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미국 정부, 3억 달러 투자 치매 정복 나선다 본문
[헬스코리아뉴스 / 박원진] 미국 국립노화연구소(NIA)가 대규모 알츠하이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추진한다.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노화연구소(National Institute on Aging, NIA)는 지난달 13일 미국 인구의 70%~90%에 대해 장기간의 건강정보를 보관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공고를 게시했다. 알츠하이머병(AD) 및 AD 치매(ADRD)와 관련된 실사용 데이터(RWD) 플랫폼 자금 지원에 대한 내용이다.
데이터 레지스트리의 목적은 AD/ADRD를 연구하는 기업들이 접근할 수 있는 중앙허브 역할을 함으로써 기업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몇가지 목표가 있다.
우선 더 다양한 모집단을 포함하는 더 큰 데이터셋을 통해 결과의 적용 가능성 및 일반화 가능성 향상이 가능한 포괄적이고 다양한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여 완전한 정보를 수집하고 과학적 질문에 신속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도 있다.
임상 시험을 통해 실행 가능하거나 쉽게 답변하기 어려운 질문에 답변하도록 능력을 향상하는 것과 임상 시험 모집 및 연구 참여를 촉진하는 목적도 있다.
NIA는 이런 목적하에 이달 4일 대규모 알츠하이머 연구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해 6년간 3억 달러를 투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플랫폼을 통해 의료기록, 약국, 모바일기기 및 다양한 정부기관으로부터 나오는 데이터를 모을 계획이다.
미국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600만명
오는 2050년 1300만명으로 증가 예상
미국 알츠하이머협회(Alzheimer’s association)에 따르면 600만명 이상의 미국인이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치매를 앓고 있으며 향후 20년 동안 2배로 증가하여 2050년에는 13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NIA 데이터베이스는 향후 약물 시험을 위해 약 600만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있는 건강한 사람들을 식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구축되면 이 플랫폼은 2023년 1월 미국 FDA에서 가속 승인을 받고 7월 6일까지 정식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알츠하이머 신약 ‘레켐비(Leqembi)’와 같은 치료를 받은 환자에 대한 추적이 가능해 진다.
알츠하이머 실사용데이터(RWD)가 주는 의미
치매를 유발하는 대표적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 승인된 치료법이 거의 없기 때문에 많은 관련 연구 및 임상시험에서 특히 새로운 기술 및 장치, 약물의 규제승인 시점에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실사용데이터(RWD)를 통해 임상시험에 참가하는 환자보다 훨씬 광범위한 인구에 대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의약품 효과에 대해서도 많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김지운 선임연구원과 오기환 센터장은 “알츠하이머 증상이 나타나기 전과 후의 환자를 추적하고 그 데이터를 활용하게 되면 향후 질병에 대응한 많은 진전을 이룰 수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성은 노화, 알츠하이머 및 알츠하이머 관련 치매 연구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실사용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은 연구자가 직면한 주요 과제를 해결하고 연구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툴(TOOL)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http://www.hkn24.com/news/articleView.html?idxno=332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