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환율 다시 1400원]① 아시아 ‘최약체’ 된 원화… “대내외 겹악재에 추풍낙엽”/ 한국전력, 마장동 부지·한전KDN 지분 매각으로 4천억 확 본문
[환율 다시 1400원]① 아시아 ‘최약체’ 된 원화… “대내외 겹악재에 추풍낙엽”/ 한국전력, 마장동 부지·한전KDN 지분 매각으로 4천억 확
DDOL KONG 2024. 4. 19. 12:46[환율 다시 1400원]① 아시아 ‘최약체’ 된 원화… “대내외 겹악재에 추풍낙엽”
달러 대비 세계 주요국 통화 가치 비교해보니
4월 보름새 원화 3.42% ‘뚝’… “가장 큰 낙폭”
美 정책 변수 따른 ‘강달러’, 일차 원인이지만
‘유가 취약’ 亞 효과에 ‘내수↓’ 국내 요인 겹겹
https://n.news.naver.com/article/366/0000986678
현대차그룹, 日도레이와 ‘미래차 신소재 동맹’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공동 개발
철보다 10배 강한데 무게 4분의1
車경량화로 배터리 고효율 기대감
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해 신소재 확보에도 공을 들이고 나섰다. 소프트웨어의 측면에서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면 하드웨어의 측면에서는 고강도·경량화 소재 적용으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복안이다.
현대차그룹은 탄소섬유 및 복합소재 분야 세계 1위 기업인 도레이그룹과 미래 모빌리티 사업에 혁신 신소재를 적용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현대차그룹은 도레이그룹과 경량화 소재인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등을 공동 개발해 모빌리티의 성능 향상 및 안전성을 확보, 궁극적으로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단순히 소재를 공급받는 차원이 아니라 자사의 미래 모빌리티에 적합한 신소재 개발에 참여해 주도적으로 기술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설명이다. 개발된 소재는 향후 현대차그룹의 고성능 차량에 우선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탄소섬유는 탄소 함량이 90% 이상인 섬유로, 철보다 강도가 10배 이상 높지만 무게는 4분의1 수준에 불과하고 탄성도 7배에 달해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가벼우면서도 내열성이 뛰어나 태양광 단열재, 수소 연료탱크, 항공기 등에 두루 사용된다. 전기차의 경우 무게를 줄여 배터리 효율을 높이는 것이 과제로 꼽히는 까닭에 최근 친환경차 시장에서 탄소섬유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원에 따르면 전 세계 탄소섬유 시장 규모는 2019년 5조 6000억원 수준에서 올해 10조원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3445292
4년마다 '운명의 날'…비트코인 84만번째 블록의 순간[반감기 D-1]ⓛ
21만번째 블록 생성될 때마다 반감기 적용…20일 적용 예상
반감기 직전 블록에 특별한 메시지 생기는 문화…각종 이벤트도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491404?type=main
한국전력, 마장동 부지·한전KDN 지분 매각으로 4천억 확보한다
마장자재센터·한전KDN 상장·지분 20% 매각안 오늘 이사회 상정
한전KDN 지분 '헐값 매각' 진통 지속…"배임 등 민형사상 책임"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7491405?sid=101
"이란서 폭발음, 이스라엘의 시설 타격"…유가 3% 급등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27758?type=main
불과 11년 뒤 "50세가 직장인 평균연령"…'금쪽이' 신입도 귀해진다
[MT리포트]2020년생이 온다(上)
4년전인 2020년에 출생아 수가 사상 처음으로 20만명대로 떨어진 여파가 사회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올해 만 3세가 된 2020년생들이 유치원에 처음 입학하면서 교육계가 가장 먼저 타격이 받게 됐다. 실제로 급격히 줄어든 원아 수에 인기가 높은 국공립유치원마저 줄휴원에 들어갔다. 이후 2020년생이 순차적으로 들어가는 초·중·고에 대학까지 도미노 파장이 불가피해진다. 선생님 임용을 대폭 줄이고, 4년제 대학은 2곳 중 1곳이 문을 닫아야 한다.
