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OLKONG
베트남 초음파 진단기기, 인구 구조 변화 속 시장 잠재력 주목 본문
베트남 고령화, 의료 서비스 수요 급증
AI 초음파 진단, 패러다임을 바꾸다
초음파영상 진단기기 및 시장
HS Code 901812에 해당하는 초음파영상 진단기기는 방사선 노출이 거의 없고, 실시간으로 검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타 영상 진단 장비에 비해 우수한 안전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장점 덕분에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는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지속해서 확대되고 있으며, 초기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글로벌 시장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베트남 통계국에 따르면, 2024년 4월 1일 기준 인구가 약 1억 111만 명으로 동남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수준이다. 최근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생활 수준 향상 등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선 의료기관의 인프라가 부족하고, 지역 간 의료서비스 접근성과 진료 수준의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와 수요 증가가 맞물리며,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닌 유망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현지 의료기기 제조 역량이 미흡해 의료기기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해외 기업에게 기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은 2025년까지 약 17억 7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멘스 헬시니어스 동남아시아 영업총괄인 류웨이강(Liu Wei Gang) 본부장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아세안 내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 시장 규모는 약 2억 달러에 이르며, 이 중 베트남 시장은 약 4000만~5000만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베트남 초음파 시장이 아세안 국가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이라고 평가하며, 향후 베트남 내 조기 진단 수요와 만성질환 증가 등에 따라 초음파영상 진단기기의 활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초음파 기기 시장의 성장요인
1) 고령화에 따른 의료 수요 증가
현지 지역신문인 Bao HaiDuong에 따르면, 베트남의 60세 이상 노인 인구는 1,61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6%를 차지한다. 현재 베트남은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로, 베트남 정부는 향후 약 10년 안에 베트남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한다. 이와 같은 노인 인구 증가는 의료비 지출 확대와 함께 건강보험 시스템과 국가 예산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베트남 정부는 공공의료기관의 현대화와 도시 외 지역의 의료서비스 확대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2023년 7월 26일 발표된 보건부의 1015/KH-BYT(2023)(국민건강관리에 대한 계획 및 지침)에는 이런 수요에 대비해 △의료기기 법령 개정 및 마련, △의약품의 안정적 수급, △의료시스템 현대화 및 관련 산업 육성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정부 정책과 계획은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를 활용한 조기 진단과 건강 모니터링 수요를 더욱 확대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2) 만성질환 및 유병률 증가
전 세계적으로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에 대한 내원, 입원, 그리고 수술 수요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는 저비용·고효율의 진단 수단으로, 심장, 간, 췌장, 비장, 신장, 갑상선, 근골격계 등 다양한 인체 기관의 이상을 감지하고 추적하는 데 폭넓게 사용된다. 또한, 방사선 노출이 없으므로 산전 태아 검진에서도 안전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지언론 VN Express와의 인터뷰에서 하노이 심장병원의 응우옌 신 히엔(Nguyen Sinh Hien) 병원장은 암보다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하는 환자 수가 두 배에 달하며, 심혈관 중재술 시행 환자가 매년 약 15%씩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불어, 40세 이전의 급성 심근경색 발병률이 급증하며 심혈관 질환이 베트남에서 주요 건강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보건부의 ‘2019-2020년 보건통계연감’에 따르면, 주요 사망 원인 중 심근경색은 10위를 차지하며 인구 10만 명당 1.43명의 발병률을 보였다. 이러한 유병률의 증가는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의 활용 빈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3) 출산율 및 산전 진단 수요
베트남의 출산율은 최근 도시화의 영향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나, 한동안 2.0명 내외의 수준을 유지하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출산 구조를 보여왔다. 2010년 2.00명이었던 출산율은 2023년 1.96명, 2024년 1.91명으로 추산되며, 향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은 젊은 인구 비중이 높은 국가로서 산전 검진 수요는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2019년 국가 주요 질병 발생률 통계에 따르면, 베트남 내 임신 관련 합병증은 10만 명당 602.7건으로 상위에 위치해, 산전 진단 및 모성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베트남 정부는 산모 건강관리를 포함한 출산 장려 정책의 하나로 의료 인프라 현대화를 추진 중이며, 이는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의 시장 확대를 견인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4) 반려동물 및 축산업 성장
초음파영상 진단기기의 수요는 인간 의료뿐 아니라 동물 의료 분야에서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반려동물 시장과 축산업의 성장이 동물용 초음파 기기 수요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베트남의 반려동물 관련 제품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1억 200만 달러 규모이며, 2029년까지 약 1억 6천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반려동물 관련 제품 시장이 커짐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반려동물의 치료도 점차 사람에게 하듯 전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물용 초음파 기기 시장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 시장의 추가적인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초음파 기기 시장 최신 트렌드
1) 인공지능(AI)과 초음파영상 진단기기의 융합
최근 의료영상 분야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와 결합하며 진단 효율성과 정확도를 동시에 향상하는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AI를 접목한 초음파 기기는 진단 시간 단축은 물론, 병원 내 워크플로우 개선과 진료 정확도 향상에 이바지하고 있다. 특히, 의료진이 복잡한 영상을 해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2025년 1월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베트남 Bach Mai 병원은 AI 기반 플랫폼을 도입해 초음파 및 MRI 촬영 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분석하는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진단 시간이 최대 50%까지 단축되며, 심근경색, 선천성 심장병, 판막성 심장병과 같은 진단이 까다로운 사례에서도 실시간 분석을 통해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Gia Dinh 인민병원에서는 AI를 활용한 맹장염 진단 보조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으며, 해당 기술은 의료 인프라가 부족한 호치민 지역 병원 및 농어촌 의료기관에 도입될 예정이다. 이는 1인당 의사 수가 부족한 베트남의 의료 현실 속에서, AI 기술이 복잡한 영상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해 진단 오류를 줄이고 의료 서비스 품질을 제고하는 데 실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 휴대용 초음파 기기의 확산
휴대용 초음파 기기는 기존의 카트형 장비에 비해 작고 가벼우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에 연결해 사용하는 형태부터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일체형 기기까지 다양한 종류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화와 편의성은 병실, 응급실, 외래 진료실 등 공간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 더욱 큰 장점을 발휘한다.
