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반도체 넘어 AI 허브로…대만, 엔비디아 이어 美 AMD도 품었다/인구 1억 베트남, 한국식 대형마트에 홀리다 [신짜오, 베트남] 본문

투자

반도체 넘어 AI 허브로…대만, 엔비디아 이어 美 AMD도 품었다/인구 1억 베트남, 한국식 대형마트에 홀리다 [신짜오, 베트남]

DDOL KONG 2024. 5. 22. 17:10

[기업탐방] 삼성생명 ②삼성생명법 통과 되면 삼성그룹 지배구조 요동칠 듯

이재용 회장, 삼성생명 지분 10.44% 보유...삼성물산 지분은 18.13%
안정적 수익 창출하는 확실한 캐시카우 역할이 삼성생명의 중요성
금산분리 주장 사라지지 않을 가능성 커...'걸림돌' 작용할 수도


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334460




반도체 넘어 AI 허브로…대만, 엔비디아 이어 美 AMD도 품었다

[반도체 전쟁] AI 빅테크 기업 잇따라 유치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35622




아이온큐 등 2024년 주목할 양자 컴퓨팅 주식 7선

https://www.g-enews.com/article/Securities/2024/05/20240521070835446e250e8e188_1




"강남집만큼은 며느리에게"…유언장 대신 은행 찾은 이유는?

고령화 시대 ‘유언대용신탁’ 고객 늘어

은행에 재산 맡기면 사후 유산 분배상품
자산관리부터 상속까지 맞춤 설계 가능

5대銀 수탁잔액 3.3조… 1년 새 1조 늘어
최근 가입액 제한 폐지 등 문턱도 낮아져
은행들 전담팀 꾸려 특화점포 속속 오픈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935038




인구 1억 베트남, 한국식 대형마트에 홀리다 [신짜오, 베트남]

신짜오, 베트남②

한국선 가성비 PB상품·노브랜드
베트남 현지인들엔 고품질 통해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934982




자영업자 2명 중 1명 ‘나홀로 사장’…64% “휴·폐업 고민”

하루에 10시간 일하고 한 달에 2번 쉰다
삶의 만족도 2.7점…“불안정한 소득 탓”
부담 큰 경영비용 ‘임대료’와 ‘인건비’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745216




'총 사업비 1.6조' 수서역 환승센터 복합개발, 내년 착공 '박차'

한화·신세계·KT에스테이트·이지스운용 등 '컨소'
한화, 발주처 국가철도공단 등과 사업 관련 협의
한국증권금융, 장기차입금 200억…2058년 만기
인허가 준비절차 진행중…시 교통영향평가 완료

https://n.news.naver.com/article/018/0005745126




연금개혁 없으면, 6년뒤 연금지급차 자산팔며 주식시장에 '충격'

김우창 교수 등 "지금이 미래를 바꿀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

이번에 국민연금을 개혁하지 않으면 6년 뒤 그해 지급할 연금 급여를 그해 거둔 보험료로 충당 못 해 기금을 깨서 자산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주식 등 국내 자본시장에 큰 충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22일 국민연금 5차 재정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도개선 방향 공청회 자료집에 따르면, 국민연금 기금은 2023년 950조원에서 계속 증가해 2040년에 1천755조원까지 불어나지만, 2041년 수지 적자로 돌아선 후 빠르게 줄어들어 2055년에는 소진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700229




'한소희 운동화' 품절 대란 벌어지더니…1600억 '잭팟'

한소희가 신은 ‘에샤페 실버문’
품절에 오픈런까지 나타나자
추가 생산해 재출시 결정

휠라홀딩스, 작년 4분기 최악 부진
올 1분기 영업이익 1633억 반등
1년 새 재고 약 3000억 줄여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87702




"개미들이 사랑한 '테슬라 몰빵' 이제는…" 여의도 '발칵'

