력
中 대체 희망 속 국내 기업 경쟁 과열 우려도

아랍에미리트(UAE) 수출 시 한국 화장품에 부여되던 관세가 철폐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글로벌 영토 확장을 위해 신시장으로 점찍었던 UAE에서 한국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자연스레 수출액 성장세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 3년간 대 UAE 화장품 수출액은 2021년 4389만6000달러(한화 603억원), 2022년 6170만2000달러(한화 847억원), 2023년 9194만1000달러(한화 1263억원) 등 증가세가 가팔랐다.

올해 4월 기준으로도 4404만6000달러(한화 605억원)를 기록하는 등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어, 관세 철폐 시 연간 수출액 1억달러(한화 1374억원) 돌파는 따놓은 양상이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관세 철폐 및 UAE 화장품 시장 확장에 따라 중동 지역을 겨냥한 국내 기업들 간 경쟁도 한층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 아모레퍼시픽은 글로벌 브랜드 ‘라네즈’를 앞세워 중동 지역 공략에 한창이다. 앞서 세포라와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UAE를 비롯해 사우디,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내 세포라 매장에서 해당 브랜드를 유통하고 있다.

LG생활건강도 현지 사업권을 갖고 있는 브랜드 ‘피지오겔’의 제품 일부에 대해 할랄 인증을 받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로 수출하고 있다. 한국콜마와 코스맥스 역시 ‘할랄 보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별 법인별로 할랄 인증을 받는 등 현지 소비자 공략을 위해 힘쓰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UAE를 비롯한 중동 시장은 화장품의 잠재 구매 고객인 젊은 층 비율이 높아 장기적으로 중국을 대체할 만한 가장 유력한 시장 중 하나로 꼽힌다”며 “할랄 규제 등 산업군에 대한 여러 제약이 있지만, 이번 관세 철폐 협정을 바탕으로 현지 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나간다면 한국 화장품 기업들에게는 엄청난 ‘블루오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www.ebn.co.kr/news/view/1626118




"전기차 배터리 갈아 끼우는 시대 온다"…50조 시장에 '들썩'

배터리 신사업 공동협의체

50兆 '빌려쓰는 배터리' 시장…현대차·LG엔솔 뭉친다

산업부·환경부·국토부 참여한
대규모 민관협의체 18일 발족

타이어 바꾸듯 갈아끼우는 방식
소유 아닌 구독…차값 인하 효과
전기차 대중화 앞당길 촉매제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96722




테슬라 주총서 '60조원대 머스크 성과 보상안' 재승인(종합)

표결 수치는 현장서 공개 안돼…보상안 무효 소송서 유리한 발판 마련
주가 3% 상승 후 시간외 거래서도 소폭 오름세

이날 주총에서 보상안이 재승인됐다고 해서 이것이 소송에 즉각적인 효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주주들의 지지를 확인한 것은 향후 항소심 재판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746813




2030년 글로벌 반려동물 시장 678조…투자금도 10년새 9배 '급증'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50563




[단독] 삼성, 파운드리 고성능 칩 매출 전망 대폭 상향… TSMC에 1.4나노 '승부수'

삼성전자(005930) 파운드리가 2028년 고성능컴퓨팅(HPC) 매출 비중 목표를 현 두배 이상으로 대폭 상향했다. HPC는 인공지능(AI) 가속기와 CPU(중앙처리장치) 등 고성능 칩셋 분야로 선단 파운드리의 성패를 가르는 전장이다. 삼성전자는 2·3㎚(나노미터·10억분의 1m)에서 세계 최초 적용한 GAA(게이트올어라운드) 공정 완성도를 높이는 한편 2027년 생산에 돌입할 1.4㎚에서 승부를 걸어 폭발적인 고성능 AI 칩셋 수요를 잡겠다는 각오다.

13일(현지 시간) 미 실리콘밸리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날 연 파운드리 포럼(SFF) 2024에서 2028년 파운드리 매출 점유율을 모바일 30%, HPC 45%로 제시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말 공개한 2028년 매출 비중은 모바일 33%, HPC 32%였다. 반년 사이 HPC 매출 비중 목표치가 12%포인트 상향된 것이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지난해 매출 비중은 모바일이 54%, HPC가 19%였다. 이번에 발표한 올해 매출 비중 전망은 각각 52%, 21%다. 2028년에는 현재 두배 이상으로 HPC 비중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모바일 매출은 갤럭시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엑시노스’와 일부 퀄컴 칩셋으로 다수가 자체물량으로 해석된다. HPC는 GPU(그래픽처리장치) 등 AI 가속기와 CPU(중앙처리장치) 등 초미세공정이 적용되는 고성능 칩셋을 뜻한다. 자연히 생산이 어렵고 칩셋 가격 또한 높아 TSMC·삼성전자·인텔 등 주요 파운드리가 치열한 수주전을 벌이고 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의 HPC 매출 목표 상향은 곧 고수익 외부 수주 비중을 절반 가까이 높이겠다는 뜻으로, 2028년에는 모바일보다 HPC가 중심이 되는 진정한 ‘파운드리’로 거듭나겠다는 선포다.