저출생으로 인구가 축소되면서 특히 젊은 노동 인구가 급감할 전망이다. 불과 11년 뒤에는 직장인 평균 연령이 50세에 달하고 15년 뒤에는 노인인구가 청년인구보다 2배 이상 많아진다. 사회 전반적으로 늙어가면서 내수 소비는 점차 줄고 기업 혁신도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업들이 저출생 대책에 적극적으로 머리를 맞대야 하는 이유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27651
"우리 때부터 국민연금 사라진다?"…30년 후가 걱정인 '이 세대'
[MT리포트]2020년생이 온다(下)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5027687
태영건설, 회장포함 임원 22명 감축…임원 급여 최대 35% 삭감
윤세영·윤석민 회장, 지난달 이사회서 태영건설 이사직 사임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640190
‘동맹’ 맺어 반격… 전기차 속도 내는 일본 車
자국 업체끼리 협업 잇따라
도요타는 작년 글로벌 1031만대를 판매해 세계 1위를 했지만 순수 전기차는 약 1%인 10만대에 그쳤다. 테슬라(181만대), BYD(158만대), 현대차그룹(45만대) 등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닛산은 전기차 2만대를 팔았고 혼다는 작년까지 전기차를 만들지도 않았다.
반도체·배터리 동맹 맺고 속도 내는 도요타
세계 1위 도요타와 혼다, 닛산, 마쓰다, 스바루 등 일본의 자동차 기업 5곳과 덴소,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등 부품사 7곳 등 일본 12개 기업은 작년 말 차량용 반도체 개발을 위한 연구 조직을 만들었다. ‘자동차용 첨단 시스템온칩(SoC) 기술 연구조합’(ASRA)이다. 자동차에 SW, 자율주행 등 IT 기술이 겹겹이 쌓여가면서 반도체는 미래차의 핵심 부품이 됐다. 최신 내연차에는 반도체가 200~300개 들어가는데 전기차에는 500~600개, 자율주행차에는 1000개 이상이 필요하다. 일본 고유 기술을 만들어 여기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도요타는 또 작년 10월에는 일본 대표 석유화학 기업인 이데미쓰코산과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공동 개발도 시작했다. 적은 용량으로도 1000km 이상을 달릴 수 있게 하는 배터리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3/0003829278
미국으로 가는 K뷰티… 마녀공장·에이피알 개척자 되나
화장품 미국향 수출 비중 역대 최고 수준
대기업보단 중소 브랜드가 이끌어
허제나 DB금융투자 연구원 역시 "국내에서 점유율을 공고히 한 중저가 K인디브랜드가 일본, 미국 등으로 시장 영역을 확장해 2024년 화장품 산업의 수출 성장을 주도해 나가고 있다"며 중소 브랜드의 파워를 강조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뷰티 대기업은 프리미엄 라인이 강점인데 미국에서 아시아권 프리미엄 제품이 통하기 쉽지 않다"며 "K팝 등 K콘텐츠 관련 마케팅만으로는 한정적이라 보수적으로, 장기적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중소 브랜드는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마녀공장은 지난해 미국 매출이 169% 증가했다. 지난해 하반기 미국 아마존에서 마녀공장의 대표 제품인 클렌저 매출이 전년 대비 186% 급상승하는 등 호실적을 이끌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17/0000997513
"살 빼려고 맞았는데 아이가 생겼어요"…난리난 '오젬픽 베이비'
난임 여성들 임신 사례 연달아 보고돼
전문가들 "체중 감소 덕분일 가능성"
https://n.news.naver.com/article/277/0005407743
SK하이닉스, 멈췄던 청주 반도체 공장 건설 재개
https://n.news.naver.com/article/374/0000379871
칼라일도 미용기기 '러브콜'…제이시스메디칼 인수 추진
최근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은 국내 미용 의료기기 업체들에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들 기업은 실적이 빠르게 성장하는 데다 전체 매출에서 수출 비중도 높다.
선진국의 인구 고령화와 구매력 확대라는 호재에 더해 개발도상국에서도 미용 의료기기에 대한 소비가 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츠앤드마켓츠에 따르면 세계 미용 의료 시장 규모는 2023년 154억달러에서 2028년 259억달러까지 커지며 연평균 11%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미국계 PEF 운용사 베인캐피탈은 지난 2022년 4월 클래시스 지분 60.84%를 6천699억원에 인수했다.
2년이 지난 현재 클래시스 주가는 약 4만원 수준으로, 인수가인 주당 1만7천원의 두 배 이상이다.
국내 PEF 운용사인 한앤컴퍼니도 지난해 1조원 가까운 자금을 투입해 루트로닉을 인수하며 미용 의료기기 사업에 발을 들였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06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