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일본 편의점, 위기 속에서 생활 플랫폼으로 진화하다 본문
인구감소, 인력난, 시장 포화, 디지털화 속에서 구조 전환을 모색하는 일본 편의점 업계
'이동 편의점', 무인화·자동화, 점포 기능 다변화, DX를 통한 UX 고도화
일본의 편의점은 이제 단순한 소매 채널을 넘어, 지역 생활을 떠받치는 기반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유통기업과 지방자치단체에도 유의미한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
오늘날 일본의 편의점은 소매의 영역을 넘어 지역사회의 일상 인프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업계 트렌드를 넘어, 일본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과제인 인구 감소, 고령화, 인력난, 시장 포화, 디지털 전환 등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일본프랜차이즈협회에 따르면, 2025년 3월 기준 일본 전국의 편의점 점포 수는 약 5만5792개에 달하며, 전국적으로 모세혈관처럼 촘촘한 점포망과 고도화된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편의점은 이 같은 인프라를 활용해 고령화, 인구 감소, 노동력 부족, 시장 포화라는 구조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단순한 유통 공간을 넘어 의료, 금융, 행정, 물류, 지역경제 활성화 기능까지 흡수하며 ‘마을의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이동 편의점’과 건강생활 지원
일본의 지방 도시는 급속히 고령화되고 있으며, 상점 폐업과 교통약자의 증가로 인해 생필품 구입조차 어려운 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응해 편의점 업계는 이동형 점포라는 새로운 형태로 소비자에게 접근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패밀리마트가 운영하는 ‘패밀리마트호(ファミマ号)’가 있다. 이는 냉장·냉동 기능을 갖춘 트럭으로, 고령자 거주 지역을 주기적으로 순회하며 도시락, 음료, 생필품 등 500여 종의 상품을 판매한다. 주민들은 마을회관이나 버스 정류장 등 정해진 장소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이동 점포는 단순한 유통 기능을 넘어, 외출이 드문 고령자의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고, 이웃 간 안부를 묻는 커뮤니티 공간으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이동형 편의점을 통해 기존 점포 출점이 어려웠던 지역에도 진입할 수 있게 되면서 새로운 수익 채널이 창출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지자체 및 공공기관과 협력해 공동 운영하는 방식으로 B2C를 넘어 B2G 분야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일본의 또 다른 대형 체인인 로손은 일부 점포를 헬스케어 지원형 매장으로 전환해, 간호사나 약사가 상주하며 복약 지도와 건강 상담을 제공하는 시범 사업을 운영 중이다. 혈압 측정, 건강식 제안은 물론, 약국과 연계된 처방 약 수령까지 편의점 공간에서 가능해지고 있다. 이는 고령자 친화형 유통 서비스로서 편의점의 가능성을 실증하고 있다.
인력 부족 문제에 무인화·자동화의 본격 도입으로 대응
일본은 인구 고령화와 더불어 만성적인 노동력 부족에 직면해 있다. 특히 편의점 업계는 외국인 근로자를 적극 고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간 및 심야 시간대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체인점은 무인화 및 자동화 전략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로손은 AI와 센서 기술을 활용한 완전 무인점포 ‘Lawson Go’를 도쿄 도심 오피스 빌딩 내에 시범 도입했다. 이 점포는 NTT 데이터의 ‘Catch & Go’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이 점포에 입장하면 카메라가 이를 인식하고, 상품을 집으면 자동으로 결제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2024년 11월 13일에는 오사카 지하철 내에 관서 지방 최초로 17제곱미터 규모의 무인 편의점을 개업하며 화제가 됐다. 점원이 없이도 운영이 가능하며, 특히 피크타임이나 심야 시간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패밀리마트는 JR 동일본의 자회사 TOUCH TO GO와 협력해 무인 결제 시스템을 도입한 테스트 매장을 운영 중이다. 고객이 상품을 들고 점포를 나가면 자동 결제가 이뤄지는 방식이다. 세븐일레븐은 발주 업무 자동화를 위한 AI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POS 판매 데이터, 날씨, 지역 행사 등을 분석해 적정 발주 수량을 예측함으로써 점원의 경험에 의존하던 업무를 알고리즘이 대체하게 됐다. 이에 따라 인력 의존도는 낮아지고, 식품 폐기율도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시장 포화 속에서 점포 기능을 다변화하는 전략