금융당국, '30%룰' 만든다

ETF에 한 종목 과한 쏠림, 수치로 막겠다는 금융당국
레버리지 포함 한 종목 익스포져 '30%'로 상한 추진
"투자자 선택지 차단은 과한 규제" 업계 반발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87564




"사고 싶은 차도, 돈도 없다더니"…결국 '이 車' 직격탄 맞았다

고물가·고금리에 車가 안 팔린다
신차·중고차 판매 모두 감소

경기불황 신호탄일까…
판매량 5개월째 마이너스
포터 등 상용차도 22% 감소

사고 싶은 車도, 돈도 없어
고금리에 할부 부담 높아져
고객들, 저렴한 소형차만 기웃
올해 신형 차종도 두 개뿐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87266




[금투세 논란] "절세 상품으로 옮겨볼까"… 큰손들도 ISA·국채에 눈길

정부, 1인1계좌 폐지·납입한도 확대
ISA 첫 3년 만기… 재가입 수요 기대
국채 투자 1인당 연간 1억까지 매입
개인은 2억까지 이자소득 분리과세

https://www.ajunews.com/view/20240520173258815




“베트남 전선수요 폭증… 공장 밖까지 설비 깔아 120% 가동”

[신성장엔진 아시아 뉴7]〈9〉 LS그룹, 베트남 고부가 전선 1위
현지 매출 7251억원… 8년새 4배로
6조원대 해저케이블 사업에도 도전
2028년 가동 목표 신공장 내년 추진… ‘판매 1위’ 배전반, 보수사업도 넘봐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566009




“메타 등 빅테크 기업, 내년 대차대조표에 비트코인 포함될 듯”

헌터 호슬리 비트와이즈 최고경영자 인터뷰
“비트코인 제도·규제 변화 빠르게 진행”
비트코인 투자 펀드에 대규모 자금 몰리기도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71272




[단독] 사우디 '2조' 네옴 담수화 플랜트 사업 취소…韓 기업 '촉각'

네옴 사업 첫번째 공식 취소…사업 축소 우려 확산
사우디 수처리 사업 진출한 국내 업체 영향권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71283




[단독] 삼성, '제2의 미스트랄' 프랑스 AI 스타트업 투자

H, 2억 달러 규모 시드 펀딩 유치…구글 딥마인드 출신 설립
삼성, 에릭 슈미트 구글 전 CEO 등 참여

H는 여러 AI 시스템들이 상호 작용하는 프로세스인 새로운 다중 에이전트(multi-agent) 인공일반지능(AGI)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H는 투자자들에 기억과 계획, 전술적 의사 결정 등 기술을 갖춘 AI를 개발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H는 이번 초기 자금을 연구 인재 육성과 완전한 AGI 도달을 위한 많은 양의 컴퓨팅·데이터 파워 확보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71296




[단독] LG, 제약바이오 게임체인저 '랩지니어스' 투자

英 단백질 치료제 개발 스타트업…AI 기술 활용
구광모 회장이 점 찍은 'AI·바이오' 아우르는 유망 기업
LG AI연구원과 파트너십도 '기대'…AI 기술로 헬스케어 혁신

LG그룹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단백질 치료제를 개발하는 영국 '랩지니어스(LabGenius)'에 베팅했다. 최근 제약바이오 분야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LG가 강점을 가진 AI·로봇 기술과의 결합을 모색, 신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랩지니어스는 21일(현지시간) 머크 그룹 산하 벤처캐피털(VC)인 엠벤처스(M-Ventures)가 주도한 3500만 파운드 규모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마감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펀딩에는 LG그룹과 영국 옥토퍼스 벤처스가 신규 투자자로 합류했다.

지난 2012년 설립된 랩지니어스는 AI, 로봇 자동화, 합성생물학을 결합해 차세대 단백질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다. 공학과 소프트웨어 기술을 생물학에 적용하는 셈이다. 이를 위해 단백질 공학, 합성 생물학, 소프트웨어 공학, 데이터 과학, 로봇 자동화 전문가들을 보유하고 있다.