특히 휴대용 초음파 기기는 초기 진단이 중요한 응급 상황에서 빠른 판단을 가능하게 하며, 병원 내 환자 이동 없이 즉각적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가격 측면에서도 전통적인 대형 장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해, 자본이 부족한 소규모 병원이나 1차 의료기관에서도 도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접근성은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3) 수의학용 초음파 기기 시장의 확대
Kirin Capital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반려동물 수는 해마다 5%씩 증가하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베트남 내 반려동물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동물을 위한 전문 병원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정밀 진단을 위한 초음파 기기 수요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수의학용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는 이동이 편리한 휴대용 또는 이동식 제품으로 설계돼 있으며, 수의과 병원은 물론 동물 병원, 대규모 축산 농장 등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현지 시장에서는 Mindray, Chison, Dawei와 같은 중국 브랜드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점유율을 높이고 있으며, 중고 초음파 장비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베트남 초음파기기 수입시장: 한국, 최근 5년 연속 최대 수입국
<주요 수입국 현황(HS 코드 901812 기준)>
(단위: US$천, %)
순위 | 연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전체 | 54,428 | 44,294 | 41,103 | 36,576 | 47,384 | 34,985 | |
1 | 한국 | 20,803 | 19,293 | 17,619 | 19,197 | 23,080 | 11,004 |
2 | 중국 | 6,800 | 5,907 | 6,883 | 8,084 | 10,239 | 8,773 |
3 | 일본 | 13,393 | 8,287 | 6,715 | 2,409 | 4,488 | 4,272 |
4 | 미국 | 7,920 | 4,786 | 5,317 | 2,603 | 3,928 | 4,924 |
5 | 오스트리아 | 2,939 | 2,970 | 1,247 | 2,317 | 2,218 | - |
6 | 노르웨이 | 1,062 | 735 | 1,251 | 505 | 1,354 | 441 |
7 | 이탈리아 | 341 | 927 | 1,248 | 479 | 583 | - |
8 | 말레이시아 | 0 | 0 | 565 | - | ||
9 | 프랑스 | 829 | 1,118 | 418 | 600 | 262 | 50 |
10 | 코스타리카 | 0 | 0 | 87 | 201 | - |
베트남은 아직 의료용 초음파 기계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ITC TradeMap에 따르면, Hs Code 901812 총수입 규모는 2020년 4,429만 달러에서 2022년 3,658만 달러로 감소한 후 2023년 4,738만 달러로 급격히 반등했다. 한국은 지속적으로 가장 많은 수출을 기록하며, 모든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출액을 기록했다. 2023년 한국의 수출액은 2,308만 달러에 달해 전체 시장의 48.71%를 차지하며, 2020~2023년 기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수치는 베트남의 두 번째로 큰 수출국인 중국의 수출액의 두 배 이상이다.
중국은 베트남으로의 수출을 꾸준히 늘려왔으며, 2020년 591만 달러에서 2023년 1,024만 달러로 증가했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경쟁력 있는 가격과 공급망의 이점으로 인해 베트남이 중국산 초음파 기계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그 뒤를 이은 두 개의 주요 공급 시장인 일본과 미국은 모두 검토 기간에 수출이 감소했다.