일본에는 5만 개가 넘는 편의점이 존재하며, 단순한 점포 수 확장 중심의 성장 전략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기존 점포의 기능을 다변화하고, 지역사회와의 접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점포 내에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이타마현과 이시카와현 등 일부 지역에서는 키오스크를 통해 주민표, 인감증명서, 마이넘버 확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본은 한국과 달리 온라인 민원 서비스가 보편화돼 있지 않아 관공서 방문이 필수적인데, 평일 업무시간에 시간을 내기 어려운 직장인에게는 편의점 내 행정 서류 발급이 큰 편의를 제공한다. 세븐일레븐 관계자는 KOTRA 오사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이곳 도심 지역은 시청, 구청과 떨어져 있어 평일 낮에 시간을 내기 어려운 직장인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 이러한 행정 업무를 볼 수 있는 편의점이 늘어나는 추세다”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사례로는 대형 편의점 체인이 지역 소상공인 및 농협과 협력해 점포 내에 지역 특산물 코너를 운영하는 경우다. 홋카이도의 패밀리마트 매장에서는 지역 유제품과 전통 과자를 판매하며, 오사카 인근 와카야마현에서는 지역 특산 감귤을 활용한 자체상표(Private Brand; PB) 상품을 개발해 지역경제 순환에 기여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을 통한 고객 경험 고도화
일본 편의점이 체질 개선을 서두르는 또 하나의 핵심 분야는 디지털이다. 스마트폰 앱과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서비스는 소비자의 구매 행태를 정밀하게 분석해 개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가능하게 한다. 세븐일레븐은 ‘세븐앱’을 통해 전자결제, 쿠폰 발행, 예약 주문, 추천 상품 안내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고 있다. 고객의 구매 이력과 시간대별 방문 패턴을 분석해 개인별 할인 쿠폰을 제공하거나, 재구매 주기를 예측해 알림을 제공하는 기능도 운영 중이다. 이러한 디지털 마케팅은 객단가를 높이고 브랜드 충성도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패밀리마트는 ‘Famipay’라는 자체 디지털 지갑에 정기구독 서비스를 결합해 고객의 반복 구매를 유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월 정액제를 통해 매일 커피를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거나 건강보조식품을 정기 배송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구독형 소비 모델은 장기적인 고객 관계 형성에 효과적이며, 편의점이 ‘일상 속 동반자’로 자리매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시사점
일본 편의점의 진화는 고령화, 노동력 부족, 지역경제 침체 등 구조적 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생활 인프라로의 전환이라는 점에서 한국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단순한 상품 판매 공간을 넘어 이동형 점포, 건강 지원, 무인 운영, 디지털 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며 지역사회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 역시 유사한 사회적 과제를 안고 있는 만큼, 일본 사례는 민간 유통기업과 지방자치단체의 전략 수립에 구체적 참고 모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이동형 편의점과 건강 지원형 점포는 고령자 밀집 지역에서 생활 접근성과 건강 관리를 동시에 해결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동하고 있다. 한국의 농촌 및 도서 지역에서도 민간 유통망과 공공복지 기능을 결합한 복합 생활 거점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일본의 AI 무인점포와 자동 발주 시스템은 인력난 상황에서도 운영 안정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에서도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이나 심야 운영 점포 중심으로 도입할 수 있는 모델이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디지털 지갑, 정기구독 서비스, 앱 기반 마케팅은 소비자 충성도 및 반복 이용률을 높이고 있는데, 이러한 사례를 고려하면 한국에서도 결제 앱, 정기배송, 리워드 프로그램 등을 통해 장기적 소비자 관계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29107&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