LG그룹은 최근 제약바이오 분야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달 초 비만 치료제를 개발하는 미국 바이오벤처 '아드바크 테라퓨틱스(Aardvark Therapeutics)’의 8500만 달러 이상 규모 시리즈C 펀딩라운드에 참여한 바 있다.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71292




MS도 홀린 이스트소프트 'AI휴먼'···'알집·알약' 신화 잇는다

1Q 역대 최대 성장률···적자 폭도 47% 가량 감소
작년 4월부터 MS와 협력···AI 휴먼 서비스 공개
AI‧S/W 매출 47% 차지···"AI 신사업 매출 발생해"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4052208502843607




SK하이닉스 "HBM3E 수율 80% 근접"…업계 예상 뛰어넘어

22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권재순 SK하이닉스 수율 담당임원은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HBM3E 생산에 필요한 시간을 50% 단축할 수 있었다"며 "해당 칩이 목표 수율인 80%에 거의 도달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업계는 SK하이닉스의 HBM3E 수율을 60~70% 내외로 추정해 왔다. 그러나 SK하이닉스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수율이 이보다 높은 80%에 근접했음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권재순 담당임원은 "올해 고객사들이 가장 원하는 제품은 8단 적층 HBM3E로, 회사도 이 제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며 "AI 시대를 앞서가기 위해서는 수율 향상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92/0002332188




AI PC 확산 기폭제 될까?…고성능 AI 연산 기능 인텔 루나 레이크 프로세서 [고든 정의 TECH+]

최근 마이크로소프트는 40 TOPS 이상의 AI 연산 능력을 지닌 코파일럿 + PC를 공개했습니다. 이를 통해 클라우드에서 구동되는 AI 서비스와 별도로 기기에서 바로 AI 서비스를 사용해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고 더 다양한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새로 공개한 코파일럿 + 윈도우 PC에는 인텔 CPU 대신 퀄컴 스냅드래곤 X 엘리트가 탑재됐습니다. 지금까지 x86 CPU와 짝을 맞춰 진화했던 윈도우의 극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래 기업 간에도 영원한 동지나 적은 없게 마련이지만, 이 행사를 본 인텔이나 경쟁사 AMD 모두 마음이 급해진 것은 당연합니다. 인텔은 코파일럿 + PC의 기준을 충족시키는 차세대 CPU인 루나 레이크와 애로우 레이크의 개발을 완료했지만, 출시 시기는 올해 3분기와 4분기로 당장에는 내놓을 제품이 없습니다.

대신 인텔은 아마도 코어 울트라 2세대로 출시할 코드명 루나 레이크와 관련된 정보를 추가로 공개했습니다. 우리에게 더 뛰어난 제품이 있고 조금만 기다리면 구매할 수 있다는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해야 경쟁사 제품을 구매하는 일을 막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루나 레이크는 45TOPS (INT8 기준) 성능의 NPU를 탑재해 이것만으로도 코파일럿 + PC의 기준을 만족합니다. 하지만 2세대 내장 그래픽인 Xe2 GPU를 탑재해 AI 가속 능력을 더 끌어 올렸습니다.

현재는 AI 기능이 사용자에게 바로 와닿을 만큼 차별화된 기능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몇 년 안에 관련 생태계가 구축되고 사람들이 AI 서비스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면 AI PC로 갈아타는 수요가 커질 것입니다. 인텔, 퀄컴, AMD, 애플 등 주요 CPU 제조사들은 이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 성능을 대폭 높인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올해 출시될 루나 레이크와 애로우 레이크는 AI PC 확산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452544




글로벌증시 풍요 속 한국만 빈곤한 이유

올해 증시, 대만 18.4% vs 한국 2.6% 상승
TSMC와 삼성전자 주가 흐름 차이서 비롯
"삼전, AI 수혜 못 받아…중국 수출도 감소"

https://n.news.naver.com/article/648/000002584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