<2025년 1~2월 초음파 기기 수입 모델 및 가격 정보>
(단위: US$)
회사명 | 제품명 | 가격(USD) | 수입국 |
Samsung Medison | Hera Z20 | 122,910 | 한국 |
Samsung Medison | HM70 EVO | 24,300 | 한국 |
Fujifilm | ALOKA ARIETTA 850 | 46,400 | 일본 |
Canon Medical Systems | CUS-AGG00 | 20,000 | 싱가폴 |
GE HealthCare | Voluson Expert 18 | 81,500 | 오스트리아 |
Mindray | DC-30 | 8,720 | 중국(홍콩) |
Mindray | Vetus 80 | 17,460 | 중국 |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 유통채널 현황 및 전략
베트남에서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의 보급 확대를 위해, 제조업체 및 수입사는 다양한 유통 경로를 활용하는 멀티채널(Multi-channel) 판매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이 모델은 제품을 여러 채널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더 넓은 소비자층에 접근하고, 다양한 지역 및 시장으로의 진입을 가능케 한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의료 인프라의 지역적 격차가 큰 베트남에서는 채널의 다변화를 통해 외딴 지역까지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시장 점유율 확보에 있어 중요한 전략으로 작용한다.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베트남 시장에 진입하고자 하는 해외 제조사는 일반적으로 ▲대형 병원 등 주요 수요처에 대한 직접 판매, ▲로컬 유통업체 및 공식 대리점과의 협업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직접 판매는 핵심 고객과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장기 계약 체결에 유리한 반면, 현지 유통망과의 협업은 시장 전체로의 확산에 효과적인 수단으로 평가된다.
실제 사례로,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호치민시, 하노이와 같은 중심 도시뿐 아니라 외곽 지역까지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역량은 다양한 유통 파트너와의 협업을 통해 가능했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현지 파트너들은 시장에 대한 통찰력과 고객 수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품 개선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고 언급하였다. 이는 단순한 유통을 넘어,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베트남 내에서는 유통과 교육, 연구 협력 등 다양한 방식의 전략적 파트너십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GE 헬스케어는 빈맥 헬스케어 시스템 및 빈유니 대학교와 함께 진단 영상 및 초음파 교육과정 운영과 임상 응용 기술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삼성 메디슨은 바흐마이 병원과 진단영상 품질 개선, IT 솔루션 도입을 위한 협약을 맺었으며, 후지필름 역시 하노이 의과대학 병원과 포괄적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전략적 협정에 서명한 바 있다. 이러한 협력 사례는 제품 유통을 넘어, 학술적·기술적 기반 강화를 통해 장기적인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유통 이후의 사후관리 서비스(After-Sales Service) 체계 역시 유통 전략의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하노이 소재 의료 장비 수입 서비스 업체 Airseaglobal Company의 N매니저는 KOTRA 하노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대부분의 진단 영상 장비가 고가의 수입품이기 때문에, 의료기관들은 공급업체의 수리 및 기술 지원 역량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인다”고 언급하였다. 특히 “고장 시 사용할 예비 장비가 없는 경우가 많아, 수리 지연은 병원 운영과 환자 치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하며, 진입 기업들이 기술 지원과 유지보수, 예비 부품의 적시 공급을 통해 장비 가동 중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현행 베트남 법령에 따르면 외국 기업이 베트남 현지에서 직접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를 유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통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 해당 라이선스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현지에서 합법적으로 제품을 판매하려면 공식 대리점 또는 유통업체를 지정해야 한다. 이는 현지 유통 파트너의 중요성을 다시금 부각시키는 규정으로, 베트남 시장 진입 전략 수립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시사점
베트남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 시장은 의료 인프라의 지역별 격차, 인구 구조 변화, 의료 수요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이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베트남으로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를 수출하고자 하는 기업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베트남 의료기기 유통 구조는 다채널(multi-channel) 전략이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는 주요 병원과의 직거래 방식뿐만 아니라 현지 유통업체 및 공식 대리점과의 협력 방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현지 시장에 효과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유통 경로의 다변화와 함께, 지역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접근 전략이 요구된다.
둘째, 현지 규정상 외국 기업이 직접 유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라이선스 취득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공식 유통 파트너를 지정해야 한다. 따라서 진출을 계획하는 기업은 베트남의 관련 제도 및 인허가 절차를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고, 법적 요건을 충족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베트남 내에서 초음파 영상 진단기기의 수요는 단순한 장비 공급을 넘어, 진단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기술 협력, 연구 개발 등의 연계 활동과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실제로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베트남의 대학 및 병원과의 협약을 통해 기술 지원 및 인력 교육을 병행하고 있으며, 이는 현지 의료기관과의 신뢰 형성 및 중장기적 관계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넷째, 지역별 의료 접근성 차이를 고려할 때, 하노이 및 호치민과 같은 대도시뿐 아니라 중소도시 및 농어촌 지역에까지 도달할 수 있는 유통망의 구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현지 유통업체의 전문성과 시장 통찰력을 활용하는 전략적 협업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에 대한 접근은 단순한 수출 활동에 그치지 않고, 제도 이해, 유통 전략, 기술 협력 등 다층적인 고려가 요구된다. 따라서 기업들은 베트남 보건의료 환경의 특수성을 반영한 중장기적 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3&MENU_ID=170&CONTENTS_NO=1&bbsGbn=01&bbsSn=243,254,403,257&pNttSn=228535&recordCountPerPage=10&viewType=&pNewsGbn=&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KbcCd=&pIndustCd=&pHsCode=&pHsCodeNm=&pHsCdType=&sSearchVal=