삼성전자의 공격적인 HPC 매출 목표 상향은 차세대 공정에 대한 자신감을 상징한다. 2028년은 삼성전자가 현재까지 공개한 최선단 공정이 모두 양산에 돌입하는 시기다. 삼성전자는 2027년 1.4㎚ 공정 돌입을 예고해 왔다. 전날에는 후면전력공급(BSPDN)을 적용한 2㎚ 공정 ‘SF2Z’도 2027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세계 최초 적용한 GAA(게이트올어라운드)의 완성도를 높여나가 2027년 1.4·2㎚ 양산 시점에서는 TSMC를 넘어서 당초 목표보다 더 많은 HPC 수주를 받아내겠다는 전략이다.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AI 칩셋 수요도 삼성전자가 HPC 매출 비중 목표를 높인 근거 중 하나다. 생성형 AI 등장 이후 테크업계에서는 AI 칩셋 구매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삼성전자 또한 지난해 AI 스타트업 그로크와 텐스토렌트의 차세대 AI 칩을 수주했고 올해도 AI 관련 수주가 지난해보다 80% 늘어났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AI 칩셋 발주에서 TSMC에게 ‘뒷전’으로 밀린 업체들을 공격적으로 영입할 계획이다. 유력 대상으로는 AMD가 꼽힌다. AI 가속기 시장 지배자인 엔비디아는 핵심 칩셋을 TSMC에서 전량 생산한다. AMD를 비롯한 경쟁사는 TSMC 최선단공정 발주에서 엔비디아 ‘후순위’로 밀려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엔비디아가 최근 공개한 ‘블랙웰’ 칩셋은 TSMC 4NP(4㎚) 공정에서 제조되지만 AMD MI300X는 TSMC 5~6㎚로 만들어진다. AMD는 삼성전자와 모바일 GPU 개발에서 협력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파운드리 포럼 2024 개최 하루 뒤인 이날 열린 SAFE 포럼에도 빌 은 AMD 부사장이 연사로 올라 생태계 확장을 논의하기도 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353039




[단독] 사우디·미국 '페트로 달러' 시대 50년 만에 막 내렸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미국의 '페트로 달러(Petrodollar)' 시대가 50년 만에 막을 내렸다. 달러 패권에 대한 중국 위안화의 도전이 탄력받을 지 주목된다.

14일 외신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 사우디아라비아와 미국 간 페트로 달러 협정이 공식적으로 만료됐다. 사우디아라비아 측이 협정을 갱신하지 않기로 결정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72551




"한달 만에 236% 쑥"…LG생건, '강남글로우' 선크림 美서 초기 흥행몰이

자외선·유해환경 자극 차단 호평
비타민C세럼 북미 마케팅도 박차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72544




음료수 캔 따니 벌건 '삼겹살'이 나왔다…출시되자 난리 난 제품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캔 삼겹살' 출시
MZ 사이에서 열풍…'인증샷'도 성행중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431783




“남은 비트코인 모두 미국산으로”… ‘가상화폐 수호자’ 자처한 트럼프

대선 앞두고 차별점 부각

‘기후변화 규제론’ 민주당에 맞서
에너지 장악·수익 창출 등 호소
자산 선점하고 오일·가스 개발
IT 중심지 실리콘밸리 공략도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457707




[긴급 이슈]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가시화되나...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급등

정몽구 명예회장 위독설…그룹 측, '낭설'이라며 일축
정의선 회장 상속세 문제 고려하면 지배구조 개편 가능성 낮아...삼성家 반면교사

현대모비스 주가가 이날 급등하는 것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사실상 지주회사로 현대자동차의 지분 21.64%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기아의 지분을 34.16% 갖고 있어 현대모비스를 지배하면 현대차와 기아를 움직일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정 명예회장은 현대모비스 지분을 7.19% 보유하고 있다.

반면 정의선 회장의 지분이 너무 적다는 데에 있다. 현대모비스 지분율은 0.32%에 불과하고 현대차와 기아도 각각 2.65%, 1.76%에 그친다.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78928




사조대림, 냉동김밥 美 수출 시작…글로벌 시장 공략

초도 1차·2차 수량에 추가 발주 수량까지 15만5000줄 이상 수출
매달 7만2000줄 수출 예정…판매 채널 개척 박차

https://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40614010004388




테슬라가 비밀리에 개발중인 3개 차종은...전기 소형차·밴·버스

https://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53271
 



위고비·마운자로 넘어설까…美 당뇨병학회 출격 韓 제약바이오기업 주목

- ADA2024 오는 21~24일 미국 올랜도서 개최
- 글로벌 GLP-1계열 비만·당뇨병 합병증 데이터 주목
- 한미약품 등 7곳 출격…GLP-1 계열 발표만 5곳


https://www.thebio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069




"캐나다 빼고라도 한국 넣어라"…확대되는 '韓 G7 추가' 논의, 왜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66681




385만원 디올 가방, 원가 8만원이었다…명품 '노동착취' 민낯

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366736




'안전빵'에서 마이너스 사업으로... 건설사, 공공공사 포기 '기현상'

공공공사 사업 포기에 입찰 건설사 ‘0곳’도
“물가 상승분 반영 안 해줘 일 해도 마이너스”
“단시간엔 안 되지만... 현실적 방안 마련해야”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98273




"분당 집 정리하고 왔는데 악재만 터져"…위례 집주인 '분통'

위례신도시 집값 약세 지속…상승 기대감도 '뚝'
분당구 0.66% 오를 때 수정구는 0.04% 올라
"강남 가깝지만 접근성 열악…집값 뛸 동력 없어"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96779




[정비록] 용산 한강 조망인데… 산호아파트 재건축 발 동동

산호아파트 시공사 선정 두 차례 잇단 유찰
용산 한강변 아파트도 몸 사리는 시공사들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1008216




2000억→680억 헐값 매각… “망할 일 없다”던 뉴욕 오피스 빌딩의 추락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4024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